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황제내경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7초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나타난 정(精)의 의미(意味)에 대한 고찰(考察) 대황제내경중출현적정지함의적연구(對黃帝內經中出現的精之含意的硏究)

  • 정승철;김용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4호통권31호
    • /
    • pp.93-100
    • /
    • 2005
  • 정(精), 기(氣), 신감칭인체지삼보, 시인체재생명활동중소필수적중요물질(是人體在生命活動中所必需的重要物質). 우기시정이다종함의(尤其是精以多種含意), 재인체급자연계중광위응용(在人體及自然界中廣爲應用). 인차(因此), 본론문대황제내경중출현적정적함의진행료연구(本論文對黃帝內經中出現的精的含意進行了硏究), 취기최중요적함의(取其最重要的含意), 인위정시생식지정화수곡지정(認爲精是生殖之精和水穀之精), 시인체지정(是人體之精).

  • PDF

$\ll$황제내경(黃帝內經)$\gg$ 체질의 음양(陰陽)분류적 해석 ($\ll$黄帝内经)$\gg$ 体质阴阳分类解析)

  • 국보조;김효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7-11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황제내경"의 체질 관련 내용에 대하여, 음양(陰陽) 이론을 바탕으로 생리, 심리, 기질, 성격, 행위, 질병, 방약조리 등의 조건에 대하여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음양화평지인 각각의 특질을 분류하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사람의 다섯 가지 체질 패턴에 대하여 표준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현대인의 체질적 차이를 설명하는데 이론적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본 논문의 주요 의미는 "황제내경"의 체질 관련 내용을 기존의 체질학설로 설명한 것이 아니라, "황제내경"이 담고 있는 근본 이론인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중에서 주로 음양론(陰陽論)을 바탕으로 분석한데 있다. 체질에 대한 음양적인 분석은 향후 체질학을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음양론(陰陽論)의 관점에서 체질을 다시 해석해 봄으로써 그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고, 또한 임상에서 방약(方藥)을 사용하여 치료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태소(太素)"찬저구체시간신증 -"태소(太素)"가 지어진 구체적인 시간에 대한 새로운 견해-

  • 전초반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2호통권33호
    • /
    • pp.301-304
    • /
    • 2006
  • 양상선(楊上善)이 지은 ${\ulcorner}$황제내경태소(黃帝內徑太素)${\lrcorner}$삼십권(三十卷)은 ${\ulcorner}$황제내경(黃帝內徑)${\lrcorner}$의 초기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 이십오권(二十五卷)만 존재하는 ${\ulcorner}$태소(太素)${\lrcorner}$${\ulcorner}$황제내경(黃帝內徑)${\lrcorner}$을 연구하는 데에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 양상선(楊上善)이 어느 시대의 사람이고, 언제 ${\ulcorner}$태소(太素)${\lrcorner}$가 지어졌는지는 학계에 여러 의견이 분분하다. 이 글은 풍부하고 구체적이며, 확실한 문헌사료에 근거하여 양상선(楊上善)이 당초인(庸初人)이며, ${\ulcorner}$태소(太素)${\lrcorner}$가 지어진 구체적인 시간은 A.D. 662년(年)에서 670년(年) 사이 (즉 당고종(庸高宗) 용삭이년(龍朔二年) 임술(壬戌)년에서 함형원년(或亨元年) 경오(慶午)년의 사이) 임을 밝히고 있다.

  • PDF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나타난 불면(不面)의 원인(原因)에 관한 고찰(考察) -관우대(關于對)"황제내경(黃帝內經)" 중기재적불면인원적고찰(中記載的不原眠因原因的考察)-

  • 김인구;김중한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1호통권28호
    • /
    • pp.57-66
    • /
    • 2005
  • 통과대(通過對)${\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중제출적여불면상관적17편경문적고찰(中提出的與不眠相關的17篇經文的考察), 진행불면원인적연구(進行不眠原因的硏究), 득출여하결논(得出如何結論): 수면화불면(睡眠和不眠), 여인체내위기적활동유관(與人體內衛氣的活動有關). 즉백주위기행어양분(卽白晝衛氣行於陽分), 고능소성(故能蘇醒); 이야만위기행어음분(而夜晩衛氣行於陰分), 칙능입수(則能入睡). 위기능구순리지출입내외, 기력양시유오장적정기제공적(其力量是由五臟的精氣提供的). 인차개괄이언(因此槪括而言), 불면적원인시음허양왕적상태(不眠的原因是陰虛陽旺的狀態). 수연불면불과시일종병증(雖然不眠不過是一種病症), 단기원인시다양적(但其原因是多樣的). 재경문중소견적원인(在經文中所見的原因), 진행개괄여하(進行槪括如下): 양기원성(陽氣元盛), 양명경실조(陽明經失調), 위중불화(胃中不和), 오장수손상(五臟受損傷), 혹인년노오장정기불족(或因年老五臟精氣不足), 인광증혹혼백비양이(因狂症或魂魄飛揚而) 치적다몽등심리장애(致的多夢等心理障碍), 비생리성수사체류(非生理性水邪滯留), 인침자오치이치적음정손상혹수사조장(因針刺誤治而致的陰精損傷或水邪助長).

