• Title/Summary/Keyword: 후기관입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n the Post-magmatic Activities Occurring at the Gonamsan Gabbroic Rocks in the Pocheon Area (포천지역 고남산 반려암질암 내 발생하는 후기 화성활동에 관한 예비 연구)

  • Lee, Ji-Hyun;Kim, Eui-Jun;Shin, Dongb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1
    • /
    • pp.77-95
    • /
    • 2022
  • The Gonamsan gabbroic complex in the Pocheon area, north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consists of a variety types of gabbroic rocks and associated Fe-Ti oxide deposits caused by magmatic differentiation. Post-magmatic intrusions (i.e., gabbroic pegmatite and pyroxene-apatite-zircon rocks) partly intruded into the gabbroic rocks. The gabbroic pegmatite occurs in monzodiorite and oxide gabbro of the complex, intimately and spatially associated with high-grade lenticular Fe-Ti oxide mineralization. The pegmatite can be subdivided into plagioclase-amphibole and pyroxene-olivine pegmatite, in which the contact surface is sharp. The plagioclase-amphibole pegmatite comprises plagioclase and amphibole, with lesser amount of pyroxene, ilmenite, sphene, apatite, and biotite. The pegmatite shows plagioclase-amphibole intergranular texture, in which the open space formed by large plagioclase laths (An2-26Ab72-98Or0-2) are infilled by amphibole. The pyroxene-olivine pegmatite is dark gray to black in color and also contains magnetite, ilmenite, spinel, apatite, and calcite as a minor component. The pyroxene (En35-36Fs8-9Wo55) and olivine (Fo84-85Fa15-16) partly show a poikilitic texture defined by smaller euhedral olivine enclosed by coarser clinopyroxene. Fe-Ti oxide minerals consist mainly of magnetite and ilmenite that are found interstitially to earlier formed silicates. Subsequently, they are encompassed by reaction rim (almost of amphibole and biotite) along the boundary with surrounding silicate minerals. Under the microscope, magnetite contains a lot of oxyexsolved ilmenite (trellis type) and spinel, and thereby is weakly enriched in magnetite-compatible elements such as Ti, Al, Mg, and V. The structure and textures at the contact zone as well as mineralogical disequilibrium between gabbroic pegmatite and the host gabbroic rocks suggest that the pegmatite may form as a result of accumulation from Fe-rich melt (or liquid) that occurred somewhere rather than in situ form from the host gabbroic rock during the magmatic differentiation. Consequently, the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y on the post-magmatic activities can not only help us improve our understanding on magmatic fractionation but also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on Fe-Ti oxide mineralization in gabbroic rocks resulting from the magmatic differentiation.

GENERAL STRATIGRAPHY OF KOREA (한반도층서개요(韓半島層序槪要))

  • Chang, Ki Ho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8 no.2
    • /
    • pp.73-87
    • /
    • 1975
  • Regional unconformities have been used as boundaries of major stratigraphic units in Korea. The term "synthem" has already been propsed for formal unconformity-bounded stratigraphic units of maximum magnitude (ISSC, 1974). The unconformity-based classification of the strata in the cratonic area in Korea comprises in ascending order the Kyerim, $Sangw{\check{o}}n$, $Jos{\check{o}}n$, $Py{\check{o}}ngan$, Daedong, and $Ky{\check{o}}ngsang$ Synthems, and the Cenozoic Erathem. The unconformites separating them from each other are either orogenic or epeirogenic (and vertical tectonic). The sub-$Sangw{\check{o}}n$ unconformity is a non-conformity above the basement complex in Korea. The unconformities between the $Sangw{\check{o}}n$, $Jos{\check{o}}n$, and $Py{\check{o}}ngan$ Synthems are disconformities denoting late Precambrian and Paleozoic crustal quiescence in Korea. The unconformities between the $Py{\check{o}}ngan$, Daedong, and $Ky{\check{o}}ngsang$ Synthems are angular unconformities representing Mesozoic orogenies. The bounding unconformities of the $Ky{\check{o}}ngsang$ Synthem involve non-conformable parts overlying the Jurassic and late Cretaceous granitic rocks.

