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횡골절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운동선수에서 횡방향 나사 고정 후 발생한 슬개골의 골절 - 증례 보고 - (Patellar fracture after transverse screw fixation in sports athletes - A case report -)

  • 라호종;김성태;하정구;김진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2
    • /
    • 2011
  • 전위성 슬개골 골절에 있어서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고정은 슬관절 기능과 강도, 그리고 조기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을 위해서 필요하다. 골절의 형태와 다양한 수술 기법에 따라서, 수술 후 많은 합병증들이 보고 되어져 왔다. 본 저자들은 운동 선수들에게서 발생한 종골절 1예와 이분성 슬개골의 골편 전위 골절 1예에서 유관 나사못 횡 고정술을 시행한 뒤 새로운 횡골절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유경 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관절와 횡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밑 내고정 (Arthroscopic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Cannulated Screw of a Transverse Glenoid Fracture)

  • 노규철;유정한;강기만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6-180
    • /
    • 2003
  • 저 자들은 관절와의 전위 된 횡골절에 대해 관절경 을 이 용하여 골절된 관절면을 확인하면서 골절의 정복을 유지 하고, 견관절경술식에 일 반적으로 사용되는 견봉 바로 외측에 위 치 한 외 측 삽입 구나 또는 견갑상와의 상부 삽입구 (Nevlaser porial)에서 피부를 통해 직경4 mm 타이타늄 유관 해면골 나사를 이 용하여 고정하였다. 관절경을 이 용한 골절 내고정술은 좋은 시 야를 확보할 수 있었고, 최소 침습 수술이므로 작은 연부조직 절개 , 적은 출혈량, 수술후 재활 기간의 단축 및 조기 관절 운동 힌용 등의 여러 장점 을 가지므로 이에 수술 방법과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최소 침습 기법 슬개건 부하 분산 봉합술과 유관 나사못을 이용한 슬개골 횡골절의 치료 (Treatment of Transverse Patella Fracture with Minimally Invasive Load-Sharing Patellar Tendon Suture and Cannulated Screws)

  • 이범석;박병문;양봉석;김규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40-545
    • /
    • 2021
  • 슬개골 횡골절은 수술이 필요한 전위된 슬개골 골절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이러한 슬개골 횡골절은 골절선을 지나 평행하게 삽입된 Kirschner-강선이나 나사못에 장력대 강선을 추가적으로 고정한 기법이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고식적인 고정 방법의 경우 삽입된 강선이나 핀의 돌출에 의한 합병증이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합병증은 내고정물의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수술을 필요로 하고, 의료비 상승 및 슬관절의 기능 제한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슬개골 횡골절에 대해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고 수술 시 연부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여 골절부 혈류를 보존하고 수술 후 통증을 감소시키며, 내고정물에 의한 자극과 그에 따른 통증을 감소시켜 관절 운동 제한 발생 위험을 감소 시키는 최소 침습 부하 분산 경피적 슬개건 봉합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사례들을 수술 술기와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전위된 하부 천골 횡골절에 대한 이중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 (Dual Plate Fixation for Displaced Transverse Fracture of the Lower Sacrum)

  • 최동혁;박지훈;심승우;최용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78-182
    • /
    • 2020
  • 하부 천골의 단독 골절은 일반적으로 저에너지 손상으로 안정된 골절이 많아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존적 치료가 이루이지고 있고 그 결과도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전위된 불안정 골절에서는 수술적 치료의 필요성이 요구되나 치료 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증례보고마저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하부 천골의 전위된 횡골절에 대해 관혈적 정복 및 이중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치험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퇴 경부 골절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Femur Neck Fractures)

