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회복능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8초

유소아 신질환에서 치료후 신기능회복에 대한 $^{99m}Tc$-DMSA 신티그램의 임상적 고찰 ($^{99m}Tc$-DMSA Scintigram for Renal Function Recovery after Therapy in Infants and Children)

  • 문태용;손현주;김인주;윤종병;이석홍;김병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4
    • /
    • 1994
  • 유소아 신질환에서 치료후 신기능회복을 관찰하기 위하여 $^{99m}Tc$-DMSA 신스캔을 추적 검사하였다. 치료전과 치료후에 $^{99m}Tc$-DMSA 신스캔을 시행한 9세 이하의 유소아환자는 15명 20예였다. 이들중 10명이 방광요관역류증으로 코헨식요관방광조구술을, 2명의 수신증은 신우성형술을, 1명은 좌요관신우연결부협착증으로 항생제로 치료하였다. $^{99m}Tc$-DMSA 신스캔상 정량적 신섭취율은 y=0.591x-2.105의 회귀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질병에 이환되어 치료를 받은 환신은 모두 29개였으며, 치료후 $^{99m}Tc$-DMSA 신스캔상 섭취증가를 나타내어 신기능 회복으로 나타내었던 신장은 20개 (69%)였다. 신기능회복소견을 보였던 예들은 연령에 따른 회복의 차이도 없고 치료후 시간경과에 따른 회복의 차이도 없었다. 유소아 신질환에서 $^{99m}Tc$-DMSA 신스캔은 측정상의 큰 오차로 치료후 미세한 신기능회복을 평가하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로부터 GSH 회복능을 보이는 항산화 화합물의 분리 동정 (Antioxidant compound from the Lycopersicon esculentum)

  • 김형근;전형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19-325
    • /
    • 2020
  • 토마토 액상을 7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활성이 확인된 EtOAc 분획으로부터 활성을 측정해 가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1종의 화합물을 분리 하였다.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uclear magnetic resornance, mass spectroscopy 및 infrarad spectroscopy 등의 스텍트럼 데이터를 해석 하여 quercetin (1)으로 동정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glutathione mean의 증가와 glutathione heterogeneity의 감소를 보인 토마토 분획물이 세포 내 glutathione 수준을 균일하게 올려준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그 기반 백업 및 안정기억장치를 이용한 주기억장치 DBMS에서의 회복기법 (A Log-Oriven Backup Method Using Stable Memory in Main Memory Oatabase)

  • 최미선;김영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115-117
    • /
    • 2002
  • 메모리 기술의 발전은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가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주기억장치의 휘발성으로 인해 시스템이 파손될 경우 모든 데이터들을 잃어버리게 되므로 데이터베이스를 일관된 상태로 복구시켜주는 회복기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면서도 RAM과 같이 빠른 접근속도를 가지는 FRAM과 같은 고성능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그림자 갱신과 로그 기반 백업을 실시함으로써 시스템 파손 후, 마른 복구를 제공하면서도 기존의 로그 기반 백업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회복기법을 제안한다.

  • PDF

Methylglyoxal-bis (Guanylhydrazone)와 에틸렌 생합성 저해제가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glyoxal-bis (Guanylhydrazone) and Ethylene Synthesis Inhibitor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from Soybean Cotyledon)

  • 조형일;한태진;하건수;이순희;김응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27-332
    • /
    • 1994
  • MGBG와 에틸렌 저해제가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에틸렌 생성량과 내생 polyamine 함량을 조사하였다. 대두 자엽 절편을 부정근 형성 배지에 2주간 배양하면서 관찰한 결과 많은 양의 부정근이 형성되었으나 $10^{-3}$ M MGBG를 처리하면 부정근 형성이 거의 억제되었다. 그러나 MGBG + spermine, MGBG + Cocl$_2$ 및 MGBG + spermine + Coc1$_2$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부정근 형성 억제가 회복되었다. $10^{-3}$ M MGBG에 spermine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10^{-5}$ M의 spermine 혼합 처리시 다소회복되었다.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1$_2$ 처리구에서는 부정근 회복능이 $10^{-3}$ M MGBG +$10^{-5}$ M spermine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에틸렌 생성량과 polyamine 함량을 $10^{-3}$M MGBG, $10^{-3}$ M MGBG +$10^{-5}$ M spermine, $10^{-3}$ M MGBG +$10^{-4}$ M CoCl$_2$$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1$_2$처리구에서 조사한 결과 $10^{-3}$ M MGBG 단독 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며, spermidine과 spermine의 함량은 가장 낮았다. 부정근 형성능이 다소 회복된 $10^{-3}$ M MGBG+ $10^{-5}$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의 에틸렌 생성량은 대조구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l$_2$ 혼합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olyamine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승모판막폐쇄부전증의 수술술식에 따른 심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Cardiac Func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Type of Operation for Mitral Regurgitation)

