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회복시스템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34초

미래 고령화 사회를 위한 실버 기기

  • 김남균
    • 기계저널
    • /
    • 제44권1호
    • /
    • pp.66-71
    • /
    • 2004
  • 이글에서는 상지 동작 훈련 지원 시스템, 보행 훈련 및 하지 기능 회복 지원 시스템, 자세 균형 훈련장치 등 신체 기능 회복 및 훈련 지원 시스템과 자립형 이동을 위한 동작보조장치, 일상생활 지원 실버 기기, 개인 휴대형 골정 방지 시스템 등 일상생활 보조 지원 실버 기기에 대해 소개한다.

  • PDF

비공유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서 최신버전의 클러스터 로그를 이용한 회복기법 (Recovery Method Using Recently Version Based Cluster Log in Shared-Nothing Spatial Database Cluster)

  • 장일국;장용일;박순영;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1-34
    • /
    • 2004
  • 회복기법은 비공유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서 고가용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회복기법은 노드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로컬 로그와는 별도로 클러스터 로그를 생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노드에서의 회복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기존의 기법은 하나의 레코드를 위해 다수의 갱신정보를 유지함으로써 클러스터 로그의 크기가 증가되고, 전송비용이 증가된다. 이는 회복노드에서 하나의 레코드에 대해 여러 번의 불필요한 연산을 실행하여 회복시간이 증가되고, 전체적인 시스템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비공유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서 최신버전의 클러스터 로그를 이용한 회복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에서의 최신버전의 클러스터 로그는 레코드의 변경사항과 실제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 정보로 구성되고, 하나의 갱신정보를 유지함으로써 클러스터 로그의 크기가 감소하며, 전송비용이 감소한다. 회복노드에서는 하나의 레코드에 대해 한번의 갱신연산만 실행하므로 빠른 회복이 가능하며, 시스템의 가용성을 향상시킨다.

  • PDF

회복탄력성 프레임워크 기반 담수호 수질 개선 방안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Management of Estuarine Reservoir Based on Resilience Analysis Framework)

  • 황순호;전상민;김석현;이현지;곽지혜;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48-348
    • /
    • 2020
  • 우리나라 하구에 조성된 담수호의 수자원은 다양한 용수 목적에 맞게 활용하고 있으며, 수질 기준에 부합하는 용수를 공급하고 담수호 및 간척지의 친환경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담수호의 상류 유역 및 유입 오염물질, 그리고 담수호 수체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수질 오염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담수호 개선을 위한 방안의 선정 방식은 연평균 수질 농도를 기준으로 목표하고자 하는 수질 기준의 만족 여부에 대한 평가와 경제적 평가를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사결정 기반으로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 방법에서는 목표 수질의 만족 여부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담수호 수자원의 시기별 활용성에 대한 고려를 간과하기 쉽다. 또한 담수호 수자원 시스템의 수질 악화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일은 단순히 유역관리대책의 적용에 따른 수질 개선 문제와는 별도로 담수호 수자원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평가 방식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수호 수자원 관리 방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활용하였으며, 각 방안에 대한 시간적 변화에 따른 담수호의 회복탄력성 특징을 고려하기 위하여 동적 회복탄력성 개념 및 평가 방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기존의 수질 평가 방법에 따라 간월호를 대상으로 수질 개선 방안별 수질 변화를 SWAT-EFDC 연계모형을 통해 모의하고, 연평균 수질 농도와 총인 삭감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월호의 지형학적 특성에 따라 간월호 상류 구간의 수질 농도가 다른 구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상류 구역의 경우 준설 시나리오만으로는 목표 수질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류 구역의 수질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준설 시나리오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류 유역 출구부에 위치한 하수처리시설의 총인 배출부하량을 삭감과 추가적인 유역 수질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 PDF

클라이언트-서버 주기억 데이타베이스 환경에서의 트랜잭션 관리 (Transaction management in a client-server main memory DBenvironment)

