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폭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mpact on Habitat Changes by Restoration of Low-Flow Channel using Physical Habitat Simulation (물리서식처 모의를 통한 저수로 물길 조성이 서식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Choi, Jong Geun;Kim, Jong Joo;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7-107
    • /
    • 2019
  • 하천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공간이며 환경적,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하천은 물과 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독특한 생태 서식처 공간을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말부터 하천환경의 개선 및 복원에 대해 관심과 인식을 높이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훼손된 하천을 원래 모습으로 되돌리는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하천복원사업이 하천에 서식하는 수생물의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물리서식처 분석이 수행되고 이를 통해 각종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천복원사업을 통한 생태유량 재산정, 보 철거의 영향, 다양한 복원기법을 통한 수생물에 미치는 영향 파악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하천복원사업으로 인한 수리특성과 수생 서식처의 변화를 살펴보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하도의 단면을 재설계하고 다양한 복원기법을 적용하여 그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물길 조성 및 다양한 저수로 조성기법의 적용을 통해 우점종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원주천을 대상으로 물리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구간은 원주천 중 상류에 위치한 900 m 구간으로, 대상 어종은 원주천의 중 상류에 서식하는 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목표로 하였다. 수리분석과 서식처분석은 각각 River2D 모형과 서식처 적합도 모형을 사용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모형에 사용된 서식처 적합도 곡선은 Gosse (1982)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수심, 유속, 기층을 모두 고려하여 물리 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수로 물길 복원 조성을 위하여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단면으로의 복원 및 거석, 여울/소 구조, 단면의 확폭을 통해 기존 자연형 하천과는 다른 복원을 조성하였다.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물길 복원을 조성한 결과를 이용하여 물리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기존 자연하천인 현상태 대비 약 37% 가중가용면적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단면의 설계 조건에서 거석, 여울/소 구조 및 단면의 확폭의 복원을 수행하였을 때 서식처가 최소 약 3%에서 최대 21%까지 가중가용면적이 향상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and cause of the channel in the midstream of singwang river and naeng river in pohang - Comparing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yphoon hinnamnor with the past - (포항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한 분석 - 과거 및 태풍 힌남노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

  • Seonggi An;Chanjoo Lee;Woo-Chul Kang;Jongmin Kim;Gyeonghyeon Min;Byungsun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1-61
    • /
    • 2023
  • 우리나라는 여름철 집중호우 시 발생하는 홍수로 인해 중소하천의 확폭(Widening) 및 하안침식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홍수 피해 관점으로만 분석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수리학적, 지형학적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82-2022년의 지도 및 항공사진, 정사영상 등을 분석하여 포항시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를 살펴보고,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의 내습 시 발생한 홍수로 인해 초래된 하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광천 항사리 지점의 경우, 하천 우안에 제방이 축조되지 않았던 1982년에는 하폭이 상대적으로 넓었으나, 1992년 제방 축조 이후 우안 충적지가 하도에서 분리되며 하폭이 감소하였다. 2011년의 하도는 대부분의 면적이 식생으로 덮여 하천의 흐름이 잘 관찰되지 않으나, 2021년에 식생 제거로 하도가 식별되지만 하폭은 과거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다. 태풍 힌남노 내습 시 포항시의 6시간 누적 강우량은 315.3 mm 로 100년 빈도를 초과하는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확폭이 발생하였다. 단면에서 보면 좌안 활주사면은 5 m 가량의 퇴적고를 보였고, 우안 공격사면은 평균 23.3 m 측방으로 침식되었다. 그 결과 1982년 하폭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대되었다. 문덕리 지점(공장지대)과 냉천 용산리(아파트)의 경우에도 각각 평균 14 m, 18 m 의 하안침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30여 년 전 축조된 기존 제방이 유실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홍수로 인해 과거의 하폭으로 복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22년 홍수에 의한 하도 변화와 같은 지형학적 변화를 고려할 때, 보다 안정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하천 설계 시 과거 지도상의 하도 범위 및 기왕홍수로 인한 하안선 변동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Reevaluation of Lane Width Widenings on Horizontal Curve Sections (평면곡선부 확폭량 재설정에 관한 연구)

  • 최재성;백종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4
    • /
    • pp.51-62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evaluate current Korean design values for lane width widenings on horizontal currie sections and to develop a new method for derivation of design values based on low-speed offtracking. For this purpose, earlier research were reviewed and necessary equations were derived. Also, the method for derivation of widening values of Korea was compared with that for other countries. The result showed that present Korean method could not consider the variation of lane widths and design speeds of roads. In this Pap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new concept of widening was developed. That is the current concept of widening which concerns only the dimension of vehicles and radius of curves was replaced by a new concept that lane width widenings on horizontal curve section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dth required on curries and tangents. The width required on a curve consists of the swept Path of a vehicle, lateral clearance, and additional allowance. The width of a tangen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lane width by the number of lanes The result of applying new concept shows that the values derived from new concept are higher than current design values for curries have same radius. This study was based only on low-speed offtracking. Therefor,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studies which consider the superelevation and high-speed effect on offtracking be made to derive more accurate widening values .

