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조성

Search Result 6,52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Respiration Characteristics Modeling of fresh mushroom lander CA(Controlled Atmosphere) (환경기체조성하에서 생버섯의 호흡특성 모델링)

  • Lee, H. D.;Yun, H. S.;Lee, W. O.;Chung, H.;Cho, K.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43-348
    • /
    • 2002
  • 생버섯의 환경기체조절저장을 위한 적정 기체조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팽이버섯과 느타리 버섯을 대상으로 호흡특성치를 측정 및 모델링한 결과 두 버섯의 호흡속도는 환경기체조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의 산소소비속도와 이산화탄소발생속도를 반응표면분석한 결과 느타리버섯의 이산화탄소발생속도를 제외하고는 $R^2$=0.9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반응표면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두 버섯의 적정 기체조성은 팽이버섯의 경우 1~2.5% $O_2$와 10.5-11.5% $CO_2$, 느타리 버섯의 경우에는 2.5~4.5% $O_2$와 11.5~13%$CO_2$가 적정 기체조성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일반적인 생버섯의 저장기체조건에 포함되는 농도였다. 따라서 예측된 조건에서 생버섯의 환경기체조절 저장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The temporal and spacial distribution of stable isotope compositions of precipitation in Jeju Island : applicability to groundwater recharge study (제주도 강수의 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분포 : 지하수 함양에의 응용)

  • 이광식;고동찬;이대하;박원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133-136
    • /
    • 2002
  • 제주도에 내리는 강수의 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고 지하수 함양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라산의 남측과 북측 사면에 8개의 강수채수기를 설치하여 1년 동안 (2000. 9 ~ 2001. 8) 월강수를 채취하였다. 연구기간 동안에 강수량은 남쪽사면이 북쪽사면보다 약 37% 더 많았다. 강수의 산소동위원소 조성은 온도효과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여름 강우에는 우량효과가 매우 뚜렷하였다. 고도가 높아지면서 강수의 동위원소 조성이 낮아지는 고도효과가 남측과 북측사면에서 모두 뚜렷이 관찰되었다. 가중평균값으로 볼 때 북측사면 강수의 동위원소 조성이 남측사면 강수보다 약 0.5$^{0}$ $_{00}$ 낮은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비그늘효과(rain shadow effect)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다른 지역에 비하여 북부지역 지하수 동위원소 조성이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있는 것은 기존 연구 결과처럼 지하수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고 지하수로 함양된 강수의 원래의 동위원소 조성을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다.

  • PDF

Research about water quality chang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watershed environment change (유역 환경 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 분석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

  • Do, Yeonsu;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6-406
    • /
    • 2017
  •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강수량이 홍수기에 집중하고 갈수기에 감소하는 강우 편중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유역 환경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농업지역에서 유역 환경 변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농배수에 의한 수질오염의 심화와 농업 및 생활용수 확보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문제들은 상 하류간의 지역갈등을 유발시키는 등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역 환경 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농배수 조정지를 조성하여 농업지역의 용수를 확보하고 수질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합천은 용도지역면적 중 대부분이 농촌지역이며 논 77.4%, 밭 22.6%의 비율로 논의 이용이 밭보다 3배 이상 높아 농배수 조정지를 조성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합천지역의 황강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물리적 기반의 준분포형 장기강우유출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모의하였다. 황강유역 내의 HRU(Hydrologic Response Unit)별 수질 변화를 분석하고, 농배수 조정지 조성에 따른 수질 개선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농배수 조정지의 HRU별 추가 조성에 따른 낙동강 본류에 합류되는 황강유역 하류의 수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연구실안전환경조성법"의 배경과 주요 내용

  • Lee, Sang-Min
    • 방재와보험
    • /
    • s.120
    • /
    • pp.6-10
    • /
    • 2007
  • 지난 2005년 3월에 재정되 "연구실안전환경조성법"은 과학기술관련 연구실에 대한 특화된 안전과리체계의 수립과 더불어 산업재해로 인정받지 못해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없었던 연구실 사고피해에 대한 보상내용을 담고 있다.

  • PDF

광주천의 역사와 문화

  • Kim, Jong-Il
    • River and Culture
    • /
    • v.2 no.4
    • /
    • pp.26-33
    • /
    • 2006
  • 광주시는 의향, 예향의 도시특성을 살린 발전전략의 하나로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추진중에 있고, 구 전남도청부지에 아시아문화의 전당을 건립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무등산, 광주천, 영산강 등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환경 모범도시 건설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 PDF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의미와 추진 방향

  • Jo, Hyeon-Su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9
    • /
    • pp.13-16
    • /
    • 2015
  • 이제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와 자원순환 사회 구축,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 확보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우리 스스로 더욱 노력해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과 함께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 속도를 낼 때이다. 친환경 에너지타운이야말로 기피 혐오시설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라고 확신한다.

  • PDF

The Effect of Constructing an Cultural Environment on the Economic Revitalization within the Four Regions of Seoul (서울 4대 지역의 문화환경 조성으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 Park, Joung-Koo;Park, Jong-Sun;Kim, M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6
    • /
    • pp.55-65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 of culture has affected economic revitalization within the four regions of Seoul. World Cup Stadium, Bookchon, Daehackro, and Seoul Forest were selected for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nviron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s, which were administered to local residents. The results found an increase in the value of real estate in Seoul Forest while the construction of a culture-based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hop sales, the provi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the generation of tourist-based income in Daehackro.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ve influence of a cultural environment on the value of real estate was greatest on the improvement of local image and the enhancement of cultural enjoyment. The results found that the enhancement of cultural enjoyment was the most prominent predictor of the provi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Study of Ddvdlopment of Ecological Urban Open Space in Eastern Area, Japan(I) - Planning and Management - (일본 관동지방의 도시내 친자연공간 조성에 관한 사례연구(I) - 계획 및 관리 -)

  • 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177-200
    • /
    • 1997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propose the guidelines for development of ecological urban open space in Korea. The eastern area of Japan was studied as case area. It was classified into sex biotope types and the project background of each sites was analyzed. The contents and technique on the basis concept, survey of environmental and biotic condition planning and design(zoning and use planning, target selection and management),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environment and management, and monitoring was analyzed. It was planned out the projects in order to create the nature experience space in urban area. It was found that development of ecological urban open space by the biotope creation technic was based on three types(environmental transfer, environmental creation, and environmental inprovement type). Also most cases of projects created the biotope by the conservation of the present enviroment and ecosystem. When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urban open space was planned, selection of target species was seemed to very important that clearly propose to the guideli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