  • PDF

K-Ar biotite ages of pelitic schists in the Jeungpyeong-Deokpyeong area, central Ogcheon metamorphic belt, Korea (증평-덕평 지역 중부 옥천변성대에 분포하는 이질 편암의 K-Ar 흑운모 연대)

  • 조문섭;김인준;김현철;민경원;안중호;장미경개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2
    • /
    • pp.178-184
    • /
    • 1995
  • The K-Ar ages of biotites, obtained from thirteen pelitic schists in the Jeungpyeong-Deokpyeong area, central Ogcheon metamorphic belt, range from 89 Ma to 213 Ma except for one specimen. These K-Ar ages systematically decreas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nalyzed specimen and the Jurassic or Creataceous granite decreases. The K-Ar ages of b~otites adjacent to the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are 166 Ma and 89 Ma, respectively. Thus, the biotite ages are interpreted to result from the partial or complete resetting by thermal activities in association with the intrusion of Mesozoic granites, following the regional-thermal metamorphism at Late Triassic to Early Jurassic times.

  • PDF

백동지역 변성염기성암과 그 주변암에서의 고생대 후기 변성작용과 그에 대한 지구조적 의미 해석

  • 오창환;전은영;최선규;송석환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3-144
    • /
    • 2001
  • 경기육괴의 남서부에 해당하며 옥천구조대의 북쪽에 위치한 백동-홍성 일대의 충청남도 일원에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복합체내에 초염기성암체들이 소규모 렌즈상의 암체로 이 지역에 우세한 구조선 방향인 북북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산출된다. 이들 초염기성암채들이 조산대에 형성되는 알파인형이며 전형적인 상부 맨틀기원의 암석이 부분용융된 맨틀 잔여물로서 지표로의 이동과정에서 변성작용을 받아 대부분은 사문석화 혹은 활석화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의 주대상인 변성염기성암을 포함하는 백동지역의 초염기성암은 홍성도폭내 덕정리 편암암체 내에 주변 편마암체와 단층으로 접하면서 나타난다. 덕정리 편마암체는 주로 각섬석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어있다. 백동지역의 초염기성암내에는 변성염기성암이 층상으로 협재되어 나타난다. 이들 변성염기성암은 석류석, 단사휘석, 각섬석, 사장석으로 주로 이루어진 석류석 각섬암이며 금홍석도 포함하고 있다. 많은 석류석 주변에는 사장석과 각섬석으로 이루어진 심플렉타이트가 발달되어있다. 석류석 각섬암내 심플렉타이트가 형성되지 않은 석류석 가장자리로부터 계산된 변성 온도-압력 조건은 590-72$0^{\circ}C$, 9-l0kb이며 심플렉타이트가 잘 형성된 석류석 주변부로부터는 490-$600^{\circ}C$, 4-6.3kb의 변성 온도-압력 조건이 계산되었다. 이에 반해 변성염기성암을 포함한 초염기성암체 주변에 나타나는 석류석-각섬석 화강편마암으로 부터는 570-78$0^{\circ}C$, 11.6-l6kb의 변성 온도-압력 조건을 얻었다. 석류석 각섬암에서 석류석내에 포획물로 나타나는 휘석(Xjd, 4-11)이 기질에 나타나는 휘석(Xid, 1-6)보다 높은 제이다이트 성분을 갖는다. 이는 석류석 중심부가 석류석 주변부보다 변성압력 조건이 높았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즉 연구지역의 석류석 각섬암은 주변의 각섬석 화강편마암과 같이 에콜로자이트상-상부각섬암상-고압백립암상의 점이대에 해당하는 변성작용을 받은후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시기에 1차 후퇴변성작용을 그리고 그후의 활석화 시기에 심플렉타이트를 형성하는 2차 후퇴변성작용을 받았다. 이러한 후퇴변성작용시기에 많은 유체가 침입하였고 그 결과 초염기성암내의 변성염기성암이 주변 화강편마암보다 후퇴변성작용을 강하게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변성염기성암의 변성연대를 구하기 위해 두 석류석 각석암 시료에 대해 석류석-전암 Sm-Nd 등시선 연령을 구하였다. 두 개의 석류석 각섬암으로부터 계산된 전암-석류석 연령은 297.9$\pm$5.7(2$\sigma$)Ma 그리고 268.7$\pm$3.3(2$\sigma$)Ma를 나타낸다. 석류석의 Sm-Nd 폐쇄온도가 700-75$0^{\circ}C$임을 고려할 때 두 석류석 각섬암으로부터 계산된 연대는 최고 변성작용 혹은 초기 냉각 시기를 지시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전암의 두 동위원소 자료로부터 계산된 전암의 연령은 408Ma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구지역의 석류석 각섬암이 시루리아기 후기 혹은 데본기 초기에 관입 후 석탄기 후기에서 페름기 중기에 주변 화강편마암과 함께 섭입작용을 받았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 PDF

