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전기구

Search Result 269, Processing Time 0.134 seconds

The Position for Measuring BMD of the Distal Radius and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l Radius and Lumba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Han, Man-Seok;Jeon, Chul-Min;Kim, Jong-Jin;Seo, Seon-Youl;Kim, Yong-Kyu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1
    • /
    • pp.19-24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distal radius rotation and the correlations of the lowest BMD measured by DXA at the lumba versus distal radius. The eleven males were projected distal radius by DR X-ray and the measurement of BMD by DXA of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forearm were performed on 21 males. The healthy 11 and 21 volunteers without any history of operations, anomalies, or trauma were enroll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wo methods. First, The DR X-ray was measured distal radius of 11 male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three, six and nine degrees,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The ROI was measured by the m-view program on the PACS monitor. Second, The DXA was measured distal radius of 21 male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five and ten degrees,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to evaluate the changes of BMD according to the rotation. A correlation of the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BMD that lumbar spine was performed, along with analysis of the data by SPSS 12.0v. The mean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about eleven males DR X-ray measured $7^{\circ}$ of pronation (82%, n = 9), $6^{\circ}$ of supination and $0^{\circ}$ of neutral of (9%, n = 1),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11 male was $5.1^{\circ}$ of prona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about twenty one males on DXA measured $7.2^{\circ}$ of pronation (43%, n = 9), $7^{\circ}$ of supination (24%, n = 5), and $0^{\circ}$ of neutral (33%, n = 7),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21 people was $4.1^{\circ}$ of pronation. The correlation of the analysis of lumba and distal radius were r = 3.0, p = 0.18. consequently, The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ce. Because BMD of lumba was not coverd for BMD of the distal radius, with a neutral position, Pronation is needed for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the rotation angle measuring at the lowest BMD. the rotation angle about five degrees of pronation of the distal radius is recommended.

Design of a Parallel Hybrid Vehicle Powertrain with Semi-Spherical CVT (구면무단변속기를 적용한 병렬형 하이브리드차량 동력전달계 설계)

  • Kim, J.Y.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3 no.4
    • /
    • pp.18-23
    • /
    • 2009
  • 구면무단변속기(SS-CVT)는 구조가 간단하여 변속기구의 부피와 무게를 기존의 변속기구에 비하여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클러치 없이 출력축의 정회전, 역회전 그리고 중립상태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면무단변속기의 기구적 특징과 변속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직류모터와 가솔린엔진을 장착한 병렬형 하이브리드차량의 동력전달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구면무단변속기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전용 실험장치를 제작하여 무단변속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류모터를 보조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병렬형 하이브리드차량 동력전달계의 설계를 위해 연결기어비와 구면무단변속기의 변속비를 차량주행성능에 맞추어 설정하였으며, 이를 차량가속성능의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구면무단변속기의 하이브리드차량 동력전달계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로 선정된 구성요소의 설계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시작차량을 제작하였다.

  • PDF

Design of Snake Robot and Snakelike Locomotion (뱀형 로봇의 설계 및 주행 알고리즘)

  • Lee, Duck-Jai;Lee, Chang-Hoon;Kim, Yo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b
    • /
    • pp.7-10
    • /
    • 2003
  • 뱀형 로봇은 자유도보다 액추에이터의 수가 적은 논홀로믹 구속조건(nonholonomic constraint)을 가지며, 단순한 신체구조 이지만 초-여유자유도 구속조건(hyper-redundant constraint)을 이용해서 기밀한 운동과 다양한 기능을 만들어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6개의 관절로 각 링크가 2차원 상에서 직렬로 연결된 뱀형 로봇의 기구설계 및 기구학과 동력학을 바탕으로 설계된 기구에 대해 해석하여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여 추진원리와 운동원리에 관하여 알아본다. 기본적인 운동 메커니즘을 해석하여 구현한 알고리즘을 제작한 로봇에 적용하여 추진 원리와 운동원리를 검증한다. 실험용 로봇은 링크 중앙에 법선 방향으로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수동바퀴를 가지고 있으며, PC와 RF(Radio Frequency)로 직렬통신을 하며 PC에서의 운동 명령의 조작에 의해 전진, 후진, 좌/우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운동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특징으로는 일반적으로 토크를 입력으로 하지 않고 각도를 입력으로 하여 관절을 제어하고 있다는 점이 있으며, 운동방정식 또한 이에 대한 관계를 바탕으로 유도한 것이다.