  • 구환모;안면환;인주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9-80
    • /
    • 1990
  • 본 영남의대 정형외과학 교실에서는 1984년 1월 부터 1988년 5월 까지 입원 치료한 대퇴 경부 골절 환자 중 최근까지 2년 이상 추적 조사가 가능 하였던 23명의 24례를 대상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23명중 여자가 19명, 65세 이상의 노년층의 환자가 11명으로 노년층의 여자에서 호발하였다. 2. 18례에서 경도의 외력에 의한 것이었고 65세 이상의 12례 중 전례에서 경도의 외력에 의해 골절되었고 8례에서 심각한 골조송증을 보였다. 3. 24례 중 14례에서 전위된 골두하 골절이었고 6례에서 전위된 횡경부 골절이었으며 4례에서 전위되지 않은 횡경부 골절이었다. 4. 치료는 14례에서 도수 정복후 내고정을 10례에서 일차적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고 내고정한 14례중 4례에서 대퇴 골두 괴사로 이차적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5. 내고정을 시행한 14례 중 7례에서 합병증을 관찰할 수 있었고 무혈성 괴사가 6례, 불유합 2례, Pin 이동 3례, 내고정물 부전이 1례였다. 6.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14례에서 수술 직후의 대퇴경의 수술적 접합률이 대퇴경의 해리와 관계가 있었다.(r=-0.68. p<0.01) 대퇴 경부 골절의 치료시에 합병증의 발생은 대개 골절의 양상 및 치료시기, 정복의 정도에 의해 결정되며 치료의 지연, 정복의 불가능, 과내반 교정, 병적 골절일 경우에는 일차적 고관절 치환술이 환자의 조기 거동과 사망률의 감소를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경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 - 증례 보고 - (Arthroscopy Assisted Percutaneous Reduction and Screw Fixation of a Displaced Intra-articular Glenoid Fracture - A Case Report -)

  • 고상훈;전형민;신승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27-131
    • /
    • 2010
  • 목적: 저자들은 관절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고식적인 관절 절개술이 아닌 관절경을 이용한 골절의 정복 및 내 고정한 증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66세의 남자로 좌측 견관절의 쇄골 골절 및 관절와의 전위된 횡 골절 및 견갑골 골절이 있는 환자였으며 관절경을 이용하여 골절을 정복하고 유경나사로 내 고정 하였다. 결과: 술 후 9개월 째 좌측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완전히 회복 되었으며 환자는 일상 생활에 불편감이 거의 없었다. 술 후 12개월째 전신 마취 하 내 고정물의 제거 술을 시행 하였다.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은 고식적인 수술보다 적은 통증, 적은 출혈량, 술 후 입원기간의 단축 및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고 술 후 견관절 운동 범위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임상적 평가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과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CT for the diagnosis and the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n ankle fracture)

  • 나화엽;조국희;정유훈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8-85
    • /
    • 2011
  • 목적: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 및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수술한 족관절 골절 환자 108명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과 대조군 89명으로 나누어, Lauge-Hansen 분류, 수상 시 힘의 양,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하였다. 두 군의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25개월 및 23개월이었다. 전체 환자 중 수술 시 부하 검사에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 8명과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11명의 최종 추시 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 중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만 발견된 환자가 14명이었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에 비해 회내-외회전에 의한 손상, 고 에너지 손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대한 방사선학적 지표에 해당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와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모두 최종 추시 상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회내-외회전, 고 에너지 손상, 방사선학적 지표 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해당하는 족관절 골절 환자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유무를 알기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경우 골편을 직접 고정하는 것이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슬개골 골절 치료에서 초음파의 유용성 (Usefulness of Ultrasound in Treatment of Patella Fracture)

  • 김정만;남호진;라기항;박세욱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6-31
    • /
    • 2010
  • 목적: 방사선 소견에서 슬개골 골절이 발견되었을 때 치료 방침 결정에 초음파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슬개골 골절로 치료받은 20명 2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8예, 여자가 12예였고, 우측이 13예, 좌측이 7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3세(14~72세)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굴곡-신전시 슬개 지대 파열 여부를 보는 Drayer 검사와 연계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 하였다. 횡 골절이 10예, 종 골절이 8예, 분쇄 골절이 2예가 있었으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슬개 지대의 파열 유무와 Drayer 검사가 양성인지 음성인지를 보았다. 결과: 슬개 지대가 파열되지 않은 12예의 경우 전예에서 Drayer 검사는 음성이었으며, 별도의 고정 없이 보행을 허용하여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슬개 지대가 완전 파열된 4예는 Drayer 검사가 양성이었으므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였고, 슬개 지대가 부분적으로 파열되어 Drayer 검사가 음성이었지만, 골절의 전위가 2 mm 이상인 2예는 비관혈적 나사 고정술로 좋은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결론: 슬개골 골절에서 초음파는 방사선 소견, Drayer 검사와 연계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 하는데 유용한 검사 방법 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의 경피적 도수 정복술 (Percutaneous Mini-open Reduction for Mason II or III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