Thermal and Uplift Histories of the Jurassic Granite Batholith in Southern Jeonju: Fission-track Thermochronological Analyses (전주 남부지역 쥬라기 화강암질 저반체의 지열사와 융기사: 피션트랙 열연대학적 해석)

  • Shin, Seong-Che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5
    • /
    • pp.389-410
    • /
    • 2016
  • Wide ranges of fission-track (FT) ages were obtained from the Jurassic granite batholith in Jeonju-Gimje-Jeongeup area, southwestern Okcheon Belt: sphene=158~70 Ma; zircon=127~71 Ma; apatite=72~46 Ma. Thermochronological analyses based on undisturbed primary cooling and reset or partially-reduced FT ages, and some track-length data reveal complicated thermal histories of the granite. The overall cooling of the batholith i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rapid earlier-cooling (${\sim}20^{\circ}/Ma$) to $300^{\circ}C$ isotherm since its crystallization and a very slow later-cooling ($2.0{\sim}1.5^{\circ}/Ma$) through the $300^{\circ}C-200^{\circ}C-100^{\circ}C$ isotherms to the present surface temperature. It is indicated that the large part of Jurassic granitic body experienced different level of elevated temperatures at least above $170^{\circ}C$ (maximum>$330^{\circ}C$) by a series of igneous activities in late Cretaceous. Consistent FT zircon ages from duplicate measurements for two sites of later igneous bodies define their formation ages: e.g., quartz porphyry=$73{\pm}3Ma$; diorite=$73{\pm}2Ma$; rhyolite=$72{\pm}3Ma$; feldspar porphyry=$78{\pm}4Ma$ (total weighted average=$73{\pm}3Ma$). Intrusions of these later igneous bodies and pegmatitic dyke swarms might play important roles in later thermal rise over the study area including hot-spring districts (e.g., Hwasim, Jukrim, Mogyokri, Hoebong etc.). On the basis of an assumption that the latercooling of granite batholith was essentially controlled by the denudation of overlying crust, the uplift since early Cretaceous was very slow with a mean rate of ~0.05 mm/year (i.e., ~50 m/Ma). Estimates of total uplifts since 100 Ma, 70 Ma and 40 Ma to present-day are ~5 km, ~3.5 km and ~2 km, respectively. The consistent values of total uplifts from different locations may suggest a regional plateau uplift with a uniform rate over the whole granitic body.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the Jurassic Daebo granites in the Pocheon-Gisanri area (포천 - 기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쥬라기 대보화강암류의 암석 및 암석화학)

  • 윤현수;홍세선;이윤수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1
    • /
    • pp.1-16
    • /
    • 2002
  • The study area is mostly composed of Precambrian Gyeonggi gneiss complex, Jurassic Daebo granites, Cretaceous tonalite and dykes, and so on. On the basis of field survey and mineral assemblage, the granit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biotite granite (Gb), garnet biotite granite (Ggb) and two mica granite (Gtm). They predominantly belong to monzo-granites from the modes. Field relationship and K-Ar mica age data in the surrounding area suggest that intrusive sequences are older in order of Gtm, Ggb and Gb. Gb and Ggb, major study targets, occur as medium-coarse grained rocks, and show light grey and light grey-light pink colors, respectively. Mineral constituents are almost similar except for opaque in Gb and garmet in Ggb. Gb and Ggb have felsic, peraluminous, subalkaline and calc alkaline natures. In Harker diagram, both rocks show moderately negative trends of $TiO_2$, MgO, CaO, $Al_2O_3$, $Fe_2O_3$(t), $K_2O$ and $P_2O_5$ as $SiO_2$ contents increase. Among them, $TiO_2$, MgO and CaO show two linear trends. From the trends and the linear patterns in AFM, Sr-Ba and Rb-Ba-Sr relations, it is likely that they were originated from the same granitic magma and Ggb was differentiated later than Gb. REE concentrations normalized to chondrite value have trends of parallel LREE enrichment and HREE depletion. One data of Ggb showing a gradually enriched HREE trend may be caused by garnet accompaniment. Ggb have more negative Eu anomalies than Gb, suggesting that plagioclase fractionation in Ggb have occurred much stronger than that in Gb. In modal (Qz+Af) vs. Op, Gb and Ggb belong to magnetite-series and ilmenite-series, respectively. From the EPMA results, opaques of Gb are magnetite and ilmenite, and those of Ggb are magnetite-free ilmenite or not observed. Bimodal distribution of magnetic susceptibility reveals two different granites of Gb (332.6 ${mu}SI$) and Ggb (2.3 ${mu}SI$). Based on the paleomagnetic analysis as well as modal analysis, the main susceptibilities of Gb and Ggb reside in magnetite and mafic minerals, respectively. They belong to S-type granite of non-magnetic granite by susceptibility value. In addition, $SiO_2$ contents, $K_2O/Na_2O$, A/CNK molar ratio and ACF diagram support that they all belong to S-type granites.

