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효고행동강령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is of Domestic Policy Trend and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센다이프레임워크 전환에 따른 재해위험경감 관련 국내 정책동향변화 및 과학기술의 역할)

  • Choi, Yoonjo;Hong, Seunghwan;Lee, Su Jin;Sohn, Hong-Gy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4
    • /
    • pp.765-773
    • /
    • 2017
  • With the end of the HFA (Hyogo Framework Action) in 2015, SFDRR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was adopted as a new agenda for disaster risk reduction at the 3th WCDRR (World Conference on Disaster Risk Reduction), held in March 2015. Continued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agenda for reducing disaster risk is critical to disaster risk reduction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international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major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genda for disaster risk reduction as the transition from HFA to SFDRR, and analyzed South Korea's major achievements in the HFA and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SFDRR in South Korea. In addition, SFDRR emphasizes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olicy making, and examined research trends in science and technology. 49.9% of the efforts were made to prevent the disasters during the disaster management stage, and plans related to priority 1 (40.4%) and 4 (35.8%) were mainly promot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disaster management were analyzed as active, but 79.7% of the tasks were related to priority 4,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ll four priorities. Recently, disaster management using next-generation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ies such as satellite technology and big data is required,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effectively to mitigate disaster risk through establishment of education and policy to support it.

Water Related Disaster Risk Reduction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를 위한 물관련 재해위험경감 교육훈련프로그램 연구)

  • Lee, Seungho;Cho, Ye-Eun;Ko,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28-128
    • /
    • 2015
  •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 사업 중 하나로 개발도상국의 실무자 및 정책결정자의 물 관련 재해위험경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물 관련 재해에 대한 구조적, 비구조적 대응방식을 균형있게 논의하고 지방정부 및 관련기관과의 협력, 지역사회기반의 재해경감정책 등 새로운 대응방식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한다. 2000년-2006년 기간 Emergency Disasters Database (EM-DAT)에 기록된 전 세계 2,163건의 물 관련 재해는 총 29만 명 이상의 인명피해와 4,220억 달러의 재산피해를 초래하였다. 이런 재해는 개발도상국이나 선진국 모두에게 치명적이지만 특히 재해대응역량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여 국가개발과 존망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재해관리를 간과하여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5년 효고행동강령(Hyogo Framework for Action: HFA)의 기본원칙, 2011년 중간평가 검토, 2015년 이후 제시될 새로운 재해위험경감 정책의 틀 속에서 재해위험경감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개발도상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적개발원조 프로그램을 운영한 천안의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과 일본 고베시의 JICA 등을 방문하여 물 관련 재해 대응의 실질적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물 관련 재해대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대상은 실무자와 정책결정자로 설정하고 예방/대비/대응/복구의 유형에 따른 교육과정을 검토한다. 재해 대응 역량강화를 위하여 댐이나 제방 등 홍수위험관리기술과 같은 구조적 방식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재해위험경감을 위한 홍수위험도 분석과 관리, 도시홍수위험경감계획, 관련 법규제정, 지역홍수위험경감과 민관협력 등과 같은 비구조적 방식에 대한 교육도 포함한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과 물 관련 재해관리 경험을 정책, 사업, 사례와 연관시켜 교육을 진행하고 장단점 비교를 통하여 개발도상국 현지에 적합한 모델을 모색한다. 또한 재해발생시 피해규모를 최소화하게 하는 초동대응을 위해서 행정뿐만 아니라 지역, 시민, 기업 등 다양한 이해 당사자와 주체가 참여하는 종합대책교육을 포함한다. 사회경제발전의 지속을 위해서는 재해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인간의 삶에 너무도 익숙하지만 홍수, 가뭄 등으로 치명적인 피해를 야기하는 물 관련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물 관리와 관련 재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한국의 물 관리 경험에 기초한 재해위험경감 교육과 훈련은 개발도상국의 효과적인 재해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