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친화적 의류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The surface modification research of Polypropylene by plasma discharge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Polypropylene 섬유의 표면개질 연구)

  • Lee, Chang-Seok;Kwon, Young-Mi;Ryu, Sun-A;Jo, Jang-Hoon;Jo, Ha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34-34
    • /
    • 2012
  • Polypropylene 섬유는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섬유 소재로 환경친화성, 경량성, 신축성 등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하여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의류 및 인테리어용으로 채택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olypropylene 섬유는 다른 섬유에 비해 융점이 매우 낮아 내열성이 약하여 가공 공정시 고온을 피해야 하고, 곁가지가 거의 없고 섬유 분자 구조가 매우 조밀하며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분자구조에 의한 극소수성 성질 때문에 다른 종류의 물질들과 접착력이 없어 사용에 제약을 주어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olypropylene 섬유의 제품화에 필요한 요소 기술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대기압 플라즈마를 적용하여 소수성 표면을 지니는 표면을 친수화 함으로써 polypropylene 섬유에 후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Plasma 표면 처리에 의해 polypropylene 섬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 표면을 친수화 함으로써 습윤성, 접착성 등 다양한 가공 기술을 적용하여 PP 섬유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모폴로지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 (FE-SEM)으로 확인하였으며 표면개질 효과는 Wicking Test로 평가하였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as Sewing Instructional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전통한지를 활용한 초등학교 바느질 교육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최경은;이전숙;김용숙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6 no.1
    • /
    • pp.19-30
    • /
    • 2004
  • Korean traditional paper is more than paper itself to the Korean people because of its excellence, compared to western paper, in keeping records, flexibility, strength. air permeability. and blocking ultraviolet rays. It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book-making. covering for walls. windows or floors. making clothes and living appliances. and so on. Notwithstanding these merits. mass-produced paper has been substituted for Korean paper. Recently, however,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re-evaluate Korean paper because of its physiochemical properties. traditional beauty. eco-friendliness. and applicability to crafts. Korean paper deserves widely received re-evaluation as teach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ecology. creativity. and traditional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way of using Korean paper as sewing materials in Practical Arts classes for the elementary school. Previous researches on what properties Korean paper has and how many kinds of crafts have been made of Korean paper were reviewed. Concrete methods of utilizing Korean paper as sewing materials. especially for the finishing skills of sewing. were also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