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색 포도상 구균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초등학교 급식 환경에서의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과 seb gene의 검색 (Screening of MRSA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seb Gene in Producing Strains Isolated from Food Service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 하광수;박선자;심원보;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9-86
    • /
    • 2003
  • 대부분의 식중독은 단체 급식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위생상태와 연관되어 식중독을 야기 시키는 병인 물질 중 포도상 구균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부경남지역의 5개 초등학교 급식시설에서 총 98개의 샘플 중 A 급식소의 식수, D 급식소의 손, E 급식소의 냉장고와 앞치마에서 4개의 포도상 구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1개의 메티실린 저항성 혈장응고 효소 음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e Resistant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aureus; MRCPS)과 3개의 메치실린 민감성 혈장응고효소 양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e sensitive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CPS)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포도상 구균은 내열성 내독소로서, 이 중 가장 문제가 되는 내독소 B(enterotoxin B)를 검색하기 위한 PCR을 실시한 결과, A 장소의 식수, D 장소의 손, E 장소의 냉장고와 앞치마에서 분리된 균주로부터 477bp의 생성물을 갖는 sob gene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생제 민감성 실험에서는 ampicillin과 penicillin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저항성을 가졌으며, 특히 A 식수에서 분리된 균주는 옥사실린 저항성(oxacilline resistant)균주로 나타나 MRSA(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균주로 확인되었다.

일개 대학병원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한 포도알균 항생제 내성 경향 차이 (Differences in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by Clinical Specimen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 홍성노;김준;성현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5-92
    • /
    • 2018
  • 황색포도상구균의 유병률에 대한 정보와 항생제 내성 리스트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의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의 어느 병원 임상 검체에서 얻은 황색포도상구균 균주의 빈도와 항생제 저항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람 양성구균 1,746 개의 균은 S. aureus으로 확인되었다. S. aureus은 객담(N=565, 32.4%), 기관내 흡인(358, 20.5%), 상처(329, 18.8%), 혈액(137명, 7.8 %), 고름(59 %, 3.4 %)이었다. 객담, 기관 내 흡인, 상처, 혈액, 소변 및 고름에서 스크리닝 된 1,282개의 S. aureus 균주 모두 글리코 펩타이드 옥시 졸리 디논(리네 졸리드) 및 스트렙토그라민(퀴뉴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에서 모두 민감성이 나타났다. 황색 포도상 구균은 기관 내 흡인과 비교하면 소변, 혈액, 고름, 상처 및 객담에서 내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기관내 흡인 검체에서 분리 된 황색포도상 구균의 경우 특히 내성의 빈도가 높았다. 결과적으로, 임상 표본에 따라 황색 포도상 구균의 항생제 저항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비유우와 처녀우에서 황색포도구균의 alpha toxin, capsular polysaccharide와 fibronectin binding protein으로 구성된 유방염 백신의 효능 (Efficacy of Bovine Staphylococcal Mastitis Vaccine Composed of Alpha toxin, Capsular Polysaccharide and Fibronectin Binding Protein in Lactating Cows and Heifers)

  • 한홍율;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158
    • /
    • 2000
  • capsular polysaccharide(CPS), alpha toxin과 재조합 fibronectin binding protein (FnBP)으로 구성된 유방염 백신을 개발하여 야외효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subunit 백신은 비유우 23두와 처녀우 20두를 대상으로 10개월동안 각각 수행되었다. 비유우는 매 3주간격으로 2회 백신접종을 하였으며 대조군은 PBS를 상유방림조절 주위에 피하주사하였다. 처녀우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분만 8주전부터 시작하여 매 3주간격으로 2회 비유우 백신접종부위와 동일하게 접종하였다. 접종후 비유우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총유선내 감염율이 대조균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1) 처녀우에서도 총유선내 감염이 백신 접종균(1.6%)이 대조군(11.7%)에 비해 다음 비유기동안 유의성있게 낮았다. (p<0.001). 비유기동안 백신접종한 젖소의 체세포수는 변화가 없었으며 처녀우에서는 추가접종후 백신접종군에서 대조군의 체세포수에 비해 낮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본 실험결과 황색포도구균에 대한 유방염 아단위 백신은 비유우와 처녀우에서 체세포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총 유선내 감염율을 낮추어주었다. 하지만 본 실험은 1군데의 목장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향후 대규모 목장을 대상으로 하는 유방염 백신의 야외효능실험이 심도있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에탄올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핸드 드라이버의 감염 관리에 대한 연구 (Infection control of dental implant hand drivers using ethanol solution)

