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효모

Search Result 2,25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eer Using Brewing Yeast isolated from Nuruk (누룩에서 분리한 양조용 효모를 이용한 쌀맥주의 품질특성 연구)

  • Lee, Young Bog;Ko, Dong Jun;Cheong, Ch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2
    • /
    • pp.340-34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rewing properties of rice beer made with yeast isolated from traditional whole wheat nuruk. The experimental method was followed by alcohol fermentation and quality analysis for six months after separating the yeast from nuruk. The yeasts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showed norm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like those of commercial yeast, in terms of alcohol production capability, sugar content, and pH reducing power. Especially, the yeast (KCCM 301) isolated from whole wheat nuruk showed higher contents of glycogen and trehalose than that of commercial yeast, and so KCCM 301 yeast has excellent yeast vitality. Meanwhile, the yeast (KCCM 90301)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alcohol and ester contents than that of commercial yeast. This has a positive effect for supplementing the taste and aroma of rice beer. In conclusion, the yeasts isolated from whole wheat nuruk showed the general alcohol fermentation pattern and aroma content of rice beer. These yeasts seem to be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flavor of rice beer.

The a Domain of Protein Disulfide Isomerase is critical for synthesis of secretory proteins in Saccharomyces Cervisiae (Saccharomyces Cervisiae의 분비성 단백질의 합성 효율에 관여하는 이황이성질화 효소의 활성 도메인)

  • Kim, Sung-Hwan;Kim, Tae-Yoon;Kang, Ha-Ra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239-242
    • /
    • 2012
  • 효모 (Saccharomyces Cervisiae)는 단일 세포의 형태로 존재하는 진핵 세포로써 동물세포와 유사한 기작으로 분비성 단백질을 생성한다. 따라서 박테리아와 달리 효모를 이용하면 당단백질이나 이황결합을 포함하는 분비성 단백질을 경제적으로 대량 합성할 수 있다. 효모의 필수 단백질 중 하나인 단백질 이황이성질화 효소는 소포체에 위치하며 분비성 단백질에 구조적으로 안정한 이황결합을 제공하는 효소이다. 본 연구는 단백질 이황이성질화 효소 (protein disulfide isomerase)가 지니고 있는 두 개의 활성도메인 중 분비성 단백질들의 합성 효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부위를 찾는 연구이다. 효모 유전체로부터 단백질 이황이성질화 효소의 유전자 (PDI1)을 제거하고 효소의 변이 유전자를 주입한 후 효모의 성장 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효모의 대표적 분비성 단백질을 각 변이 효소를 지니는 효모에 과발현시켜 합성 및 이황결합 형성 효율을 측정하였다. 단백질 이황이성질화 효소내 두 개의 활성 부위 중 아미노 말단쪽에 위치한 a 도메인에 있는 활성 부위가 분비성 단백질의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이황결합이나 당을 포함하는 외래 단백질의 고효율 합성을 위한 새로운 효모종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Dietary value of yeast on nauplius of Artemia and Mytilus edulis (Artemia와 진주담치 유생에 대한 효모의 먹이효율)