  • PDF

Forward Kinematics Simulator based on 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 기반의 순방향 기구학 시뮬레이터)

  • Kim, Jaeyoung;Moon, Kwang-Seok;Park, Han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43-4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순방향 기구학 학습에 있어서 로봇의 비용적인 측면으로 인하여 실재 로봇 매니퓰레이터를 교보재로 사용하여 실습을 하기에 제한되는 환경과 교재만으로 학습하는 제한된 환경에서 학생들이 이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검증이나 실험을 하기가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증강현실 기반의 시뮬레이터를 제안한다 로봇 기구학에서는 주로 교재를 사용하는데 실재로 존재하는 모델보다 회전 관절(revolute joint)과 병진 관절(prismatic joint) 모형의 조합으로 모델링한다 관절의 모형을 일종의 증강현실의 마커로 사용하여 교재에서 제안하는 모델에 더해서 개인이 조합한 모델 또한 실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증강현실 시뮬레이터를 제안한다.

  • PDF

직선형 펄스 전동기 (LPM)

  • 이은웅;김일중
    • 전기의세계
    • /
    • v.39 no.9
    • /
    • pp.39-45
    • /
    • 1990
  • 전자 액츄에이터의 일종인 LPM(linear pulse motor)은 직선왕복 운동을 필요로 하는 모든 응용기기의 구동에 적합한 선형 전동기로서 직접구동(direct drive)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회전형 전동기를 사용하는것과는 달리 감속장치, 동력전달 기구가 불필요하여 전체시스템의 구성에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소형경량화 할 수 있다. 또한 LPM은 기계적 구조가 간단하고 비접속 직접구동이 가능하므로 기기의 특성 변화가 적고 보수성이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 PDF

Time Reservation Method for Hi9h Resolution An91e Control of SRM Drive (스위칭각 온, 오프 예약기법을 통한 SRM의 고정도 제어)

  • Park, Sung-Jun;Kim, Jong-Dal;Shon, Mu-Heon;Kim, Gyu-Seob;Lee, Yil-Chun;Kim, Cheul-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b
    • /
    • pp.1000-1002
    • /
    • 2000
  • SRM(Swithed Reluctance Motor)은 회전자 위치와 동기 되어 여자 되어야 한다. 이러한 토오크 발생기구의 특성상 회전자 위치각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회전자 위치각의 검출은 일반적으로 엔코더나 레졸버를 사용하나, 본 연구에서는 저 분해능 엔코더를 사용한 경우에도 고정도의 온, 오프 스위칭. 각을 제어하기 위해서 미소각 예측 및 미래 지향적 스위칭각도 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프로토 타입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89C196의 HSO(High speed output) 기능을 사용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Assist Device for Rosenberg View Test (Rosenberg View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의 유용성 평가)

  • Kong, Chang gi;Song, Jong Nam;Kim, In Soo;Han, Jae B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4 no.2
    • /
    • pp.129-138
    • /
    • 2020
  • Due to the nature of the Rosenberg Method, the patient needs to maintain pos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joint space is observ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angle of knee flexion,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examin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mage quality was evaluated in order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assistive device by making the assistive device itself. SNR and CNR analysis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ssistive device using the extremity phantom and the angle of the assistive device itself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05).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edges of the medial condyle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ssist device, and the absence of assist device (96.00±40.6 mm) and presence of an assist device (134.86±17.68 m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To find the aLDFA relationship about the femur and tibia, we measured the right and left aLDFA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ssist device. As a result, the absence of the right-side aLDFA assist device (74.63°±4.87) and the presence of assist device (79.64°±3.6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The absence of the left-side aLDFA assist device (76.39°±4.62) and the presence of assist device (79.64°±3.6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bu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overlapping parts of the right and left proximal tibiofibular joint and the lateral condyl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we can obtain Diagnostically valuable images with a constant knee-to-knee spacing using an assist device we self-created. In addition, we could learn through aLDFA relationship between femur and tibial that the smaller the angle, the more medial condyle overlaps with JSW, We also confirmed the significance by deriving similar values on the normal range values of aLDFA using assist devices. However,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s in order to obtain good quality images by evaluating the distance of overlapping parts between proximal tibiofibular joint and lateral condyle.