  • 조성제;김경창;김기룡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765-1776
    • /
    • 1996
  • 클라이언트=서버 DBMS구조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으나 고장회복과 동시성 제어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태다. 기존의 회복 기법은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로그 레코드들과 해당 데이터 페이지들을 서버에 전송 함으로써 발뱅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점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수행 완료된 로그 레코드들만을 전송하여 기존의 회복 기법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제거한다. 또한 서버는 수행 완료된 로그 레코드들만을 관리하여 서버 파손 발생시 분석, 재수행 동작만을 수행하는 간단한 회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철회 동작을 함으로써 시스템의 병렬성을 높이고 서버 파손시 전체 데이터베이스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페이지 단위의 회복 기법도 제안한다. 또한 기존의 동시성 제어기법은 같은 페이지를 동시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불필오한 대기시간(waiting time)이 증가된다. 본 논뭉에서는, 기존의 기법과 달리, 같은 페이지 내에 다른 데이터를 접근하는 트랜잭션에게 페이지를 허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병렬성을 향상시켰다.

  • PDF

SAN 기반 클러스터 공유 파일 시스템 $SANique^{TM}$의 오류 노드 탐지 및 회복 기법 (Detection and Recovery of Failure Node in SAN-based Cluster Shared File System $SANique^{TM}$)

  • 이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609-2617
    • /
    • 2009
  • 본 논문은 저장장치 전용 네트워크인 SAN 상에서 운영되는 공유 파일 시스템 $SANique^{TM}$의 개괄적인 설계 방법과 공유 파일 시스템내의 오류노드탐지 및 회복 기법에 대한 방법을 설명한다. SAN 기반공유 파일 시스템의 특징 및 구조를 설명하고 $SANique^{TM}$의 구성요소와 개괄적 설계방법을 기술한다. 또한, 공유 파일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는 컴퓨팅 노드의 오류로 인한 서비스 지연 또는 중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류 노드 탐지 및 회복기법을 설명한다. 대규모 컴퓨팅 노드로 구성된 공유 파일 시스템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종류를 나열하고, 오류로 인한 분할된 서브 그룹들 간의 오류 상황을 상호 탐지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이동성의 학습과 예측에 의한 이동성 데이타베이스의 실채 회복 (Failure Restoration of Mobility Databases by Learning and Prediction of User Mobilit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길준민;황종선;정영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4호
    • /
    • pp.412-42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이동성 데이타베이스의 실패 처리를 위한 이동성 학습과 예측에 기반한 회복 기법을 제안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데이타베이스는 사용자들에게 빠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이동성 데이터베이스의 실패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잃어버리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명백한 회복 과정 없이는 실패 상황에서 사용자의 호 요청은 거절된다. 따라서, 이동성 데이타베이스에 실패가 발생하였을 때, 실패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명백한 회복 기법이 사용자들에게 연속적인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해 주기 위해서 필요하다. 본 논문의 회복 기법에서 사용되는 이동성 학습과 예측은 이동성 데이타베이스의 실패 후 시스템에 의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실패 없는 연산 동안 사용자의 이동 패턴은 뉴로-퍼지 추론 시스템에 의해서 학습되며, 학습된 위치 정보는 실패 후 잃어버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회복 기법은 백업 과정과 검사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적인 저장 공간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검사점을 사용하는 이전의 접근방법과 다르다. 게다가, 성능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은 본 논문의 회복 기법이 실패 후 잃어버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회복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검사점에 기반한 회복 기법과 비교하여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대화식 UNDO를 지원하는 회복 기법 (A Recovery Method Supporting User-Interactive Undo in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김원영;황규영;김상;김장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1호
    • /
    • pp.1-15
    • /
    • 1999
  • 대화식 UNDO는 수행된 연산을 철회시키거나 재실행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오류를 쉽게 교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일종의 회복기능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하이퍼미디어 CAD 등과 같은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응용 분야에서는 편리한 저작 및 편집 과정으르 위하여 대화식 UNDO 기능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상용 DBMS들이 제공하는 세이브포인트를 이용한 부분 철회는 수행된 연산의 철회만을 허용하는 것으로 대화식 UNDO의 제한적 기능이다. 기존의 응용 시스템들은 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DBMS를 사용하면서도 이러한 대화식 UNDO 기능은 응용시스템에서 직접 제공하고 있다. 대화식 UNDO 기능의 구현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래머에게 상당한 개발 오버헤드를 요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다양한 응용 시스템개발을 위하여 공통적으로 필요한 고급 기능을 응용 프로그래머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대화식 UNDO 기능을 DBMS에서 직접 지원하는 새로운 회복 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트랜잭션 철회시 대화식 UNDO에 의해 UNDO된 연산들을 스킵함으로써 빠른 철회를 보장하고 여러 연산을 한번에 철회할 수 있는 벌크 UNDO 연산 (bulk undo)을 제공한다. 벌크들도 다시 재실행될수 있다는 점에서 부분 철회와 구별된다. 특히,일반 DBMS에서 회복을 위하여 관리해야 하는 정보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제안된 기법의 성능은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기존의 회복 기법과 비교할만한 좋은 성능을 보인다.

