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의공간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yber Space using H.323 Terminal and Gatekeeper (H.323 단말기와 게이트키퍼를 이용한 사이버 공간의 설계 및 구현)

  • Kim, Ki-Yong;Lee, Keon-Bae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7
    • /
    • pp.1177-1188
    • /
    • 2003
  • In this paper, a cyber space for multimedia conferenc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gatekeeper and web service which satisfies H.323 standards. The implemented gatekeeper manages a registration and a call control for H.323 video conference terminals. The implemented gate-keeper can manage registered users efficiently with directory services using web service. Also, software maintenance of video conference system is established by service provider instead of users using control download on web. finally, we present the practical use of video conference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of directory services.

NFT study of Combining Entertainment Data and Vehicle Informatics information in autonomous vehicles (자율주행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데이터와 차량 인포믹스 정보를 결합한 NFT 연구)

  • Yoon, Cheol-Hee;Kim, Nam-Sun;Jo, Dong-Baig;Kim, Kyung-Min;Kang, Ja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330-331
    • /
    • 2022
  • 자율주행 차량의 운전자는 현재 레벨3에서 탑승하는 운전자에부터 최종적으로 레벨 5단계에서 탑승자로 변화하게 된다. 관련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탑승자는 무엇을 하는지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될 여지가 있다. 탑승자는 뉴스를 읽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주변 환경을 감상할 수 있고, 또는 탑승자는 다른 탑승자와 게임을 하거나 대화를 하거나 회의와 의사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 자율주행차량은 이용자의 활용에 따라 오락공간, 휴식공간, 회의공간으로 트랜스포메이션되는 셈이다. 본 논문은 자율주행차량에서 블록체인 기술 중 하나인 NFT를 활용하여 차량의 탑승자에게 소유권이 있는 생산 데이터에 대해 스마트 계약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자율주행 차량 내에서의 소유권을 표식한 스마트 계약 체결과 향후 적용 운용환경을 연구.개발하였다.

  • PDF

Basic study on the optimal design of enclosed space. (밀폐공간의 최적설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오재응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87.11a
    • /
    • pp.40-44
    • /
    • 1987
  • 현대사회의 복잡한 생활환경과 더불어 주위의 밀폐공간에서 발생한 소음은 인접한 환경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밀폐공간의 음향특성을 연구하고, 또한 밀폐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원이 주위의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밀폐공간의 크기를 연구하였다. 연구한 결과,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우리가 주목해야할 주파수의 모우드 분포를 고려하여 최적한 크기를 결정할 수 있었다.

  • PDF

Design of OWL Ontology in R&D Project Management Meeting (연구과제회의를 위한 온톨로지 구축)

  • Kwon, Mi-Soo;Ryu, Ho-Yeon;Kim, Gun-Hee;Ha, Sung-D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387-392
    • /
    • 2006
  •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의 핵심 기술 요소로서 지식을 개념화하고 명세화해서 의미론적 지식체계를 구축한다. 온톨로지는 개념적 모델링(Conceptual Modeling)을 통해 실제 세계의 지식(Real World Knowledge)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제안되었고, 수많은 정보에 대한 지식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과제회의를 대상으로 온톨로지를 설계 및 구축한다. 과제 진행에 수반되는 다양한 회의와 관련자료는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반드시 관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회의에서 참석자들 사이에 정보 공유 및 자료 검색이 어렵고 회의일정 조정이 번거로우며 회의자료 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연구과제 진행과정의 회의와 관련자료들을 분석/분류해서 개념적 모델링을 통해 연구과제회의 온톨로지를 구축하고자 한다. 향후 이를 활용하여 지능형 반응 공간에서 회의 관리 및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다.

  • PDF

Metaverse Platform to Improve Immersion of Online Video Conferencing System (온라인 화상 회의 시스템의 몰입 개선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 Yoon, Dong-eon;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37
    • /
    • 2022
  • Online video conferencing systems such as Zoom and Discord are mainly used for non-face-to-face work due to their good accessibility and lack restriction of space. However, most online video conferencing systems are difficult to interact in both directions, and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lack of immersion are emerging in participants who use them. On the other hand, Metaverse,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patial computing, enables smooth interaction like the real worl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by utilizing hearing, visual, and touch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to improve the problem of lack of immersion in the existing online video conferencing system. Through the proposal method, platform users can share and check each other's work screens in a virtual space and exchange various data. In order to improve participants' of immersion, the environment and improvement plan of the metaverse platform were construct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online video conferencing platform.

  • PDF

A Study on the Using Trends of Interior Materials in Current Medium Size Office Building in Seoul (최근 서울시 중형 OFFICE 건물의 실내재료의 사용경향에 관한 연구)

  • 김은중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23
    • /
    • pp.19-25
    • /
    • 2000
  • This study aims by analysing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trends of current medium size office buildings in Seoul. The analysing objects are ceiling, floor, wall, and illumination plan of current office buildings. Analysing tools are finishing material and color of each part. Analysing areas are lobby area, deskwork area, conference area, welfare area, public area(rest room, corridor, stair).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of lobby shows a lots of different features then the other areas in ceiling, floor, and wall design. Such difference appears at finishing material especially, and the coloring is more splendorous then the other areas. Desk work area and conference area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materiors and colors, and they usually follow the needs of function. Walfare area shows more splendorous feature then deskwork and conference area, and designed by various materials and colors. Public area also shows very active design concept then past times.

