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 선호도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3초

유방암 수술 후 유방 암 여성 환자의 의생활 조사: 유방 보존술과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간의 비교 (Survey of Clothing Behavior for Breast Cancer Women After Surgery: Comparison Between a Breast-Conserving Surgery Group and a Mastectomy Group)

  • 오희경
    • 감성과학
    • /
    • 제19권1호
    • /
    • pp.49-60
    • /
    • 2016
  • 본 연구는 유방 보존술(68명)과 유방 전절제술(45명)을 받은 대상자의 수술 후 심신의 변화에 따른 의생활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공통점으로는 유방 절제 수술로 변형된 체형을 노출시키고 싶어 하지 않았고, 타인에게 본인이 유방암 환자인 것을 알아채주어 배려 해 주기를 바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방 절제 범위가 큰 유방 전절제술의 대상자는 신체 이미지의 고양을 위하여 절제된 유방의 보완이 가능한 의복 및 보조물(인조 유방)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를 위한 브래지어나 인조유방은 고가임은 물론, 낮은 감성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유방암 수술을 받은 대상자들을 위한 전문 의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유방 절제 수술을 받은 한국 여성 대상자를 위한 치유 복장, 브래지어나 인조유방 등의 개발에 있어, 이와 같은 감성 조사가 효과적인 정보 자료로 사용 되어 신체이미지 증진은 물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대동맥류로 오인되어 스텐트 그라프트가 삽입되었던 후종격동 육종의 수술 치험 -1예 보고- (Surgical Resection of a Posterior Mediastinal Tumor That Was Previously Treated with Aortic Stent-graft under the Misdiagnosis of Aortic Aneurysm -A case report-)

  • 김미정;박계현;임청;정의석;이해영;최진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46-549
    • /
    • 2010
  • 70세 남자 환자가 심한 복부 및 배부 통증으로 흉부 대동맥류 파열 의심 하에 전원되었다. 환자는 6개월 전 타 병원에서 하행대동맥류 의심 하에 대동맥 스텐트를 삽입하였던 병력이 있었으나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은 후종격동 악성 종양을 시사하였다. 개흉 후 이와 같은 진단이 확인되었으며 종격동의 육종은 거기에 둘러싸인 대동맥과 함께 성공적으로 절제되었다. 본 증례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대동맥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에 대한 맹목적인 선호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는 교훈적인 경우라고 판단된다.

각화낭성 치성 종양의 보존적 외과적 치료 : 증례보고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Keratocystic Odontogenic Tumor : A Case Report)

  • 신세영;양연미;김재곤;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8-334
    • /
    • 2013
  • 각화낭성 치성종양은 국소적으로 공격적이고, 높은 재발률을 가지며 뚜렷한 조직학적 특성이 있는 낭성 병소로 다양한 치료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몇몇 학자들은 공격적인 형태의 치료방법을 주장하지만, 또 다른 학자들은 보존적인 치료를 선호한다. 본 증례들은 미맹출 치아를 가진 소아 환자들에게 보존적 외과적 방법인 조대술과 낭종 적출술을 이용하여 각화낭성치성종양을 치료하였고, 주기적인 검진을 시행중에 있다. 보존적 외과적 치료를 이용하여 각화낭성 치성종양을 치료하는 경우 치아와 해부학적 구조를 보호할 수 있어 소아 청소년 환자의 경우에게 좋은 치료 선택이 될 수 있다.

Injury of the Medial Rectus Muscle by Using a Microdebrider During Endoscopic Sinus Surgery: A Case Report

  • Choi, Yoon-Seok;Bai, Chang-Hoon;Song, Si-Youn;Kim, Yong-Da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240-246
    • /
    • 2006
  • 미세절단기를 이용한 내시경 수술이 기존의 부비동 내시경 수술에 비해 출혈이 적고 수술 시간도 단축되는 장점들이 있어 선호되고 있지만, 안와나 뇌 등의 중요 구조물에 심각한 합병증들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저자들은 만성 부비동염으로 부비동 내시경 수술 중 미세절단기에 의해 지판과 내직근 손상으로 인해 심한 복시와 외측 편위가 있었던 50세 여자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환자는 부비동 내시경 수술 중 미세절단기에 의해 좌측 내직근 손상으로 인해 안구운동 검사상 안검연의 중심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심한 내전장애 소견을 보였으며 편위각은 40 프리즘디옵터의 외사시를 나타내었다. 전산화 단층촬영상 좌측의 안와 내측벽의 손상으로 안와 지방의 노출과 좌측 내직근이 손상된 소견을 볼 수 있었다. 안구의 심한 외측 편위와 지속적인 복시는 안과적 수술을 시행하여 교정하였다.