  • 김진희;김종원;정성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51-56
    • /
    • 2001
  • 배경: 이상적인 판막의 개발이 있기 전에는 가능하다면 원래의 판막을 보수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당연하며 실제 임상연구가들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판막재건술이 판막치환에 비해 대단히 좋은 임상경과를 취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판막 치환례에서 수술성적과 임상성적이 오히려 좋게 나타나는 경우 이유가 있을 것이고 그 근본원인은 심실의 기능에 따라 좌우되리라는 가설 하에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순수승모판막폐쇄부전증으로 수술 받은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고전적 판막 치환술을 시행한 12례를 1군으로, 후엽을 보전한 18례를 2군으로 그리고 성형수술을 시행한 10례를 3군으로 나누어 수술전의 심에코 소견을 포함하여 입원시에 시행한 전신상태와 수술 후 4주 이내에 시행한 심에코도의 각종 지표를 시행하였다. 결과: 일반적인 환자의 상태변화로는 1군에 비해 2군, 3군에서는 더 나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뉴욕 심장협회의 분류에 따라서는 수술전보다 많은 호전이 보였으나 세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심에코도에 따른 심기능을 비교한 바에 의하면 1군에서는 오히려 나빠졌으며 2군, 3군에서는 수술직후에는 술전에 비해 별 차이가 없으며 회복후에는 모든 지표에서 의미있는 호전을 발견할 수 있었으나, 구별분획에 있어 두 군간에는 수술전, 수술후, 회복후의 상호간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심기능의 차이가 나므로 승모판막폐쇄부전증에 대한 수술로는 가능한한 판막 성형술이 좋고, 판막 성형술이 불가능한 변형이 많은 경우 판엽 일부를 보전이라도 하는 것이 좋다.

  • PDF

데이타베이스 공유 환경에서 빠른 회복을 위한 버전 관리 (A Version Management for Fast Recovery in a Database Sharing System)

  • 정용석;조행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256-258
    • /
    • 2002
  • 데이타베이스 공유 시스템(Database Sharing System : DSS)은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다수 개의 노드들을 연동하며, 각 노드는 디스크 계층에서 데이타베이스를 공유한다. DSS를 구성하는 노드들이 고장날 경우, 데이타베이스를 정확한 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회복 기법이 필요하다. DSS에서의 데이터베이스 회복 과정은 여러 노드에 분산된 로그 레코드의 병합 작업을 포함하며, 병합된 로그 레코드를 이용한 REDO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일반적인 단일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 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Oracle 9i에서 개발된 캐쉬 연합(cache fusion) 기법을 개선한 버전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DSS를 구성하는 단일 노드의 고장 시 로그 병합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빠른 회복을 지원할 수 있으며, Oracle 9i에서 발생하는 빈번한 디스크 저장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 PDF

치과보철분야의 최근동향 (Boe Recent Progress in Prosthodonitics)

  • 김광남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1권3호통권166호
    • /
    • pp.195-198
    • /
    • 1983
  • 저작, 발음, 미관등 3대기능회복에 주안점을 두어왔던 치과보철학은 근년에 와서 l아 및 그 주위조직, 악골 및 악관절, 저작근육들과 그들을 지배하는 신경계통등 구강악계(stomatognathic system)의 total treatment로 더욱 발전되어 가고 있다. 구강악계를 구성하는 조직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저작, 발음, 연하등 그 기능적 행위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긴밀한 협조와 조화에 의하여 이루어 지기 때문에 어떠한 조직의 잘못된 치료는 한 개의 기능적 단위인 구강악계전체에 영향을 미치게된다. 그러므로 치과수복 치료에 있어서 단순한 인레이로 부터 전구강회복에 이르기까지 이들 보철물들은 기능운동시 다른 조직들과 잘 조화되어야 된다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 PDF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 (Alteration of Growth Factor Expression after Acute Ischemic Renal Injury)

