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정보협력

Search Result 90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iagnosis and Scheduling Agent Systems for Collaborative Learning (협력학습을 위한 진단과 스케줄링 에이전트 시스템)

  • 한선관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6 no.1
    • /
    • pp.83-96
    • /
    • 2000
  • 본연구는 웹 상에서 원격 협력 학습을 위한 수준별 협력 학습자 진단 및 스케줄링 에이전트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원격 협력 학습은 동일한 학습내용에 흥미를 갖는 아동이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지식 또한 비슷한 수준이어야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할 수 있다. 분산 환경의 이질적인 학습자를 모으기 위해서는 좀 더 자율적이고 지능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며 학습자에 대한 지식을 표현하는 학습자 모델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에이전트 시스템이 적절하게 사용될수 있으며 학습자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진단 에이전트와 협력학습이 가능한 여러명의 학습자들을 알맞은 시간과 서버에 연결하는 스케줄링 에이전트를 웹 기반 지능형 교수 시스템에 접목하였다. 학습자 수준을 진단하는 진단 에이전트는 확신도를 높이기 위해 3-모수 로지스틱 확신공식과 시간 가중치 확신인자 공식을 적용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또한 협력학습의 스케줄링을 위해 다양한 제약조건들의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 제약 만족 문제(CSP)로 스케줄링 에이전트를 모델링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 구현한 협력학습자 진단 및 스케줄링 에이전트의 효율성을 살펴보기 위해 여러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을 통해 각 학습자의 지식 수준 진단과 다수의 학습자가 적절한 협력학습을 하기 위한 스케줄링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 PD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ccording to Learning Task Types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온라인 협력학습)

  • Lee, Sung-Ju;Kwon, Jae-Hwa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1 no.5
    • /
    • pp.95-104
    • /
    • 2010
  • As the computer and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an unity, the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constructivism is emphasized more than learning by forming external representation. Especially, online has characteristics not only to facilitate collaborative activities but to make students collaborators.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learning task is an integrated element in course design and an important portion deciding learning design,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process. Thus this study explor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e learning task typ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 for Environment Education (환경교육을 위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정효숙;전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583-585
    • /
    • 2000
  • 과학 문명의 발달은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폭발적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자연 환경을 함부로 파괴하게 되었고 인류의 삶의 터전을 회복불능의 상태로 만들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환경은 한번 파괴되면 이를 회복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고 올바른 태도를 기르는 환경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은 대부분 인지적 측면만을 지고하고 있어 환경보전 인식의 내면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웹을 교육에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은 정보의 수용이 아니라, 학생들의 연구에 의한 학습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어 교사의 지도에 의지하지 않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개인 또는 학급내 및 타 학급간의 협력을 전제로 환경을 탐구하고 환경 문제를 발견하며 이를 해결해 나가는 환경교육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러한 웹 학습 공간을 마련하여 학습자가 다양한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한 협력 학습을 함으로써 이들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환경보전을 실천하는 기틀을 다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협력 다이버시티 기술

  • Kim, Jung-Bin;Kim, Do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5
    • /
    • pp.38-46
    • /
    • 2008
  • 협력 다이버시티 기술은 최근 수년간 MIMO(Multiple-Input-Multiple-Output) 기술의 실질적인 대안으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MIMO 기술로,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커버리지 확장 기술로 주목을 받아 왔다. 따라서, 협력 다이버시티 기술은 응용 목표에 따라 방식이 다르게 존재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협력 다이버시티 기술들을 몇 가지 일관된 기준으로 분류하여 보고, 이 분야에서 미진한 연구방향으로 다중사용자 환경에서의 협력 다이버시티 기술과 다중 안테나 노드를 위한 협력 다이버시티 기술을 제시한다.

Simplified Channel Management Mechanism for Multi-AP Cooperation in Dense Networks (밀집 네트워크의 다중 엑세스 포인트 협력을 위한 단순화된 채널 관리 방법)

  • So-Eun Jeon;Il-Gu L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4.05a
    • /
    • pp.137-140
    • /
    • 2024
  • 가상 및 증강현실(VR/AR), 원격 제어, 산업 자동화를 위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함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처리량과 지연시간 성능이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Wi-Fi 8 에서는 초고신뢰 (Ultra-High Reliable, UHR)을 목표로 표준화가 진행 중이며 다수의 AP가 협력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 AP 협력 기법이 핵심 기술로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다중 AP 협력 환경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로 인한 간섭 증가와 OBSS(Overlapped Basic Service Set) 간섭 문제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다중 AP 협력 전송을 위한 단순화된 채널 관리 방법(Simplified Channel Management Mechanism, SCMM)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SCMM 이 종래모델 대비 처리량은 평균 21.23% 증가했고, 지연시간은 평균 51.02% 감소했다.

A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s based o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사물지능통신기반에서의 컴퓨터지원협력작업)

  • Ko, Eung-nam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1.11a
    • /
    • pp.1150-1151
    • /
    • 2011
  • 본 시스템은 사물 지능 통신 기반의 개방형 API 중에서 컴퓨터 지원 협력 작업 API 에 대한 설계를 제안한다. 컴퓨터 지원 협력 환경이 잘 지원되면 개방형 사물 지능 통신 기반의 원격 진료, 원격 교육 등 개발 시 비 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다.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Collaborative Communications in Wireless Networks (무선네트워크에서 적응형 협력통신의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Khuong Ho Van;Kong Hyung-Yun;Jeong Hwi-Jae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3C no.6 s.109
    • /
    • pp.749-756
    • /
    • 2006
  • Broadcast nature of wireless medium and path-loss reduction create a favourable condition for collaborative communications (CC) among single-antenna users to gain the powerful benefits of multi-antenna system without the demand for physical arrays. This paper proposes a CC strategy adapting to the propagation environment changes by optimizing the transmit signal amplification factors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maximum likelihood (ML) detector and to obtain the minimum error probability as well. The closed-form BER expression was also derived and compared to the simulation resul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solution. A variety of numerical results revealed the cooperation significantly outperforms non-cooperative counterpart under flat Rayleigh fading channel plus 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