Geological History and Landscapes of the Juwangsan National Park, Cheongsong (국립공원 주왕산의 지질과정과 지형경관)

  • Hwang, Sang Koo;Son, Young Woo;Choi, Jang Oh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3
    • /
    • pp.235-254
    • /
    • 2017
  • We investigate the geological history that formed geology and landscapes of the Juwangsan National Park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 Juwangsan area is composed of Precambrian gneisses,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Permian to Triassic plutonic rocks, Early Mesozoic sedimentary rocks, Late Mesozoic plutonic and volcanic rocks, Cenozoic Tertiary rhyolites and Quaternary taluses. The Precambrian gneisses and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Ryeongnam massif occurs as xenolithes and roof-pendents in the Permian to Triassic Yeongdeok and Cheongsong plutonic rocks, which were formed as the Songrim orogeny by magmatic intrusions occurring in a subduction environment under the north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area before a continental collision between Sino-Korean and South China lands. The Cheongsong plutonic rocks were intruded by the Late Triassic granodiorite, which include to be metamorphosed as an orthogneiss. The granodiorite includes geosites of orbicular structure and mineral spring. During the Cretaceous, the Gyeongsang Basin and Gyeongsang arc were formed by a subduction of the Izanagi plate below East Asia continent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The Gyeongsang Basin was developed to separate into Yeongyang and Cheongsong subbasins, in which deposited Dongwach/Hupyeongdong Formation, Gasongdong/Jeomgok Formation, and Dogyedong/Sagok Formation in turn. There was intercalated by the Daejeonsa Basalt in the upper part of Dogyedong Formation in Juwangsan entrance. During the Late Cretaceous 75~77 Ma, the Bunam granitoid stock, which consists of various lithofacies in southwestern part, was made by a plutonism that was mixing to have an injection of mafic magma into felsic magma. During the latest Cretaceous, the volcanic rocks were made by several volcanisms from ubiquitous andesitic and rhyolitic magmas, and stratigraphically consist of Ipbong Andesite derived from Dalsan, Jipum Volcanics from Jipum, Naeyeonsan Tuff from Cheongha, Juwangsan Tuff from Dalsan, Neogudong Formation and Muposan Tuff. Especially the Juwangsan Tuff includes many beautiful cliffs, cayon, caves and falls because of vertical columnar joints by cooling in the dense welding zone. During the Cenozoic Tertiary, rhyolite intrusions formed lacolith, stocks and dykes in many sites. Especially many rhyolite dykes make a radial Cheongsong dyke swarm, of which spherulitic rhyolite dykes have various floral patterns. During the Quaternary, some taluses have been developed down the cliffs of Jungtaesan lacolith and Muposan Tuff.

