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방사능 감시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일본의 환경방사능 감시체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5 s.51
    • /
    • pp.78-81
    • /
    • 1987
  • 환경방사선에 의한 전신피폭선량중 대부분은 자연방사선에 의한 것이며 또 지질의 차에 의한 지역차도 커서 이 레벨을 파악하는 것은 국민선량을 추정$\cdot$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 PDF

Evaluation of Radioactive Stack Air Effluents from the Advanced Fuel Science Building at KAERI (한국원자력연구원 새빛연료과학동 굴뚝방출 방사능 평가)

  • Chang, S.Y.;Kim, B.H.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3 no.3
    • /
    • pp.121-126
    • /
    • 2008
  • Radioactivities of the stack air effluents from the Advance Fuel Science Building (AFSB) at KAERI have been investigated and evaluated. In this AFSB, nuclear fuels for the HANARO research reactor have been fabricated and the advanced nuclear fuels have been studied. A stack air monitoring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operating to monitor the stack air effluents from the facility to protect the environment. As the results of the periodical radioactivity measurement and both the gamma and alpha spectrometry for the millipore filters taken from the stack air monitor from January until March 2008, a trace amount of primordial $^{40}K$ and the short-lived decay products of natural borne $^{222}Rn$ and $^{220}Rn$ have been detected. However, the radioactivities have rapidly decayed to the level below the Minimum Detectable Activity (MDA) of the counting system. Therefore, it was evaluated that no uranium isotopes have been released to the atmosphere from the stack of the AFSB at KAERI.

월성원자력 현안에 대한 이해관계자 참여 사례

  • Lee, Byeong-Il;Jeong, Jin-Uk;Mun, J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11.10a
    • /
    • pp.45-46
    • /
    • 2011
  • 2009년 4월에 신월성원전 건설현장의 차수벽이 파손되면서 해수가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한적이 있다. 이때 주민의 요구에 따라 사업자와 주민이 참여하는 공동조사위원회가 구성되어 침수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을 공동으로 평가하였다. 최근에는 주민이 참여하는 지역공동협의회를 구성하여 방폐장 안전성을 확인하였고, 삼중수소 방사능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주 지역에 원자력현안 발생 시 지역주민이 해결과정에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해결했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사회적 해결 과제로 떠오른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Estimation of Tritium Concentration in the Environment based upon Global Tritium Cycling Model (글로벌 삼중수소 순환 모델을 이용한 삼중수소 환경 방사능 추정)

  • Choi, Heui-Joo;Lee, Han-Soo;Kang, Hee-Suk;Lee, Chang-Wo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28 no.1
    • /
    • pp.1-8
    • /
    • 2003
  • The periodic safety review of operational nuclear power plants requires that the plants should keep a well organized environmental monitoring program. The past records of environment monitoring data were analyzed. and the tritium concentrations of the samples in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around Kori site were measured. It was shown that the tritium concentrations around the Kori sit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natural background. The change of background tritium concentration was estimated through a numerical modeling. Two different versions of 7 compartments model - the world and the northern hemisphere - defined in NCRP-62 were modeled for the global tritium cycling. The numerical solution of the model was obtained using a computer program, AMBER. The four cases of tritium source-terms into the atmosphere were conside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itium concentration in the surface soil water was higher than that in sea water or surface stream water. Also, it was shown that the tritium produ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cosmic rays and the gases were the major source of tritium, and the tritium produced by nuclear weapon test decreased considerably.

An Investigation on the Technical Background for Carbon-14 Monitoring in Radioactive Effluents (원자력시설의 Carbon-14 방사성유출물에 대한 감시배경의 조사)

  • Kim, Hee-Geun;Kong, Tae-Young;Jeong, Woo-Tae;Kim, Seok-Ta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4 no.4
    • /
    • pp.195-200
    • /
    • 2009
  • effluents to the environment. The activity of carbon-14, one of the radioactive effluents, in the environment is already high level and its effect on radiation exposure to the public and the environment is insignificant; thus, NPPs did not perform the carbon-14 monitoring in effluents in the past. By the way, effluents of noble gas and particulate radioactive materials originated from nuclear fuels has been continuously reduced due to both the advancement of manufacturing and integrity technology for nuclear fuels and the improvement of operation methods of NPPs. Futhermore, the portion of dose assessment by tritium and carbon-14 to the public has been relatively increased because the lower limit of detection for low-energy beta sources, such as tritium and carbon-14, is low due to the advancement of radiation detection technology. In this paper, the technical background for carbon-14 monitoring in nuclear facilities was investigated using United States technical reports and papers. This paper also reviews whether carbon-14 monitoring is necessary or not based on the investigated documents.

Development of a Diagnostic System for a Fuelling Machine (핵연료 교환기 이상 진단 시스템 개발 연구)

  • 천정한;채장범;김태환;김윤철;김용배;홍순성;박완규;서언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596-60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중수로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핵연료 교환기 브리지의 상태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진단 방법을 도출하였다. 핵연료 교환기는 고방사능 지역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신호의 취득은 원격에서 비침투적으로 이뤄져야한다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비침투적으로 원격에서 측정 가능한 신호들이 선정되었고 선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진단 신호들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진단 신호로는 모터의 출력 토크를 선정하였고 진단 신호의 타당성을 모형 브리지를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을 하여 브리지의 작동 특성과 결함과 진단 신호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PDF

고준위 방사성핵종 소멸처리 기술의 검토 -핵특성 관점에서-

  • 김용희;조남진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5 no.3
    • /
    • pp.480-496
    • /
    • 1993
  • 원자력발전 핵연료주기에서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요소의 하나는 사용후핵연료에서 비롯되는 고준위 방사성핵종이다. 고준위 방사성핵종의 처분 방법으로서 심지층처분방식은 가장 손쉬운 방법이기는 하나 매우 장시간의 감시가 필요하며, 특히 자연환경으로의 누출가능성이 커서 이의 대안으로서 외국 몇 나라에서는 소위 소멸처리(Transmutation)방법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소멸처리 방법으로 가장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원자로를 이용하는 것과 가속기 구동 미임계 시스템 (Accelerator-Driven Subcritical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본 기고문에서는 이들 방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소멸처리 방법의 소개와 기술적인 문제점(특히 핵 특성관점에서)에 대한 고찰 그리고 향후 연구과제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비록 소멸처리 시스템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지만, 기술적인 가능성과 방사능의 소멸이란 면을 고려할 때 소멸처리시스템은 궁극적인 방사성핵종 처리기술로서 연구·개발할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