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경방사능감시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3초

환경방사능 데이터 분석을 위한 실시간 환경 감시차량 관제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the Realtime Environmental Radioactivity Monitoring)

  • 손호웅;김인현;이윤;김영우
    • 지구물리
    • /
    • 제7권1호
    • /
    • pp.61-72
    • /
    • 2004
  • 실시간으로 수집된 환경방사능 데이터 및 차량위치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 받아 지도 상에 표출하고 핵종별 수집시간대별 분석 및 차량 위치별 수집데이터 분석 등의 통계분석기능과 결과물의 문서출력기능을 지원하고 다수의 감시차량 관제 및 관리가 가능한 서버 클라이언트 환경의 환경방사능 감시 차량관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국내 원자력시설 주변의 환경방사능 분포에 관한 연구

  • 김주열;이병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7-110
    • /
    • 2006
  • 국가 환경방사선/능 자동감시망과 원전주변의 환경방사선/능 감시를 통해서 연속적으로 측정 기록된 대량의 환경방사선/능 정보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환경방사선/능 정보에 내재되어 있는 공간정보 속성들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시공간적으로 예측할 필요성이 있다. 지구통계기법을 활용하면 환경방사선 감시설비가 비록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점일지라도 환경방사선/능 정보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므로 향후 추가적인 감시기의 설치와 시료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리, 월성, 영광, 울진 원자력발전소와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소 등 국내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토양중의 환경방사능 분포를 감마동위원소인 $^{137}Cs$$^{40}K$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 PDF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전산망의 설치 운영 - 과학시술처 방사선 비상 대책실

  • 유정일
    • 원자력산업
    • /
    • 제16권8호통권162호
    • /
    • pp.45-52
    • /
    • 1996
  • 원전의 방사능 누출은 물론, 전국의 환경 방사선이나 기상 등을 수시로 종합 감시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방사능 방재 전산망이 본격 가동되었다. 과학기술처는 7월 31일 과천 청사 방사선 비상대책실에서 원전 사고 등 비상시에 방사능 누출 현황 등을 컴퓨터 화면으로 한눈에 보고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는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전산망 가동식을 가졌다. 이 전산망은 $\ulcorner$방사선 영향 평가 및 예측 전산화 시스템(CARE)$\lrcorner$을 중심으로 서울 등 전국 20개 지역의 환경방사선량을 표시해주는 환경방사능 감시망과 기상자료 수집망이 하나로 연결된 컴퓨터 통신망이다. 이의 운영 현황을 들어본다.

  • PDF

환경 시료 중 신뢰도 검증을 위한 방사능 분석 (Radioactivity Analysis for Reliability Assessment in the Environmental Samples)

  • 강태우;홍경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6-191
    • /
    • 2007
  • 1998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 방사능 교차분석에 참여하여 제주지역의 환경방사능 감시를 위한 방사능 분석 기술의 능력 검증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베타 방사능 분석 시료는 공기부유진 필터와 물이었고, 감마 분석은 토양과 물 시료 중 자연 및 인공 방사성 핵종들이었다. 전베타 방사능 분석 값은 1998년과 1999년 물 시료를 제외하고는 모두 신뢰도 범위내의 값을 가졌고, 감마 핵종은 토양 시료 중의 $^{40}K$$137^{CS}$ 그리고 물 시료 중 몇 개의 핵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방사선 이상 사고시 원자력 안전을 위한 제주지역의 환경방사능 감시를 위한 신뢰도를 확보하여 자체적으로 환경방사능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였다.

원전주변 환경방사능 분석기술의 개선(I) (An Improvement on the Analysis Techniques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Around Nuclear Power Plants)

  • 김숭평;채경선;정운관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8-15
    • /
    • 1995
  • 환경방사능 분석기술은 원자력시설의 가동중 정상 및 비정상 상태시 이상판단과 지역특성에 따른 주변환경 방사능의 특성 및 거동파악 등을 하는데 필요한 기술로 원전 가동전, 후 환경방사능량을 비교함으로서 방사능 오염 및 변화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국내에는 현재 관련법에 따라 규제기관 및 관련기관에 의해 환경감시가 계속되어오고 있으나 분석기술에 대한 한국규격이 없으므로 분석절차가 서로 상이하고 분석결과의 상대오차율이 커서 환경방사선 감시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토양시료에 대한 감마핵종 분석에 한정하여 기수행된 측정방법 및 결과 둥을 비교분석하므로서 원전주변 환경방사능 감시목적에 적합한 분석기술의 신뢰도 향상 및 상대오차율 최소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