이온현미분석기를 사용한 남서부 경기육괴 변성암류의 U-Pb 저어콘 연대: 남중국지괴와의 대비 가능성

  • 조문섭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1-142
    • /
    • 2001
  • 남서부 경기육괴의 편마암류로부터 분리된 저어콘(zircon) 입자를 대상으로, 이온현미분석기(ion microprobe)를 사용한 U-Pb 연대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후기 원생대(약 820 Ma) 뿐만 아니라 오르도비스기에 상당한 화성활동이 한반도에 있었음을 지시한다. 우리 나라 후기 원생대의 화성-변성 활동에 대해 알려져 있는 바는 극히 제한적이어서 후속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연구는 한반도의 지체구조적 변천사를 로디니아 초대륙(Rodinia supercontinent)의 생성-분리와 관련해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오르도비스기의 화성작용은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소위 “칼레도니아(Caledonian)” 변동 (cf. 조문섭, 2000)에 대한 또 다른 증거를 제공해준다. 저어콘의 연대측정은 서호주의 커튼공업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SHRIMP-II(Sensitive High-Resolution Ion Microprobe-II; 고감도-고분해능 이온현미분석기)를 사용하였으며, 시료 준비 및 분석방법은 기존에 보고된 바와 같다 (e.g., Kinny et al., 1999). 분석된 3개의 암석 시료(1006-5, 8, 9)는 경기육괴의 남서부에 위치한 홍성 지역의 정편마암들이다. 1006-8 시료는 Turek and Kim (1996)이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해 687$\pm$5 Ma의 U-Pb 저어콘 연대를 보고한 바 있는 화강암질 편마암 (시료번호, KJ43)에 해당된다. 두 개의 다른 시료는 1006-8 주변에서 산출하는 전형적인 경기육괴의 편마암류로서 화강암질 정편마암이다. 이들 시료로부터 분리된 저어콘 입자들은 대부분 화성기원의 누대구조와 자형의 결정형태를 보여준다. 과성장띠(overgrouth rims)는 1006-5 시료에서 흔하게, 그리고 1006-9 시료에서 매우 드물게 관찰된다. 음극선발광(cathodoluminescence) 영상의 해석을 통해 저어콘 결정의 성장사를 유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온현미분석 점(spot)을 정하였다. U-Pb-Th 자료는 퍼스(Perth) 저어콘 스탠다드 (CZ3, 564 Ma, $^{206}$Pb/$^{238}$U=0.0914)를 사용하였다. 아래에 기술하는 연대는 모두 $^{206}$Pb/$^{238}$U 연대에 해당된다. 두 개의 화강암질 편마암 시료로부터 구한 U-Pb 저어콘 연대는 각각 812 $\pm$ 14 Ma(1006-8)와 822 $\pm$ 17 Ma(1006-9)로 분석오차 내에서 서로 일치한다. 이 결과는 춘천 및 전곡 지역의 석류석 각섬암에서 보고된 Sm-Nd 전암연대(852 $\pm$ 24 Ma 및 824 $\pm$ 143 Ma; Lee and Cho, 1995; Ree et al., 1996)와 잘 부합한다. 따라서 후기 원생대 기간 중 화성활동이 한반도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한편, 1006-9 시료에서는 예외적으로 한 개의 저어콘 입자 주변부(rim)에서 매우 얇은 과성장띠가 관찰되었으며, 두 개의 점 분석으로부터 구한 U-Pb 저어콘 연대는 약 235 Ma이다. 이 띠는 또한 변성기원의 저어콘에서 흔히 관찰되는 작은 W (<0.05) 비를 보인다. 1006-5 시료는 위 두 시료로부터 수 km 떨어진 지점에서 채집하였으나, 저어콘 연대는 상이한 기록을 보여준다. 즉 매우 작은 Th/U (<0.01) 값을 갖는 저어콘의 주변부에서 223 $\pm$ 5 Ma의 연대가 잘 정의되며, 이는 1006-9 시료에서 관찰된 결과와 함께 트라이아스기의 고온변성작용이 백립암상에 가까운, 매우 높은 온도에 달하였음을 지시한다. 한편 저어콘의 중심부는 335-473 Ma의 비교적 넓은 연대 분포를 보인다. 이는 저어콘이 실제 성장한 연대를 지시하기보다는 트라이아스기의 변성작용에 따른 납손실(Pb loss) 그리고 누대 규모보다 더 큰 빔 크기(beam size, 약 30 $\mu\textrm{m}$)의 영향일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저어콘이 다양한 외래물질로부터 기원했다는 증거가 관찰되지 않으므로, 이 정편마암의 모암은 오르도비스기(약 430-470 Ma)에 관입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소위 “칼레도니아” 변동이 한반도 내에 실존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경기육괴의 변성암류는 후기 원생대 이후 다양한 저어콘의 성장사를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1) 후기원생대(약 820 Ma)의 화성작용; (2) 오르도비스기(약 450 Ma)의 화성작용: 그리고 (3) 트라이아스기 (약 223 Ma)의 부분용융을 수반한 고온 변성작용으로 대표된다. 이러한 지질연대는, 옥천변성대에서 얻어진 756 Ma의 저어콘 연대(Lee et al., 1998)와 더불어, 친링-다비-수루(Q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와 양쯔 지괴에서 보고된 지질연대 결과와 잘 부합한다. 따라서 지구연대학적으로 경기육괴가 북중국보다는 대륙충돌대를 포함하는 남중국지괴에 속할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PDF

