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 영향 모니터링

Search Result 93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alysis to Impact of Monitoring interval on Performance of Virtual Machine in Cloud Environments (클라우드 환경에서 모니터링 주기가 가상머신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wang, Seunghyun;Bak, Bongwoo;Lee, Jaehak;Yu, He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260-261
    • /
    • 2018
  •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환경은 자원 사용량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원 요구량과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마이그레이션, 오토스케일링과 같은 가상머신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가상머신 관리 시 참조되는 가장 중요한 정보는 가상머신과 물리머신의 자원 모니터링 정보이다. 클라우드 센터에서 자원 모니터링 작업은 가상머신 관리 시 필수적이지만 모니터링 정보 수집 시 사용하는 자원은 물리머신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주기가 짧으면 모니터링 작업을 위한 자원 사용으로 인해 가상머신과 자원 경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머신에서 실행 중인 가상머신의 작업의 유형에 따른 최적의 모니터링 주기를 도출하기 위해 자원 모니터링 주기가 가상머신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상머신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모니터링 주기를 도출한다.

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Environment Using Satellites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 대기환경 모니터링 기술 현황)

  • 김영준;이권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38
    • /
    • 2002
  • 인류의 산업활동으로 인한 지표 및 대기환경 변화로 인하여 이에 대한 모니터링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한반도 지역은 중국으로부터의 장거리이동 오염물질과 황사에 의한 영향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의 감시가 매우 절실하다. 위성자료를 이용한 대기환경모니터링 기술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어 대기환경의 시·공간적 변수를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미국의 NOAA는 인공위성(NOAA/AVHRR)을 이용하여 전지구적 규모로 에어로졸의 분포를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있으며, 대기 중 에어로졸 입자가 기후변화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상당 수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략)

  • PDF

Ecotoxicological Biomonitoring at Different Levels of Biological Organization and Its Application in Chironomus spp. (다단계 생체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과 Chironomus spp.에의 적용)

  • Choi Jinhe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1
    • /
    • pp.1-11
    • /
    • 2005
  • 환경오염의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생체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이 최근 널리 연구되고 있다. 환경내의 생물종에서 측정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은 생태계 수준의 영향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지표와 개체군 수준에서의 반응과의 인과관계가 밝혀져야 한다. 오염물질에 대한 생체의 반응은 분자, 세포, 생화학, 생리적, 개체, 개체군, 군집 수준에서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각 단계별 반응은 반응 시간의 규모와 독성학적, 생태적 관련성에 따라 구분 지어 볼 수 있다. 각 개별 수준에서의 반응을 종합하면 오염물질에 노출된 생체의 전제적인 영향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체군에서 나타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생체지표와 개체군 수준의 반응과의 인과관계 정립은 효율적인 환경오염 예방기능 수행에 필수적인 과정이며, 다단계 생체 지표는 각 단계별 반응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가장 적절한 접근 방법이다. 수서 무척추 생물인 Chironomus의 유충은 이러한 다단계 바이오마커 연구에 매우 적절한 생물학적 모델이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은 생체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을, 두 번째 부분은 Chironomus의 유충에서 생체지표의 적용에 대해서 다룬다.

A Long-term Monitoring of Water Quality at Chongok Cave (천곡동굴의 수질환경 장기 모니터링)

  • Jun, By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9
    • /
    • pp.13-19
    • /
    • 2013
  • The Chongok karst cave which is located in Donghae-city, has high tourist and educational value due to existence of many doline(sink hole). Whereas this cave is easy to approach for the tourists, because this cave is located near the downtown, a high environmental riskiness such as sewage flowing has been also involved. In study, we observed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with long-term monitoring and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impact factor to water eco-system and determined the proper long-term monitoring factor among many monitoring criteria. The groundwater quality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about $14^{\circ}C$ in temperature, over 10mg/l in dissolved oxygen and 7-8 in pH, so the impact factor in water eco-system was not observed. The guide line to make sure of tourist safety was determined to 60mm/d as daily rainfall. The conductivity was suggested to main factor for long-term monitoring main factor and pH/turbidity was suitable for the supplementary factor. For the seasonal variation monitoring, ORP was recommended.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실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 Kim, Bo-Ram;Park, Soo-Hyun;Hong,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57-59
    • /
    • 2012
  •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미국 냉난방 공조학회(ASHRAE)에서도 실내 환경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하고 기준치를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TES-1370, TES-1355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 co2, 소음'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WEBPAGE와 MOBILE-WEBPAGE에서 차트와 함께 어디서든 쉽게 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다. 개발된 시스템으로 도서관과 강의실의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을 했다.