  • 김해영;김중균;허성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84-85
    • /
    • 2003
  • 조개류의 먹이생물인 미세조류를 대체할 수 있는 효모를 개발하기 위하여 빵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utilis, Klyveromyces fragilis 3종류의 효모를 대상으로 그 먹이효율을 실험하였다. 이들 3종류의 효모를 세포벽을 75, 50, 25% 제거한 것과 세포벽을 제거하지 않은 효모로 구분하여 Artemia를 대상으로 먹이효율을 조사한 후 가장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C. utilis를 조개류의 대표적 먹이생물인 Isoch교sis galbana 와 함께 진주담치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Artemia 실험결과 빵효모보다 C. utilis, K. fragilis가 높은 생존율과 성장을 보였으며 세포벽을 제거한 것이 제거하지 않은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Artemia의 생존율은 75%와 50% 세포벽을 제거한 것이 2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성장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세포벽을 많이 제거할수록 성장과 생존율은 높은 경향이었다. 이와같이 Artemia의 경우는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가 더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것은 Artemia는 효모의 세포벽을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진주담치 유생의 먹이로 C. utilis를 공급한 경우 성장에 있어서 세포벽을 제거한 효모를 50% 대체한 실험구의 먹이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세포벽을 벗기지 않은 효모의 경우 I. galbana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진주담치 유생에 있어서도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를 공급한 것은 대조구인 I. galbana와 생존율에 있어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25% 세포벽을 제거한 것을 공급한 실험구는 유의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각장 성장의 경우 75% 세포벽을 제거한 것은 대조구인 I. galbana와 유의성이 없었다.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와 I. galbana를 1:1로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의 경우 생존율에 있어서는 세포벽을 50%, 75% 제거한 C. utilis를 50% 첨가한 실험구는 대조구인 I. galbana 100%를 공급한 것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장의 경우는 I. galbana 에 세모벽을 75% 제거한 C. utilis를 1:1로 혼합한 실험구에서 각장 179.3 $\mu\textrm{m}$, 각고 150.3 $\mu\textrm{m}$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인 I. galbana 100%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ejoksan, Oseosan and Beakamsan of Korea (대전 계족산과 충남 오서산 및 전북 백암산 주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 Min, Jin-Hong;Ryu, Jin-Ju;Kim, Ha-Kun;Lee, Jong-Soo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1 no.1
    • /
    • pp.47-51
    • /
    • 2013
  • Yeasts isolated from wild flowers of Gyejoksan in Daejeon city, Oseosan in Chungchungnamdo, and Baekamsan in Jeollabukdo, Korea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 of nucleotide sequences for PCR-amplified D1/D2 region of 26S rDNA or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 and 2 including 5.8S rDNA using BLAST. Twelve yeast strains of ten species and seventeen yeast strains of ten species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of Gyejoksan and Oseosan, respectively. And thirty seven yeast strains of twenty four species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of Baekamsan. Total thirty four yeast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ree different sample collection areas, but only nine species were overlapped from the at least two different sampling areas: Cryptococcus sp., Cryptococcus aureus, Cryptococcus flavescens, Cryptococcus flavus, Metschnikowia sp., Pseudozyma aphidis, Rhodotorula glutinis, Sporobolomyces carnicolor, and Sporobolomyces ruberrimus. Among them only Cryptococcus aureus was occurred from all three different collection sites. Other twenty five species were restricted to specific collection site suggesting that each area has distinctive yeast flora.

Efficiency of Enriched Rotifer and Artemia nauplius for the Seedling Production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넙치 종묘생산을 위한 Rotifer와 Artemia nauplius의 영양강화효과)

  • LIM Young Soo;HUR Sung Bum
    • Journal of Aquaculture
    • /
    • v.7 no.4
    • /
    • pp.225-237
    • /
    • 1994
  • Survival and growth rates of flounder larvae fed rotifers and Artemia nauplii enriched by various bio-enrichment techniques were investigated. Enriched materials used in the study were $12\omega-yeast$, 2 commercial emulsified oil and microparticulated products. $\omega-yeast$ were added with one kinds of oils (cuttlefish liver oil, sardine oil, Alaska pollock liver oil, linseed oil) at the level of $5\%,\;15\%\;and\;2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rowth rate of rotifers cultured with $\omega-yeast$ added $15\%$ cuttlefish liver oil was the best among 12 kinds of $\omega-yeast$ and this performance was almost the same with that of rotifers fed on Chlorella. 2. Survival and growth rates of flounder larvae fed on rotifers and Artemia nauplii enriched with $\omega-yeast$ and the other commercial products were higher than that those of larvae cultured with only Chlorella and non-enriched Artemia. The optimum contents of the cuttlefish liver oil in $\omega-yeast$ for rotifers and Artemia enrichment were $15\%\;and\;25\%$, respectively. 3. Optimum enrichment time and supply amount of $\omega-yeast$ for Artemia nauplii were 6 hr., 1.5 g/g cyst, respectively.

  • PDF

Establishment of a Leucocin A Producing Sccharomyces cerevisiae Cell (박테리오신 leucocin A를 생산하는 Saccharomyces serevisiae 세포의 제작)

  • 이상현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3 no.5
    • /
    • pp.712-717
    • /
    • 2003
  • In order to establish yeast cells that produce leucocin A, a bacteriocin, the 117 bp leucocin A gene with start and stop codons was synthesized and cloned in pAUR123, a yeast vector. Transformed yeast cell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The leucocin A gene was confirmed by means of PCR methods with plasmid prepared from transformed yeast cells as template and two leucocin A-specific primers. In this results, yeast cells that produce mass amounts of bacteriocin to use as food preservative or antibiotics were established.

