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 안정성

Search Result 4,26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환경생체지표를 이용한 광양만 주변해역의 환경모니터링 및 퇴적물 독성실험 연구

  • 신영범;오재룡;심원준;임운혁;홍상회;이동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3-176
    • /
    • 2002
  • 광양만 및 주변해역의 참굴을 대상으로 환경생체지표를 측정하여 환경독성을 조사하였다. 광양만에서는 세포치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라이소솜의 안정성은 남해도 주변정점은 70%내외 인데 반해서, 기준정점의 50% 내외의 상대적으로 낮은 안정성을 보인다. 에스테라제 활성은 광양내만 및 태인교 부근의 정점과 남해도의 정점 8, 9 들은 63-88 FU 정도로 낮아서 활성이 저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중나선 DNA의 함량은 남해도의 정점들은 150 FU 내외의 값을 보이고, 광양만은 130FU 내외로 함량이 낮고, 정점간의 차이가 크지 않다. 전체적으로 기준정점 및 외양역의 정점 10은 독성물질에 의한 영향이 적은 데 반해서, 광양만은 독성물질에 의해서 특히 라이소솜 온전성, 에스테라제 활성 등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남해도 주변의 인근해역은 광양만에 비해서는 적은 영향을 받고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측정자료와 비교하여 볼 때 광양만지역은 거제도와 같은 청정해역보다는 독성물질의 영향을 더 받았고, 마산과 같은 극심하게 오염된 지역보다는 독성물질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인접한 가막만과 유사하거나 조금 더 독성물질의 오염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퇴적물 독성실험에서 200 mg/ml(이하 mg)이상의 농도에서 전정점에서 100 mg에서 부분적 및 세포치사독성이 나타났으며, 라이소솜 안정성은 50 mg에 노출 했을 때에는 정점, 12, 20, 26, 42 에서는 25% 내외의 낮은 값을 보이고, 대부분의 정점에서 50 % - 70% 내외의 온전성을 보인다. 에스테라제 활성은 100 mg에 노출했을 때 묘도와 광양제철 인근에 위치한 정점 10, 12, 16, 22에서는 50 %내외의 값을 보였고(정점 22: 36%로 최저), 내만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60% 내외의 활성을 보였다. 양식장이 있는 정점 2, 외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정점 46, 51, 54 등은 활성 값이 70% 이상으로 퇴적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중나선 DNA 함량은 28.4 % - 49%로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가 크다. 대부분의 정점이 대조군의 30% 내외로 정점 간의 차이는 크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측정자료와 같이 정점 22에서 18%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정점 2, 12에서 20% 내외의 값을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염물질의 유입이 크고, 광양제철 인근 정점 들이 모두 다른 정점에 비해서 낮아서, 퇴적물 독성이 높은 정점으로 조사되었다.

  • PDF

Numerical Investigation on the Stability of Reinforced Earth Wall during Rainfall (강우시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에 관한 수치 해석 연구)

  • Yoo, Chung-Sik;Kim, Sun-Bin;Han, Joon-Y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12
    • /
    • pp.23-32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numerical investigation on the stability of reinforced earth wall during rainfall. A series of limit-equilibrium based slope stability analyses within the framework of unsaturated shear strength, coupled with transient seepage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due consideration of rainfall characteristics in Korea. It is shown that the factor of safety of the reinforced wall during rainfall decreases with time due to decreases in the suction in the reinforced as well as retained zones. Also revealed is that the decrease in the factor of safety depends not only on the backfill soil type but also on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alysis of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Performance for Optical Equipment During In-flight Vibration (항공기 진동에 대한 광학 탑재 장비 구조 안정성 및 광학 성능 분석)

  • Jo, Mun Shin;Kim, Sang W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9
    • /
    • pp.897-904
    • /
    • 2017
  • Optical equipment consists of various components, and a detector is mounted and operated on aircraft, tanks, and warships for targe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performance of aeronautical optical equipment operated at several kilometers of altitude are degraded owing to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craft.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performance requirements of the equipment in vibration environment conditions during the design phase. In this study, vibration environment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a test standard and the measurements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aircraft. The conditions were classified as endurance and operating vibration conditions for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performance verification, respectively. The structural stability was verified according to natural frequency analysis, response analysis for the endurance vibration condition, and static analysis. The optical performance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vibration response analysis results to the optical design/analysis program.