Impedance-based Long-term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or Jacket-type Tidal Current Power Plant Structure in Temperature and Load Changes (온도 및 하중 영향을 고려한 임피던스 기반 조류발전용 재킷 구조물의 장기 건전성 모니터링)

  • Min, Jiyoung;Kim, Yucheong;Yun, Chung-Bang;Yi, Jin-Ha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5A
    • /
    • pp.351-360
    • /
    • 2011
  • Jacket-type offshore structures are always exposed to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salt, high speed of current, wave, and wind compared with other onshore structure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structural integrity for offshore structure, there are few cases to apply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system in practice. The impedance-based SHM is a kind of local SHM techniques and to date, numerous techniques and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for local SHM of real-scale structures. However, it still requires a significant challenge for practical applications to compensate unknown environmental effects and to extract only damage features from impedance signals. In this study, the impedance-based SHM was carried out on a 1/20-scaled model of an Uldolmok current power plant structure under changes in temperature and transverse loading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applied using conventional damage index to eliminate principal components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PCA-base approach is an effective tool for long-term SHM under significant environmental changes.

The Hydraulical Monitoring of Osancheon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Works (오산천 하천환경 정비사업의 수리학적 모니터링)

  • Kim, Seo-Jun;Kim, Ji-Hye;Hong, Sang-Ji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75-1878
    • /
    • 2009
  • 최근 하천의 치수, 이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자연 친화적인 하천을 조성하려는 노력들을 많이 하고 있다. 하지만 복원사업을 위한 설계 및 평가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지 못하여 치수안전성 및 하도안정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복원 기법에 대한 복원 전, 중, 후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복원 후의 하천 변화를 예측하고, 실제 사업 시행 후 장기간의 모니터링을 통해서 적용 기법이 안정화 되어가는지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1년에 시작하여 2006년 12월에 복원 사업이 완료된 오산천 하천환경 정비사업에 대한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복원 후에 대한 하천 변화를 살펴보았다. 오산천의 경우 정비사업에 따른 공사 전, 중, 후에 대한 모니터링이 과거에 수행되었지만 단기간의 모니터링이었기 때문에 하천의 안정화 과정을 확인하기에는 많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모니터링 자료를 기초로 하여 하천복원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천이 적응관리 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하였다. 수리학 적 모니터링은 과거 수리 수문 자료를 바탕으로 호안 변화에 따른 하상 및 하도 변화와 하천 구조물의 영향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사항을 바탕으로 향후 하천의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view on the Post-spill Monitoring Method of Sunken HNS and General Considerations (침강 HNS 유출사고 및 사고 후 모니터링 방법 및 고려사항)

  • Ki Young Choi;Chang Joon Kim;Young Il Kim;Yongmyung Kim;Moonjin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spc
    • /
    • pp.37-43
    • /
    • 2022
  • Post-spill monitoring of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accidents is essential in the event of a spillage of significant quantities of pollutants and for the manage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resulting from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ersistent toxic substances. The accidental introduction of a sinker into the marine environment can create harmful anaerobic conditions in the benthic ecosystem and spread over the seafloor by the topography and currents. Through case studies, most post-spill monitoring includes modeling, remote sensing, and chemical analyses of the sediment and benthic organisms. The monitoring also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restoration and recovery activities and assesses damages and compensation.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Offshore Wind Farms Through Monitoring Case in Overseas Country (W국외 모니터링 사례를 통한 해상풍력발전의 환경적 영향 고찰)

  • Maeng, Jun-Ho;Cho, Beom-Jun;Lim, O-Joung;Seo, Ja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6 no.4
    • /
    • pp.276-289
    • /
    • 2013
  • In developing offshore wind farms, many environmental issues arise because of the concentration on supply demand and economic logic. Accordingly, community conflict is induced. Especially, recent studies regarding the capacity and location of offshore wind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considering wind states and ocean conditions, etc. of coastal seas in Republic of Korea. Nevertheless, studies on the impact of marine environments and ecosystems are very limited so far. Environmental monitoring that follows development projects has been actively done in the offshore wind farms in many developed European countries. In contrast, there is no domestic monitoring data regarding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installing and operating offshore wind power. Therefore, the environmental impacts under construction and operation phases as well as the guidelines in the stag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ited for domestic coastal seas are well present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monitoring cases and references of overseas offshore wind farm.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is ultimately aimed at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 in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and thus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Korea.

A Basic Study for Forest Landscape Fragmentation Monitoring (산지경관 파편화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

  • An, Seung M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3
    • /
    • pp.454-467
    • /
    • 2019
  • This study proposed a forest landscape (patch) fragmentation monitoring framework using a cadastral forest land dataset and validated the feasibility of such monitor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forest landscape has fragmented too quickly. Hence, immediate national monitoring and management are required. Second, forest landscape monitoring should be linked to other survey frameworks. Horizontal fragmentation monitoring based on the forest landscap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polygons) is insufficient to determine ecological processes. Third, precautionary principle regulation to link forest landscape fragmentation monitoring to assessment system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or disaster impact analysis should fol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