  • PDF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임증요점(臨證要點) ("黃帝內經"臨證擧要)

  • 왕홍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11
    • /
    • 2004
  • "황제내경(黃帝內經)"(간칭(簡稱)"내경(內經)")의 내용을 임상치료와 진단에서 사용하면서 얻은 체험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내경(內經)"에서는 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기술에 있어서는 대부분 직접 어느 한 가지 질병에 어떠한 치료방법을 사용할 것과 그 치료방법의 구체적인 조작방법과 사용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은 저자가 진실로 보고 들은 것으로서 거짓됨이 없다. "내경(內經)"에는 치료 방법만으로도 침구(鍼灸), 약물요법(藥物療法)뿐만이 아니라 또한 방복수법(放腹水法)이 있으며, 물리강온법(物理降溫法), 단식요법(斷食療法), 수술절제법(手術切除法), 압추경동맥강온법(壓推頸動脈降溫法)(자절진사(刺節眞邪)), 견인(牽引), 자료(磁療) 및 "딸꾹질을 치료하는 세 가지 방법" 등 거의 30가지에 가까운 치료방법들이 기재되어 있다. 2. "내경('內經)"의 이론은 어느 한 사랑의 손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며 또한 어느 한 시기에 저술 된 것도 아니다. "각가학설(各家學說)"의 성격을 띠고 있다. 3. "내경('內經)"에서는 글귀가 간결하고 함축성이 아주 강하므로 한마디에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사용할 때 그 뜻을 잘 이해하면서 사용해야 한다. 4. "내경(內經)"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내경(內經)"의 이론을 임상에서 사용할 때 가장 먼저 장중경선사(張仲景先師)를 본받아 여러 의학자들의 장점을 취해야 한다.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에서는 곳곳에 내경(內經)"의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내경(內經)" 에 나오는 방법을 치료의 원칙으로 삼고 있다. 치료원칙은 대부분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 PDF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사용된 '심(心)'자(字)의 용례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Use and Meaning of the '心' Letter in 『Hwangjenaegyeog』)

  • 박재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24-83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황제내경(黃帝內經)』에 사용된 '심(心)'자(字)의 활용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한자에서 '육(肉)'은 육체를 상징하는 기호이다. 오장을 표현하는 간(肝), 비(脾), 폐(肺), 신(腎)의 글자는 모두 '육(肉)'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어서 의미적인 혼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심장과 마음을 의미하는 한자는 모두 '심(心)'으로 쓰이기 때문에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황제내경(黃帝內經)』의 내용은 질병부터 천문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총망라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에서 사용된 총 286개의 '심(心)'자는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심(心)'의 용례는 첫째 인간의 심장, 둘째 인체의 흉부, 셋째 마음을 의미한다. 넷째, 초월적인 개념의 깨달음, 다섯째 심포(心包), 여섯째 논리적인 사고, 일곱째 중심 또는 핵심, 그리고 마지막으로 별자리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황제내경영추(黃帝內經靈樞)』 뿐만 아니라 고전 문헌들에서 '심(心)'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황제내경(黃帝內經)"의 형신론(形神論) 연구

  • 한경훈;윤창열
    • 혜화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1-86
    • /
    • 2007
  • 本论文是硏究黃帝内经里出现的形神论的特征. 形神论是古代东亚关于肉体和精神关于的哲学主题, 并且它还成为自然的对待人的身体医学理论的基础. "黄帝内经虽然承认神的主宰作用但更加具体的领会了形连接于神的关系并且重要的看待它, 因为 "$\ll$黄帝内经$\gg$"是对待身体的医经. "$\ll$黄帝内经$\gg$的神就是天地的道, 而且依据了水谷的精气. 这样以先后天为依据来完成的身体内的神把气精神生命力的意义全部包括在內. 以这个为基础来具体的领会了形神之间的关系且在养生和治求方面达成了丰富的理论.

  • PDF

인영촌구맥법의 초기 변천 과정

  • 김기왕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1호통권32호
    • /
    • pp.16-25
    • /
    • 2006
  • 대다학자인위인영촌구맥법시종인영화촌구적비교확정사기재우십이경맥중적나개경맥적고대맥진법(大多學者認爲人迎寸口脈法是從人迎和寸口的比較確定邪氣在于十二經脈中的個經脈的古代脈診法), 가시수연(可是雖然)${\ulcorner}$영추(靈樞) 종시(終始)${\lrcorner}$부합저개간법(符合這個看法), ${\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적기타편장부종(的其他篇章不從)${\ulcorner}$영추(靈樞) 종시(終始)${\lrcorner}$적모식(的模式), 이차나개맥진법취간화위근분육종병위적진법료(而且那個脈診法就簡化爲僅分六種病位的診法了). 종저사정황간(從這些情況看), 아문가이지도인영촌구맥법(我們可以知道人迎寸口脈法幷非一時完成下來的診法), 이시경모사조기연변과정이형성적(而是經某些早期演變過程而形成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