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성평가

Search Result 12,45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Revetment in Gwangju Stream (광주천에 대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Park, Nam-Hee;Kim, Yun-Hwan;Jin, Young-Hoo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98-1107
    • /
    • 2007
  • 과거 치수적 목적에 의해 진행하던 하천정비방식이 최근에 친환경적 개념의 정비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하천환경개선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가 증가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천살리기 운동을 비롯해 하천의 환경기능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며 전국적으로 자연형 하천정비 또는 친환경적 하천복원 등의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자연형 하천정비 개념의 도입이후 많은 하천에 다양한 자연형 호안공법이 시공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적합한 호안공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상 하천이 지니는 특성에 적합한 호안공법을 선정하는 데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적용 호안이 시공 이후 하천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광주천을 대상으로 하여 호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하천인 광주천은 광주시를 관통하는 도시하천으로, 현재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광주천의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리적 안정성, 식생의 건전성과 경관/심미성 및 생태성을 포함한 평가방식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법을 광주천에 적용하여 하천공사 전후의 호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호안평가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Study on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n Korea (우리 나라의 도시생태계 평가제도 고찰)

  • 오충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2
    • /
    • pp.188-194
    • /
    • 2002
  •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s divided into ‘Urban Planning Act’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n Korea. The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planning is divided into ‘Standard of land development approval’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urban planning’. The institu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s divided in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and ‘Advance environmental assessment’.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s progressed very slowly, because of development oriented policy. And so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objective assessment method is not invented except ‘Degree of growing tree number per unit area’and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and insufficiency of conservation measures or post evaluation, etc. Activation of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s necessary followed countermeasures in Korea. (1) Development of objective assessment method for urban ecosystem as biotope map, (2) Appointment of censer-vation zone or consideration of damage for high value in conservation, (3) Parallel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and ecosystem conservation plan, and enforcing post evalu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ES (부지환경종합관리시스템 개발과 적용)

  • Park, Joo-Wan;Yoon, Jeong-Hyoun;Kim, Chank-Lak;Cho, Sung-Il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6 no.3
    • /
    • pp.205-215
    • /
    • 2008
  • SITES(Site Information and Total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ally managing sit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data produced during the pre-operational, operational, and post-closure phases of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SITES is an integra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4 modules, to be available for maintenance of site characteristics data, for safety assessment, and for site/environment monitoring; site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module(SECURE), integrated safety assessment module(SAINT), site/environment monitoring module(SUDAL) and geological information module for geological data management(SITES-GIS). Each module has its database with the functions of browsing, storing, and reporting data and information. Data from SECURE and SUDAL are interconnected to be utilized as inputs to SAINT. SAINT has the functions that multi-user can access simultaneously via client-server system, and the safety assessment results can be managed with its embedded Quality Assurance feature. Comparison between assessment results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can be made and visualized in SUDAL and SITES-GIS. Also, SUDAL is designed that the periodic monitoring data and information could be opened to the public via internet homepage. SITES has applied to the Wolsong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center in Korea, and is expected to enhance the function of site/environment monitoring in other nuclear-related facilities and also in industrial facilities handling hazardous materials.

  • PDF

Challenges of EIA: EIA in Environmentally Sound Sustainable Development (환경영향평가의 도전: 환경적으로 건전한 지속가능발전에서의 환경영향평가)

  • Chung, Y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6 no.3
    • /
    • pp.229-239
    • /
    • 2007
  • 세계적으로 환경적으로 건전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수단인 환경영향평가는 지역과 국가의 경제사회적 특성과 어울려서 발전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개발과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사전에 저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환경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법개정, 새로운 제도와 기법의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는 생태영향평가, 사회영향평가, 누적영향평가, 전략환경평가, 환경위해성평가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 국가의 문제뿐 아니라 국경간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는 사업뿐 아니라 정책을 포함하는, 국가의 공간계획과 자원관리를 환경영향평가 과정에 통합하여야 할 것이다.