  • 류송이;이진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3호
    • /
    • pp.158-167
    • /
    • 2020
  • 목적: 치과 보철 진료 과정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치과 임플란트 핸드 드라이버의 에탄올 용액을 이용한 감염 관리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치과 임플란트 핸드 드라이버의 표면에 황색 포도상 구균을 접종 후 83% 에탄올 거즈로 30초 동안 닦아낸 군과 83% 에탄올 용액에 30초, 60초, 90초, 120초, 150초, 180초, 300초 동안 침적한 군으로 나누었다. 세균 집락 형성 단위 수의 측정 방법과 흡광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세균 접종 후 감염 관리를 시행하지 않은 양성 대조군 및 멸균 후 세균을 접종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감염 관리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세균 집락 형성 단위 수의 측정 결과와 흡광도 분석 결과에서 두 군 모두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83% 에탄올 용액에 침적한 군에서 150초 이상의 침적을 시행하였을 경우 음성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치과 임플란트 핸드 드라이버의 감염 관리를 위해 에탄올 용액을 단독으로 사용한 중등도 소독 방법은 임상적으로 멸균 상태에 대한 확신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멸균 전 사전 세척 과정으로서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안개 D형 저지원을 갖는 MLS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의 분포와 내성 기전 (Characterization of S. aureus Showing MLS Resistance with Foggy D Shape (fMLS))

  • 윤은정;김현지;권애란;최성숙;심미자;최응칠
    • 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9-203
    • /
    • 2006
  • A new type of macrolides, lincosamides and streptogramin B antibiotics (MLS) resistance, showing the characteristic phenotype growing within the inhibition zone area around the clindamycin disk, was identified among clinically isolated Staphylococcus aureus. We named the phenotype as MLS resistance with foggy-D shape (fMLS). The average frequency of MLS isolates was 9%. All of fMLS isolates have only erm(A) for the resistance determinant. The growth pattern of the challenged MLS isolate looks intermediate phase between the patterns of inducible MLS resistance and constitutive MLS resistance.

구리 함유 활성 탄소 섬유의 항균 특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Containing Copper Metal)

  • 박수진;김병주;이종문
    • 폴리머
    • /
    • 제27권3호
    • /
    • pp.235-241
    • /
    • 2003
  • 항균 활성이 없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계 활성 탄소 섬유에 항균 활성을 부여하기 위해 반응성이 큰 전이금속인 구리를 전해도금 방식으로 도입시켜, 활성 탄소 섬유의 항균 활성 및 기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항균 활성 시험은 병원성 제균으로서 그람 양성균인 황색 포도상 구균 (Staphylococcus aureus)과 비병원성의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 (Klebsiella pnemoniae)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활성 탄소 섬유의 기공 특성은 BET식, Boer의 t-plot, 그리고 H-K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도입되는 구리의 양이 많아질수록 활성 탄소 섬유의 비표면적, 총 기공 부피, 미세기공 부피 등이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반면 항균 활성은 S. aureus 및 K. pnemoniae에서 증가되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 Infection Control in Intensive Care Units Nurses)

  • 김지희;임경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5-33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 infection control in intensive care units (ICU)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54 ICU nurses who were working at 6 general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in D city and G Province. Results: 77.2% and 84.4% of the subjects correctly answered to questions abou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respectively. The scores of MRSA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and VRE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were 3.41 and 3.43, respectively. The factors influencing MRSA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were empowerment, environmental safety recogni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which explained 30% of MRSA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The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VRE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were empowerment, hospital types, environmental safety recognition, number of education sessions, and neonatal ICU, which explained 37% of VRE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icient educational programs for infection control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s to improve empowerment and environmental safety recognition of nurses. Furthermor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ose infection control programs is also necessary.