일괄구성과 확장된 지연삭제를 이용한 B+-Tree의 동시성 제어 및 회복 (Concurrency Control and Recovery Method of B+-Tree using Bulk Loading and Extended Lazy Deletion)

  • 김대일;김성희;조숙경;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128-130
    • /
    • 2000
  • B+-Tree는 데이트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덱스이다. 그런 기존의 B+-Tree는 데이터베이스의 초기 구성 및 재구성시 많은 비용이 들고, 또한 삭제 연산의 빈번한 발생시 색인 구조 변경연산의 발생빈도가 높아져 동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는 일괄구성과 지연삭제를 이용하고 있으나, 동시성 및 회복에 대한 처리가 미흡하여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괄구성과 지연삭제 방법을 적용한 B+-Tree에서의 동시성 및 회복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일괄구성 시에 잠금의 부하와 연속적인 철회(Cascade Rollback)가 없고, 또한 지연 삭제기법을 확장함으로써 빈 페이지 리스트 관리에 대한 부하가 없으며, 삭제 연산에 대한 회복 시 논리적 복귀(Logical Undo)가 빨라지고 구현이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 PDF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섬세 입자 잠금기법을 위한 선택적 재수행 회복기법 (Selective Redo recovery scheme for fine-Granularity Locking in Database Management)

  • 이상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7-3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ARIES를 기반으로 하는 ARIES/SR이라 명명된 간단하고 효과적인 회복 기법을 제안한다. ARIES는 거래가 완료되었거나 완료되지 않았거나 관계없이 모든 거래에 의해 수행된 갱신 연산에 대해 재수행을 수행한다. 따라서 시스템 고장 후 회복시 큰 부담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ARIES/SR이란 새로운 회복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에서는 재수행 연산을 줄이기 위해 완료된 거래에 대해서만 재수행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미 완료된 거래에 대해 조건적인 철회를 수행함으로써 회복에 필요한 연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3차 저장장치를 부착한 MIDAS-III에서의 고장 회복 (Recovery in MIDAS-III with Tertiary Storage)

  • 김수희;김영성;문찬호;강현철;김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122-124
    • /
    • 2000
  • MIDAS-III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한 바다-DBMS의 저장 시스템이다. MIDAS-III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서버의 저장 시스템으로 가능하도록 3차 저장장치를 부착하여 MIDAS-III/TS로 확장 구현되었다. 3차 저장장치를 관리하기 위하여, MIDAS-III/TS는 3차 저장장치 관리 볼륨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MIDAS-III/TS의 구조와 확장 전 MIDAS-III의 고장 회복 유틸리티인 restart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MIDAS-III/TS의 고장 회복 유틸리티인 restart-t의 구현을 위하여 MIDAS-III가 3차 저장장치를 부착함에 따라 새롭게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의 유형과 고장 회복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고 회복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