  • PDF

소분할 방사선치료 방식에 따른 광중성자 평가 (Evaluation of Photoneutron by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 박은태;이득희;강세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347-354
    • /
    • 2015
  • 소분할 방식을 이용한 방사선치료는 한번에 대선량을 처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상조직에도 많은 선량이 조사되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에는 IMRT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그 한계점을 보완하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치료기술의 발전과 고에너지 광자선을 선호함으로써, 광핵반응에 의한 광중성자가 생성되어 환자에게 부가적인 피폭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급성 골반 뼈 전이암으로 IMRT 치료기법을 적용하여 소분할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료계획을 대상으로, 치료기법 및 분할기법에 따른 선량을 DVH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광중성자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분할기법에 따른 광중성자의 발생률은 처방선량에 비례하여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IMRT를 이용한 소분할치료 시 정상조직의 보호효과는 3D CRT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광중성자도 증가함으로써 적절한 치료계획의 선택과 최적의 방식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심자도를 이용한 심근 전류분포 복원과 임상적 응용 (Reconstruction of Myocardial Current Distribution Using Magnetocardiogram and its Clinical Use)

  • 권혁찬;정용석;이용호;김진목;김기웅;김기영;박기락;배장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59-464
    • /
    • 2003
  • 심자도 신호로부터 전류원의 분포를 복원하는 알고리듬을 구성하고 이를 WPW 증후군 환자에 대해 적용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40 채널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SQUID) 미분계를 이용하여 심자도를 측정하고 minimum norm estimation (MNE) 알고리듬과 truncat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을 적용하여 2 차원 평면에서의 전류원 분포를 구하였으며. 전류원의 분포가 실제 전류원의 정보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부전도로를 가진 WPW 증후군 환자의 심자도를 측정하여 수술 전후의 전류원 분포를 비교한 결과 수술 전에는 부전도로를 통한 비정상전류의 흐름을 볼 수 있었으나 부전도로를 절제한 후에는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이 결과는 심자도 선호로부터 구한 전류원 분포가 심장의 전기 활동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환자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척추 마취 환자의 수술 중 불안, 활력 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ferr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Vital Signs and Blood Sugar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sing Spinal Anesthesia)

  • 정향미;박말영;이수진;김남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9-20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ferr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vital signs and blood sugar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carried out. Subjects consisted of 40 patients (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 20)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During the operation, music individual patients preferred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4 to November 10, 2011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COVA and repeated measured ANCOVA using SAS (ver 9.2). Results: 1) Patient anxiet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F=93.77, p<.001).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F=.00, p=.979), Systolic blood pressure (F=.19, p=.668), heart rate (F=.00, p=.955), and blood sugar (F=.73, p=.399)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Letting patients hear their preferred music during surgery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anxiety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한 과제 지향적 훈련과 진동 자극,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의 융합 효과 (The Convergence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and Vibration Stimul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o Improve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 김선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1-37
    • /
    • 2020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과제 지향적 훈련과 진동 자극을 결합한 중재에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융합했을 때 상지 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20명을 대상으로 총 4주간, 주 5회, 30분씩 실시했으며,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융합한 과제 지향적 훈련과 진동자극의 결합 중재의 실험군과 과제 지향적 훈련과 진동자극의 결합 중재의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측정은 손의 기민성과 상지기능의 회복을 측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손의 기민성과 잡기, 쥐기, 큰 동작 움직임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p<.05), 실험군은 손의 기민성과 잡기, 쥐기 동작에서 대조군 보다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5). 중재 전후 효과 크기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작은 효과이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임상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활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정신요양 병동에서의 관리영역과 환자의 요양 공간영역의 관찰적 시선에 따른 병동구조와 요양 공간환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Spatial Environment in Psychiatric Wards through the Analysis by Patient's Preferred Healing Environment in Observational Ward Structure Dividing Staff Area and Patient Area)

  • 주용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57-64
    • /
    • 2021
  •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ff area and the patient's private area is the key factor in designing the structure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rd spaces in a psychiatric hospital. Recent research has found that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and securing privacy, psychiatric patients need to be in an open space of relief rather than closed confined environment and under the watch of nursing staffs. Methods: A survey at three kinds of wards in a private psychiatric hospital in Japan was conducted in October 2002. These wards include an acute ward, a psychiatric convalescence ward, and a stress care ward. All three kinds of wards have the same structure. At each ward, spatial preferences of the 145 psychiatric inpatients were surveyed and data concerning the patient's diagnostic category, symptom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recorded. Results: The patients in the stress care ward prefer to stay in private spaces than public spaces. On the other hand, in the acute ward the patients seem to have a preference between managed public spaces where are monitored by nursing staffs and their private rooms where the nurse station is close. In addition, the patients in the psychiatric convalescence ward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public space, such as the hallways or the day room. Implications: Base on this research, the spaces at the acute ward that could be monitored by the nursing station serves effectively as a safety space for patients was concluded. However, in the stress care ward, the patients may perceive the monitoring by the nursing staff as interruption or nuisance to their relaxation. In order to design an ideal healing environment for psychiatric patients in psychiatric war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pace affect the environmental sense of patients in each ward.

기관내삽관 시 수정된 경사면자세의 효율성 (Efficiency of modified ramped position during the endotracheal intubation)

  • 정수연;정준호;윤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6-308
    • /
    • 2022
  • 본 연구는 기관내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시 환자의 자세인 냄새맡는자세(Sniffing position)와 특별 제작된 기구를 사용하여 만든 수정된 경사면자세(Modified ramped position)을 비교·분석하여 전문기도술 수행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문심장소생술 및 전문기도관리학을 이수한 N대학교 응급구조학과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교차 방법(Randomized crossover study)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정된 경사면자세에서 냄새맡는자세보다 더 나은 성문시야를 보였으며, 그에 따른 신속성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주관적인 용이성, 자신감 그리고 선호도에서도 냄새맡는자세보다 수정된 경사면자세에서 더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기관내삽관 시 환자를 수정된 경사면자세로 취할 경우 전문기도술 수행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 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