A Study on the Contour Design of the Hinge Mechanism for a Mobile Phone Driven by Continuous Torques (연속적인 회전력으로 작동하는 휴대폰 힌지기구의 윤곽 설계에 관한 연구)

  • Park, Jong-keun;Lee, Soo 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9 no.3
    • /
    • pp.8-18
    • /
    • 2010
  • A total stroke of an opening or closing motion of a hinge mechanism for a folder-type mobile phone is composed of two portions. In the first portion, human fingers act a torque to open or close the folder. In this portion, the rotating folder compresses the coil spring installed in the hinge mechanism. In the last portion, this compressed coil spring generates a torque to rotate the folder.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 algorithm to design a hinge mechanism to be operated by an arbitrary continuous torque in the first portion of the total stroke. Consequently, we can design hinge mechanisms that satisfy various demands of consumers. A pair of contours installed in the mechanism plays an important role. It transforms the folder's rotational motion into translation to compress the coil spring in the first portion; on the other hand, it transforms translational motion into the folder's rotation in the last portion. Using this algorithm we have designed the pair of the contour curves operated by an arbitrary continuous torque.

Characteristic of an insect-mimicking flapping device actuated by a piezoceramic actuator (압축하중을 받는 압전 작동기로 구동하는 곤충모방 날갯짓 기구의 특성)

  • Park, Hoon-Cheol;Quoc, Viet Nguyen;Byun, Do-Young;Goo, Nam-Seo;Yoon, Kwa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11
    • /
    • pp.1063-1071
    • /
    • 2008
  • A piezoceramic unimoph actuator can produce a relatively larger actuation force and actuation displacement when a proper compressive load is applied during operation, because the compressive stress causes material nonlinear behavior in the piezoceramic layer and triggers mechanical buckling. In this paper, we examined effects of the actuator under compression on the flapping angle and aerodynamic force generation capability. Effects of wing shape and passive wing rotation angle on the aerodynamic force produc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e average vertical force acquired by a 2D CFD simulation for an artificial wing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one by the experiment.

Advanced Railway Vehicle Technology using Smart Materials (지능재료를 이용한 차세대 철도차량기술)

  • 김재환;강부병;김형진;정홍채;최성규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3.05a
    • /
    • pp.712-717
    • /
    • 2003
  • 지능 재료를 이용한 디바이스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명체와 같이 내.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스스로 변하는 능동적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의 극대화 및 유지비용의 최소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지능재료 기술은 지난 10여년 전부터 연구되었는데 대표적인 웅용을 보면, 산업, 항공, 교통, 운송 분야의 능동 소음 및 반능동 진동제어; 복합 재료 손상위치 탐지시스템, 손상구조 건전성 평가시스템, 교량, 저장탱크, 건물, 유조선, 대형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 시스템; 초정밀 직진 안내기구, 나노 스테이지, 절삭오차 보정용 엑츄에이터, 초음파 회전모터, 지능유압 서보밸브, 변형 거울 등의 모터/엑츄에이터; 자동차 엔진 성능제어, 흡배기구 압력측정,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에어백 센서, 타이어 센서 등의 지능 MEMS/NEMS 센서; electronic article 정찰, 도서태그, 비접촉 항공 운송물 분류 및 보안시스템, 전자 운전자 식별시스템, 광섬유 건물 보안 시스템, 지능 신경망 형상 인식 시스템 등의 보안 시스템; 지능항공기 구조물, 인공위성안테나, 헬리콥터 회전익 등의 형상제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재료 기술을 정리하고 차세대 철도차량 기술에 지금까지 적용한 예를 소개하며 향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들을 가능성 및 실용성 면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