Design of Log Server for Steel Process System Stability (철강 공정 시스템 안정성을 위한 로그서버 설계)

  • Choi, Ja-Young;Kim, D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385-387
    • /
    • 2011
  • 본 논문은 철강 공정을 위한 로그서버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로그서버는 기존에 개발된 철강공정용 레벨 2 표준 미들웨어인 POSMOS 미들웨어의 특정 Agent 기능을 활용하여 독립적으로 구현됨으로써, 로그 활용을 위한 시스템 부하를 줄이고, 분산환경 아래에서의 통합적인 로그 수집이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다. 본 로그 서버를 통한 로그 관리는 무정지 환경 아래의 철강 공정의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Dynamic Tumble Stability Analysis of Seabed Walking Robot in Forward Incident Currents (전방 입사조류에 대한 해저보행로봇의 동적 전복안정성 해석)

  • Jun, Bong-Huan;Shim, Hyungwon;Yoo, Seongyeo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8
    • /
    • pp.743-749
    • /
    • 2015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ynamic tumble-stability analysis of a seabed-walking robot named Crabster (CR200) in forward-incident currents. CR200 is designed to be operated in tidal-current conditions, and its body shape is also designed to minimize hydrodynamic resistances considering hydrodynamics. To analyze its tumble stability, we adopt the dynamic stability margin of a ground-legged robot and modify the definition of the margin to consider tidal-current effects. To analyze its dynamic tumble stability, we use the estimated hydrodynamic forces that act on the robot in various tidal-current conditions, and analyze the dynamic tumble-stability margin of the robot using the estimated results obtained for the various tidal-current conditions. From the analyses, we confirm the improved tumble stability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umble axis caused by the supporting points of the legs.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Revetment in Gwangju Stream (광주천에 대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Park, Nam-Hee;Kim, Yun-Hwan;Jin, Young-Hoo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98-1107
    • /
    • 2007
  • 과거 치수적 목적에 의해 진행하던 하천정비방식이 최근에 친환경적 개념의 정비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하천환경개선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가 증가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천살리기 운동을 비롯해 하천의 환경기능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며 전국적으로 자연형 하천정비 또는 친환경적 하천복원 등의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자연형 하천정비 개념의 도입이후 많은 하천에 다양한 자연형 호안공법이 시공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적합한 호안공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상 하천이 지니는 특성에 적합한 호안공법을 선정하는 데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적용 호안이 시공 이후 하천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광주천을 대상으로 하여 호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하천인 광주천은 광주시를 관통하는 도시하천으로, 현재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광주천의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리적 안정성, 식생의 건전성과 경관/심미성 및 생태성을 포함한 평가방식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법을 광주천에 적용하여 하천공사 전후의 호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호안평가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Pseudomonas sp. 에 의한 Vibrio sp. 항균활성 물질의 생산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이경민;이오미;김유선;박은희;손홍주;이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40-241
    • /
    • 2001
  • 자연계로부터 Vibrio sp.에 항균활성을 갖는 균을 검색하여 분리하고 분리균의 동정결과 Pseudomonas aeruginoso로 동정되었으며, 분리한 균의 항균성 물질의 최적 생산조건을 검토하며, 항균성 물질을 정제하여 그 안정성과 항균작용기작에 대해 조사한 결과 pH와 열에 대한 광범위한 안정성을 보였으며, 항균물질이 V. cholerae non-O1 ATCC 25872 세포에 대해 뚜렷한 용균작용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Study on Levee Seepage Safety According to Change of Ground Elevation (제내지와 제외지의 표고변화에 따른 제방침투 안정성 연구)

  • Kang, Taeun;An, Hyunuk;Yoon, Euihyeok;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2-252
    • /
    • 2015
  • 우리나라에서는 대하천정비사업을 통해 주요 국가하천마다 보와 제방을 신설 및 보축하여 홍수의 방어 및 예방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근래에는 이러한 정비사업이 완료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제방에 대한 정비사업의 내용은 보축 및 신설이 주를 이루나, 제내지의 성토와 제외지의 보강 및 저수로의 준설 등도 함께 수행되었다. 이러한 정비사업의 영향으로 지하수 및 하천의 흐름양상은 정비사업 전과는 다르게 변화 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제방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하수 및 하천흐름의 변화양상이 제방의 안정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하천정비사업으로 지반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제내지 성토나 퇴사제거를 위한 하천준설 등이 수행되면서 제방의 외적인 환경들이 많이 변하게 되었으나 이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들이 거의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과 회천 합류부에 위치한 율지제를 대상으로 이곳에 설치된 간극수압계의 데이터와 2차원 침투해석 프로그램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내지와 제외지 표고변화에 따른 파이핑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내지 표고가 상승하면 파이핑 안전율이 증가하고 표고가 하강하면 안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외지의 표고변화는 제방안정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하천수위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방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초지반의 경우, 제내지측을 상승시키고 하천수위를 하강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