  • 고양심;이수연;김원;조수철;황평한;김정수;이대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87-694
    • /
    • 2003
  • 목 적 :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손상된 세뇨관 상피세포의 재생은 순환하거나 국소적으로 생성된 성장인자나 cytokine, 생리적 인자 및 주위 환경들의 조절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신기능 회복에 따른 혈중 IGF-I의 변화와 전체 신장조직과 각 부위에 따른 IGF-I, -II, VEGF, $TGF-{\beta}1$, CTGF의 mRNA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 법 : 체중이 250-300 g의 백서를 대상으로 급성 허혈성 신손상을 시켜 유발된 급성 신부전 모델을 이용하여 급성 신부전의 진행과정에 따라 혈청 IGF-I치와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급성 신부전 진행은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혈청 IGF-I 농도는 iodinated IGF-I과 polyclonal anti-IGF-I 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신장에서 성장인자의 발현은 RT-PCR을 이용하였고 신장조직에서의 RNA 추출은 통상적인 방법에 준하였다. 신장에서의 IGF-I과 CTGF의 분포는 anti-IGF-I 항체와 anti-CTGF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1) 양측 신동맥을 결찰한 후 1일째부터 체중 감소와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3일째에 가장 현저하였다. 혈청 IGF-I은 신손상 후 1일 째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신손상 3일째에 더 증가되었다가 5일째부터는 신손상 전으로 회복되었다. 2) 신기능 회복에 따른 성장인자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다. IGF-I, IGF-II, $TGF-{\beta}1$ 및 VEGF의 mRNA 발현은 허혈성 신손상 후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신손상 3일째에는 신손상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7일째에는 거의 신손상 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3) IGF-I과 IGF-II는 정상 신장에서는 주로 수질부 특히 바 깥쪽 수질부에서 발현되었고 허혈성 신손상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가 3일째에는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TGF-{\beta}1$은 정상에서 신수질부에서 주로 발현되었고 1일째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가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CTGF와 VEGF는 정상 신장의 수질부와 피질부 모두에서 발현되었으며 신손상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되었다가 3일째부터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4) 정상 백서의 신장에서 IGF-I은 주로 피질부위의 신세뇨관에 분포하였고 사구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1일째 신장의 피질부위에서는 IGF-I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CTGF는 정상 백서의 신장에서는 주로 혈관에 분포하는 소견을 보였는데 신손상 3일째에는 세뇨관에서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 론: 이번의 연구로 저자들은 IGF-I, IGF-II, $TGF-{\beta}1$, CTGF, VEGF 등과 같은 성장인자가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신기능과 세뇨관세포의 회복과정에 발현의 변화가 초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기능 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해 여러 성장인자를 급성신부전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티그라피에 의한 심근생존능 평가 (Scintigraphic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 범희승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5-160
    • /
    • 1993
  • 심근생존능은 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나 적절한 치료에 의해 심기능이 회복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기절심근과 동면심근으로 대변할 수 있다. 기절심근은 심근관류가 정상이지만 아직 심근기능이 회복이 안된 상태로 수 시간 내지 수주일 후에 회복이 되는 상태를 말하며, 동면심근은 심근관류가 오랫동안 감소되어 있어 심기능 저하되어 있지만 심근관류를 정상화시켜주면 바른 시간내에 심기능이 회복되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으로는 이 두가지 상태가 혼합된 경우도 있으리라 추측되고 있다. 심근생존능을 진단하는 것은 재혈관화 치료를 시행하기 전에 미리 환자의 예후를 결정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인 의의가 있다. 그 진단법으로는 PET에 의해 심근대사기능이 존재함을 증명하는 것이 표준으로 되어 있으나, 그 외에도 심장초음파, 심장 MRI등을 이용한 검사법, $^{201}TI$ 또는 $^{99m}Tc-MIBI$를 이용한 신티그라피등의 검사법이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를 종합하면 $^{201}TI$ 부하-재분포-재주사영상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나, 각 진단법이 개선 또는 개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핵의학적인 진단방법도 계속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