폐경색을 동반한 삼천판막 심내막염의 수술치험 -폐엽 절제술과 개심술의 동시 수술- (Operation of Tricuspid Valve Endocarditis with Pulmonary Infarction - Lobectomy with Open Heart Surgery)

  • 김성완;김덕실;조준용;전상훈;이응배;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76-779
    • /
    • 2003
  • 기침과 고열을 주소로 8세 남아가 전원되었으며, 과거력상 출생시 작은 크기의 심실 중격결손이 있었다. 심장 초음파 검사상 삼첨판에 10${\times}$6mm 크기의 우종이 있었고 심실중격결손 및 중등도의 삼천판 폐쇄부전이 발견되었다. 혈액 균배양 검사에서는 메티씰린 저항성 황색포도구균이 나왔다. 충분한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열이 조절되지 않았으며 폐경색이 진행되었다. 정중 흉골 절개하에 혈전제거술 및 우측폐하엽 절제술을 먼저 시행하였으며, 체외순환 하에 우종제거술, 삼첨판 재건술 및 심실중격결손 폐쇄술을 시행하였다.

시프로플록사신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서 MIC의 하향 분포로 입증된 DW-224a의 in vitro 항균 활성의 비교 우수성 (Comparative Superiority of in vitro Activity of DW-224a Supported by the Downward MIC Distribution in Ciprofloxa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윤은정;이춘영;이종서;최응칠;심미자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9권6호
    • /
    • pp.431-435
    • /
    • 2009
  • The comparative superior in vitro activity of DW-224a was supported by the downward MIC distribution due to the weakened influence of alterations within target enzymes in ciprofloxa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MI$C_{50}$ for DW-224a was 4 $\mu$g/mL, similar to that of gemifloxacin, 8-fold less than that of sparfloxacin and 16-over-fold less than that of ciprofloxacin. We constructed combinations of amino acid changes, located at codon 80, 83 or 84 within GrlA and 84, 85 or 88 within GyrA, which were associated with MIC increase. The amino acid changes were less influential to the MIC of DW-224a compared to those of other fluoroquinolones, and it was verified from the requirement of a total of two GrlA- and two GyrA-alterations to reach the MIC of DW-224a over 32 $\mu$g/mL.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서 mecA, femA 유전자의 임상적 의의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y In Vitro Enzymatic Amplification of MecA and FemA Gene)

  • 박정은;김택선;박수성;김은령;김일수;안일영;김영진;김재종;강성옥;박한오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권2호
    • /
    • pp.133-138
    • /
    • 1996
  • Purpose : In the treatment of MRSA infection, rapid detection of MRSA is extremely important. The mecA gene codes the new drug resistant polypeptides called PBP2' which mediates the clinically relevant resistance to all beta-lactam antibiotics. The identical mecA gene has been found in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with the methicillin-resistant phenotype. On the other hand, the femA gene was absent from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strains with the methicillin resistant phenotype. This study is aimed at early detection and definite diagnosis of MRSA. Methods : A total of 24 MRSA strains were studied. All strain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nd purified DNA. We amplified both mecA and femA genes by PCR in 24 strains. Results : In MRSA all the 16 strains (100%) carried femA gene and 11 strains (68.7%) carried mecA gene. In contrast, in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ll the 8 strains (100%) carried femA and only 3 strains (37.5%) were detected mecA. Conclusions : A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 in the phenotype and genotype of methicillin resistance by PCR of mecA and femA. Such disparities between methicillin resistance and the presence of mecA gene suggest the presence of control gene of the mec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