  • 이정길;고일현;김형식;최윤락;김성재;강호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30-236
    • /
    • 2010
  • 목적: Mason 분류 제 2형 및 일부의 3형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에 대하여 제한적 피부절개 및 경피적 도수 정복술 시행 후 기능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7년 2월까지 Mason 분류 제 2형 또는 3형의 요골 두 및 경부 골절로 경피적 도수 정복술을 시행받은 13명의 환자 (요골 경부 골절: 9예, 요골 두 및 경부골절: 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29세 (11세~59세)였고 남자는 8명, 여자는 5명 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년 6개월 (12개월~2년 9개월)이었다. 요골 두 및 경부의 도수 정복술은 방사선 투시기를 사용하여 골절부위를 확인 후, 골절부위 2~3 cm 원위부에서 1 cm 정도의 피부절개 후 경막 거상기를 이용하여 압박이나 감입 (impacted)형태의 요골 경부골절 및 두부의 부분 함몰된 관절면 골편의 정복을 시행하였다. 정복 후 불안정한 3예에 대해 1예에서 골절부의 경피적 핀고정술을 시행하였고, 2예에서 근위 요척골 간에 경피적 횡 핀고정을 추가 하였으며, 나머지 10예에서는 석고 부목 고정술만 시행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상 전 예에서 골유합이 관찰되었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6.2주였다. 요골두의 각형성은 수술 전 평균 33.2도 (30도~42도)에서 수술 후 평균 7.8도 (4도~15도)로 감소하였다. 수술 직후에서 최종 추시시까지의 각변형은 0.7도 (-1도~2도) 였다. 수술 후 주관절의 운동 범위는 굴곡 평균 133.1도 (120도~140도), 신전 평균 7.3도 (0도~25도), 회내전은 80도(72도~90도), 회외전은 84.3도 (78도~90도)였다. Mayo Elbow Performance Index는 평균 96.2점 (80점~100점),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elbow score는 평균 97점 (83점~100점),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는 평균 1.2점 (0점~5.8점) 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합병증으로 각각 한 예에서 일시적인 후골간 요골 신경 마비 증상과 경도의 주관절 외반 변형이 발생하였다. 결론: 경피적 도수 정복술은 관절내 독립적인 감입이 없는 Mason 분류 제 2형 및 일부의 3형 요골 두 골절 및 경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간단하고 합병증 발생이 적으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의 한가지로 생각된다.

중쇠뼈 찢김골절로 인한 고리중쇠 관절 불안정의 교정 (Correction of Atlanto-axial Instability by Avulsion Fracture of the Axis in a Dog)

  • 황용현;김민경;박정현;진소영;박기태;이희천;이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9-502
    • /
    • 2013
  • 목 부위에 교상을 입은 8살의 중성화된 수컷 푸들이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보행이 불가능하였고 심부통증이 있는 사지의 불완전 마비로 UML 증상을 보였다. 방사선과 CT 검사에서 경추 1번의 횡돌기의 골절, 경추 2번의 가시돌기의 골절이 관찰 되었다. 보존적 처지를 1주일 실시 하였으나 증상이 완화 되지 않아 수술적 교정이 선택되었다. 수술적 안정은, 배쪽으로 접근하여 나사, K-wires 와 bone cement를 이용하여 내원 7일차에 실시 되었다. 수술 후 4주 이후 혼자 설 수 있었으며, 6주 이후 보행이 가능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등쪽과 배쪽 부위 중쇠뼈 골절을 교정하기 위하여 배쪽 복합 고정을 실시하였으며, 좋은 예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