Use of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to Suppor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llow-Up Management (환경영향평가의 사후관리 지원을 위한 환경공간정보 활용 방안)

  • Cho, Namwook;Maeng, Jun Ho;Lee, Moung 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3 no.5_3
    • /
    • pp.799-807
    • /
    • 2017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a regulation that is implemented to reduce harmful environmental impacts of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The environmental value is difficult to quantify and the uncertainty, There is a problem of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is consistently pointed out.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data-bas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is gradually increasing. Especial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highly applicable to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because it contains about the development of a particular area. Also with the introduction of EIA Follow-up management system, there is a demand for a system for providing and utiliz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a time series. This study derives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analyz exis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based o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suggest ways to provid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to fi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imi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Health Impact Assessment on Construction of Landfill Site - Focused on Human Risk Assessment due to Inhalation Exposure to Landfill Gas - (매립장 조성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매립가스의 호흡노출로 인한 인체위해성평가를 중심으로 -)

  • Kim, Young-Ha;Lee, Young-Soo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7 no.1
    • /
    • pp.1-29
    • /
    • 2008
  • The Ministry of Environment(MoE) of Korea has recently established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This Act contains a clause related to implementation of Health Impact Assessment(HIA). So, selecting a landfill which was expected to have an influence on human health among major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carried out the human risk assessment due to inhalation exposure to landfill gas emission and attempted to measure the possibility of domestic application of HIA in the future. The process for HIA on landfill site extension focusing on human risk assessment is as follows: The first step is to presume and calculate the amount of landfill gas emissions using LandGEM, The second step is to carry out exposure assessment using K-SCREEN Model which is used for predicting the concentration in a conservative method. The last step is to carry out human risk assessment of carcinogenic and non-carcinogenic substance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likely to apply a technique for human risk assessment due to inhalation exposure to landfill gas emission performed here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implementing HIA. In addition, it is also believed that more systematic studies are needed to overcome some weak points and limits found in this study and if these weak points and limits are improved more reliable outcomes will be produced.

  • PDF

Reliability evaluation and standardization of outdoor exposure materials (옥외노출소재의 신뢰성 평가기술 및 표준화)

  • Jung, Ho;An, Byung-Man;Lee, Doo-Myeon;Shin, Pil-Soo;Park, So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2.06a
    • /
    • pp.147-15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옥외에서 사용하는 소재의 신뢰성 평가(내후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국내와 일본의 옥외환경시험장에 시험편을 동시에 폭로하여 기상인자 및 주변환경에 따른 시험편의 특성 변화를 상호 비교ㆍ평가하였고 인공 촉진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여 옥외내후성과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지역의 옥외환경시험장 중에서는 인천 옥외환경시험장에 폭로한 시험편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본 지역은 가혹한 기상환경을 나타내는 미야고지마 옥외환경시험장에 폭로한 시험편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국내 지역보다는 온도와 습도 등 기상제조건이 더 가혹한 일본 지역의 옥외환경시험장에 폭로한 시험편의 노화가 더 빠르게 진행됨을 관찰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Revetment through Field Survey (현장조사를 통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Kim, Yoon-Hwan;Kim, Chul;Kim, Dae-Young;Park, N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05-2110
    • /
    • 2008
  • 최근 환경적 기능을 중요시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에서 호안은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하천을 중심으로 한 생활영역을 가지는 생물에게 육역과 수역의 연결부로서 추이대(ecotone)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그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에서 조차 호안공법의 선정은 객관적인 자료와 평가기법의 부재로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무분별하고 획일적인 공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자연친화적 하천공사 시 시공하천의 특성을 고려한 호안공법의 선정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존의 호안평가지표 및 기법을 수정 제안하였다. 제안된 호안평가기법의 평가항목은 안정성, 환경성 그리고 친수 어메니티이다. 금번 연구에서 제안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을 위하여 전국의 하천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호안평가의 적용이 용이한 91개 하천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를 통해 확보한 호안 자료는 호안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호안의 안정성, 환경성 그리고 친수 어메니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제안된 호안평가기법은 호안 및 하천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자료는 향후 생태적 측면을 고려한 하천정비의 방향제시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호안공법 선정을 위한 호안평가기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암 사망 위해도 변화에 대한 지역별 지불의사금액 차이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울산을 대상으로 -

  • 김예신;이용진;신동천;신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4-165
    • /
    • 2003
  • 환경 중 오염물질 중에는 발암물질로 판명된 물질이 수 종 포함되어 있으며, 여러 선진국에서는 방대한 연구를 통하여 오염수준을 파악하고, 위해성 평가에 근거한 관리대책을 펴가고 있다. 하지만 여러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인체 위해성 평가결과만을 사용하여 환경 정책을 결정하기에는 그 결과가 반영하는 시야(scope)가 협소함을 느끼고, 다양한 측면(생태, 사회ㆍ경제, 삶의 질 등)을 함께 고려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중 인체 위해성 평가 결과를 경제성 평가와 더불어 화폐가치화 하는 연구는 정책 결정자들과 일반인들에게 위해성 평가 결과를 쉽게 인지시키고, 비교를 더욱 편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