발효유제품에 있어서 유산균과 효모의 상호작용

  • 박기문;강국희;최윤주;이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9.10a
    • /
    • pp.246.3-247
    • /
    • 1979
  • 우유를 원료로하여 만든 치-즈나 발효유에는 Streptococcus나 Lactobacillus와 같은 유산균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제품에 발효가 많이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으나, 그 존재의의에 대해서는 아직 불명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발효유에 존재하는 효모의 역활을 검토하기 위하여, 발효유제품의 starter로 사용되는 Lactobacillus와 효모 Saccharomyces fragillis 그리고 Deba-ryomyces hansenii 사이에 어떠한 상호작용이 있는지 를 알아보았다. 본 실험에 사용한 유산균수는 L.casei와 L. bulgaricus를 시판발효유제품에서 분리하였고 효모균수는 당학과 보존중인 D. hansenii, S. fragilis를 사용하였다. 유산균과 효모에 대한 단독배양과 혼합배양을 실시하고, 온도와 배양기간중에 나타나는 생균수와 산도변화를 관찰하였다. 유산균의 생균수 측정에는 B.C.P agar, 효모는 Y.M agar를 사용하였다. 산도는 일반분석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 PDF

어분함량이 다른 배합사료에 Kluyveromyces fragilis, Candida utilis 및 맥주효모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ili)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효과

  • 김동주;김중균;임한규;이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55-256
    • /
    • 2000
  • 효모는 크기가 매우 작고 영양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양식 시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동물성 플랑크톤의 먹이나 배합사료의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효모의 종류는 수 없이 많은데 이러한 효모들 중에서 Kluyeromyces fragilis 와 Candida utilis 는 대량배양이 가능하며 병원성 균주가 아닌 먹이생물로서 개발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Epifanio, 1979). 또한 Lee et al (1999)은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사료첨가제로 이용가능성을 타진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양식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조피볼락을 대상으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어분 함량을 달리 첨가한 배합사료에 K. fragilis, C. utilis 및 맥주효모를 각각 3%씩 첨가한 사료를 제조, 공급하여 이들 효모첨가가 조피볼락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략)

  • PDF

Effects of Seeding on the Microbial Changes During Thermophilic Composting of Food Waste (종균 첨가가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Choi, Min-Ho;Chung, Yoon-Jin;Park, Yun-Hee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4 no.1
    • /
    • pp.1-11
    • /
    • 1996
  • The effect of seeding on the thermophilic composting of food waste was investigated with selected strains of yeast, thermophilic bacteria and the mixed strains of yeast and bacteria in the lab-scale composter at $50^{\circ}C$.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all case the growth of yeasts preceded the growth of thermophilic bacteria by one or two days. The seeding of bacteria alone was ineffective for thermophilic bacterial development and the rapid increase of total thermophilic bacterial count was obtained by mixed seeding of yeasts and bacteria. Moreover, the bacterial growth was accelerated by the addition of yeasts alone. It was revealed that the yeasts removed organic acids from the food waste at the initial period and consequently induced the growth of thermophilic bacteria.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indicate the indispensable role of yeasts for thermophilic process of food waste composting.

  • PDF

Utilization of Egg Type Male Chicks From Hatchery to Produce Yeast Culture for Animal Feed. (부화부산물 수평아리 사체를 이용한 사료용 효모 배양에 관한 연구)

  • 심관섭;박강희;김정학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6 no.3
    • /
    • pp.201-209
    • /
    • 2000
  • Optimal conditions to utilize egg type male chicks from hatchery for cultivating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 and the effects of the yeast culture on growth of broiler chicks were investigated. The protein concentration of the spent cockerel extracts was the highest when extracted for 72 hours. Optimal water volume added to the spent cockerel chicks for the extraction was 1.5 times to the cockerel chicks weight (v/w ratio). Lipid in the extracts from the spent cockerel chicks did not affect on the yeast growth. The number of yeast cultured in the SCELP2 medium containing spent cockerel extracts and 4 % sugarcane molasses was higher by 26 % than that in the YEPD medium containing 1 % yeast extract, 2 % bacto pepton and 2 % glucose. Also the number of yeast cultured in the SBYW2 medium containing SCEP2 medium containing SCELP2 and 4 % brewer's yeast waste was increased by 8 %, compared to that in the SCELP2 medium. Body weight gain of chicks fed 4 % yeast culture supplementations cultivated in the SBYW2 medium was increased at 5 weeks by 9 %, relative to no supplementation(P<0.05).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pent cockerel chicks can be utilized as nitrogen sources to produce yeast culture for animal fe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