  • PDF

A Study of System Architecture for Intelligent Responsive Space (지능형 반응 공간 기술 개발을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

  • Yeom, Ki-Won;Lee, Joong-Ho;Lee, Seung-Soo;Eom, Ju-Il;Park, Joon-Koo;Kim, Rae-Hyeon;Jo, Hyeon-Cheol;Kim, Geon-Hui;Gwon, Mi-Su;Yu, Ho-Yeon;Son, Yeong-Tae;Pyo, Jeong-Guk;Kim, Tea-Su;Park, Myeon-Ung;Park, Se-Hyeong;Ha, Seong-Do;Park, Ji-Hy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c
    • /
    • pp.854-858
    • /
    • 2006
  • 디지털화의 가속, 고속 통신 인프라의 확대 등으로 전자, 정보 통신 기기들이 단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영상 및 음향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으며, 생활 공간 내에서 실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지능적 정보 서비스와 자연스럽고 편한 내추럴 인터페이스 기술에 의한 지능형 반응 정보 서비스 공간 기술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반응 공간의 물리적 객체로서 학교, 연구 기관 및 회사 등의 회의실을 선정한다. 그리고, 이를 대상으로 회의 참여자들이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의견 교환, 관련 자료 및 정보 처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아키텍처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 아키텍처는 회의와 관련된 문서나 회의 내용 등의 정보를 실감 가시화 노드로 추상화되고 메타 정보화함으로써 전체 회의 내용의 파악과 회의 정보에 대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여러 사람의 공동 작업을 필요로 하는 정보 또는 문서에 대한 동시 편집 기능과 자연스러운 동작에 의한 데이터 조작을 지원하는 실감 워크벤치 및 워크스크린 기술, 정보 핸들링의 다양성과 조작의 편리성을 위한 실감 아이콘에 의하여 자연스럽고 편리한 회의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 기술들이 에이전트에 의해 회의 프로세스 및 요소 기술들의 시스템적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 PDF

Urban Space Style of Korean Films in 1980s, Good Windy Day(1980) and Chil-su And Man-su(1988) (80년대 한국영화의 도시 공간 양식, <바람불어 좋은날>(1980)과 <칠수와 만수>(1988))

  • Kim, Jong-G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5
    • /
    • pp.172-179
    • /
    • 2016
  • Korea society in the 1980s is the timing of the hybrid intermingled with the continuous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and the democratic aspirations of the 1990s. Korean films in the '80s codified a tension and conflict patterns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style such as film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this aspect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80s was codified in Korean films of the '80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style representing the urban space in Korean films of the '80s. This study looks at the changing pattern of the Korea Society through the 1980s by analyzing the space configuration form of Good Windy Day(1980) and Chil-su And Man-su(1988). Good Windy Day to finalize the '70s and Chil-su And Man-su to greet the '90s show the hybrid aspect of the '80s. In particular, the urban space style of the two films codified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ulture of Korea as a whole.

Face Detection for Intelligent Video Conference System (지능형 영상회의를 위한 얼굴검출)

  • Park, Jae-Hyeon;Park, Gyu-Sik;On, Seung-Yeop;Kim, Cheon-Gu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1
    • /
    • pp.20-27
    • /
    • 2001
  • 얼굴검출은 현재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로 보안, 인식 등 다양한 응용분야를 갖는다. 본 논문은 카메라가 화자의 이동에 따라 이를 추적하여 회전하고 회의상황에 맞는 앵글을 유지하는 지능형 영상회의 시스템 개발의 기본요소인 화자검출의 선행단계로 얼굴검출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RGB 색 공간의 입력영상을 YIQ 공간으로 변환한 후 IQ 성분은 피부영역검출에 Y 성분은 얼굴의 특성을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색 분포도를 이용하여 피부영역을 검출하고, 마스크를 누적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한 후 얼굴의 구조적인 특성과 명암의 분포를 이용하여 얼굴영역이 검출된다. 실험결과 다양한 배경의 영상에서 여러 명의 얼굴이 오류 없이 검출됨이 관찰되었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323 Video Conference System on Web (Web에서 이용하는 H.323 영상회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Ki-Yong;Seong, Dong-Su;Lee, Koe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459-146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H.323 영상회의 표준을 만족하는 영상회의 영역을 관리를 위한 게이트키퍼를 구현하고, 기본적인 영상회의 시스템에서의 단점인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일반 사용자의 접근 미비로 인한 불편함과 사용자가 모든 제어를 직접 해서 생기는 오류 등을 해결하고자 웹 서비스와의 연동을 통한 사이버공간을 구현한다 또한, 웹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영상회의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를 사용자가 아닌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하게 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영상회의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