The Significance of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ertain Elements in the Stream Sediments' of the St. Austell Granite Mass, Cornwall (영국(英國)콘웰주(州)의 성(聖)오우스텔 화강암괴(花崗岩塊)에 대(對)한 지구화학적(地球化學的) 연구(硏究))

  • Lee, Jae Yeong;Olinze, Simon Kain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 no.4
    • /
    • pp.23-71
    • /
    • 1969
  • Sediment samples were taken at about half-mile intervals from all the inajor rivers draining the St. Austell granite mass. The minus 80 mesh(B.S.S.) fraction of each sample was analysed, using semiquantitative methods, for sodium, potassium, lithium, phosphorus, nickel, chromium, tin, tungsten, arsenic copper, zinc and lead. The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view to gaining further information as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such different granite facies as might axist, and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dispersion of these elements with relation to mineralisation in this area. The sesults confirm Exley's suggestion that the mass consists of two major granite intrusions, the earlier undifferentiated one is joined on the west by a later differentiated intrutive. During the work grid deviation maps proved particularly useful in obtaining data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granite but frequency diagrams were not particularly helpful. All the known lode areas were associated with stream sediments containing anomalously high concentrations of lode metals and it is concluded that these high concentrations are due premarily to lode material transferred to the streams in the form of tailings lost during milling operations.

  • PDF

A Kinetic Study of GaN Formation from GaOOH under $NH_3$ Flowing ($NH_3$ 분위기에서 GaOOH로부터 GaN의 반응기구)

  • 이재범;이종원;박인용;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94-94
    • /
    • 2003
  • 최근, 새로운 전자재료로서 GaN 분말의 합성과 응용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CaN 분말은 열처리 과정 중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표면 보호용 소재, CaN 박막 또는 벌크 결정을 성장하기 위한 precursor 및 대면적 평판표시소자 제작을 위한 전기발광소자용 소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10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Ga과 NH$_3$를 반응시키거나, Ga이 포함된 화합물반도체 또는 산화물 및 질산염 등을 NH$_3$ 분위기에서 가열시켜 GaN 분말을 합성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출발물질로서 GaOOH를 채택하고, 이를 NH$_3$ 가스를 흘리면서 가열 반응시켜 GaN 분말을 합성하고 X선 회절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GaN의 합성에 대한 반응기구를 조사하였다. GaN 분말을 합성하기 위하여 GaOOH 분말 1g을 석영 용기에 담아 석영 반응관 내에 위치시키고, 반응관 내부를 $10^{-3}$ torr의 진공으로 배기한 후 $N_2$를 주입하면서 전기로의 온도를 1$0^{\circ}C$/min으로 승온시켰다. 반응온도는 300~l17$0^{\circ}C$의 범위에서 변화시켰고, 반응시간은 10분부터 24시간까지 변화시켰으며, NH$_3$의 유량은 300~700 sccm의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GaN의 반응역학을 조사하기 위하여 X선 회절도에서 특정 성분의 회절강도는 시료 내에 포함된 특정 성분의 량에 직접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2$\theta$=37$^{\circ}$부근에서 관찰되는 GaN의 (101)면에 의한 회절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GaN의 생성량으로 고려하였다.}C$로 소결 하였다. coating 결과 박리현상은 없었으나, 표면과 단면의 SEM분석결과 다소 porous한 박막층이 형성되었으며, Ca이온이 지지체로 permeation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보다 치밀한 박막생성을 위해, slurry 제조조건을 변화시켰으며, Ca이온의 migration을 막기 위해 barrier layer를 이용하였다 완전 소결된 지지체는 가스투과도와 전기전도도측정을 통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였다.다.m이하의 NH$_3$ 가스를 검출할 수 있었다.기 화강암 관입 이전에 좌수향 전단 운동에 의해 부분적으로 재활성 되었으며, 후기 화강암의 관입 이후에 재차 우수향 전단운동으로 활성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호남전단대는 쥬라기 중기에 발생한 광역적인 우수향의 연성전단운동이나, 운동 특성은 연속적이기 보다는 단속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리 폐 관류는 정맥주입 방법에 비해 고농도의 cisplatin 투여로 인한 다른 장기에서의 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와 이차성 자연기흉에 대해서는 흉막유착술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고, 사회로의 복귀가 빠르며, 고위험군에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미용상의 이점이 크다는 면에서 자연기흉에 대해 유용한 치료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개흉술에 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