  • PDF

Application of Structural Fuse Concept to Bridge Joint Design (교량의 이음부 설계를 위한 구조적 퓨즈 개념의 적용)

  • Lee, Jung Whee
    • Magazine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8 no.4
    • /
    • pp.77-82
    • /
    • 2014
  • 본 기사는 교량의 이음부(joint) 설계를 위한 새로운 구조적 퓨즈 개념을 다루고 있다. 제안하는 개념은 경제성, 명확한 하중경로, 그리고 지진 후 보수의 용이성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평상시의 사용 상태에서는 탄성거동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하지만 동시에 주요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는 파괴될 수 있을 정도로 약한 구조적 퓨즈를 설계하여 지진에너지가 퓨즈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두 가지의 대표적인 프로젝트를 소개하여 구조적 퓨즈의 개념이 실무에 어떻게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는지 보이고자 한다.

  • PDF

Tidal Propagation in the Han River (한강감조구간의 조석전파)

  • Choe, Seung-Ho;Lee, Jeong-Yeol;Seo, Gyeong-Seok
    • Water for future
    • /
    • v.20 no.2
    • /
    • pp.151-160
    • /
    • 1987
  • The development of the tidal asymmetries and the effect of an increased discharge on tide propagating into the Han River was studied quantitatively via numerical integration of one-demensional equations. The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some tidal components including $, $, $ were actually be amplified over a segment of the river. The computed results on the effects of increased discharges on the tide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oretical inference(Godin, 1985).

  • PDF

Application of FIT Model to Near Mokpo Harbor (음해조석모형의 목포항 인근해역에의 적용)

  • 강주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7 no.4
    • /
    • pp.321-328
    • /
    • 1995
  • The FIT(fully implicit tidal) model which adopts PCGCS (preconditioned conjugate gradient squared) method is developed and is applied to near Mokpo Harbor. Comparing computational results with observed velocities and elevations for the M$_2$ tidal constituent, agreeable correspondence is detected. The validity of the model is also proven by applying it to such areas which have narrow width (therefore showing rapid velocity), irregular topography and complex geometry. Tidal amplific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s of seadike and sea-walls is considered by analyzing the 'filter effect' of Mokpo-ku using the model.

  • PDF

하천정비 기본계획의 실행에 따른 지역현황조사 (제천천을 중심으로)

  • Kim, Yu-Jung;Park, Ki-Bum;Park, Ji-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77-148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하천정비기본계획의 수립현황과 실시공사에 다른 현황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충청북도의 제천천을 대상으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실시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재수립기간이 지난 10년후에 실시된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하천확폭은 40정도가 진행중에 있으며, 보강 구간의 경우 27%정도가 진행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천정비기본계획의 수립율이 94% 이상인 국가하천 및 지방 1급 하천에 비해 지방 2급 하천의 정비기본계획 수립율이 57%정도로 저조하고 사업의 시행여부도 미비한 점에 따라 실제 시행되는 시기와 기본계획 수립시기의 시간적 차이에 따라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 by Tailrace (방수로를 이용한 치수효과 분석(굴포천방수로를 중심으로))

  • Jung, Eui-Taek;Ahn, Je-Sik;Hwang, Jae-Choong;Jeong, Bo-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34-538
    • /
    • 2008
  • 최근 여름철 기상이변과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인해 대도시 유역의 첨두홍수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대도시 지역은 비도심 지역에 비해 하천 확폭이나 제방 증고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대한 도심지역의 홍수 예방대책으로 유역을 전환시키는 방수로는 하천통수능력을 초과하는 홍수량을 유역상류부에서 호수나 바다로 방류할 수 있어 하류지역 홍수부하량을 감소시켜 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업 진행중인 굴포천방수로를 통한 굴포천 유역의 치수효과를 수치해석 및 실제 홍수처리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Prefabricated Retaining Walls with Steel Lagging (강재 요소를 적용한 조립식 흙막이 벽체에 관한 연구)

  • Hong, Jong woo;Choi, Jae S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6
    • /
    • pp.1277-1285
    • /
    • 2015
  • It has been known that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system with timber lagging and H pile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irregular gap between H-piles, cutting or adding to standard timber, back fill over first step excavation, and especially break-down accident at the disjoint of wall system. In the practical excavation, these problems may lead to worker's accident and the inefficiency of construction econom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new method using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was proposed and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method is to replace timber wall as free-sliding steel-lagging and connector. To check its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laboratory tests such as bending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fatigue strength were carried out. Also, a pilot test in the field and numerical simulations under various ground conditions were performed. From the researches, it is found that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plate can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timber lagging plate in the strength. It is also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s can be effective in the reuse of retaining wall plate and safe in the disjoint of wall system. Finally, it is desired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be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the imported timbers and helpful in the safety of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lope Stability due to Additional Embankment (제방 추가성토에 따른 사면안정)

  • Lee, Seung-Hyun;Jang, In-S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7
    • /
    • pp.3232-3236
    • /
    • 2012
  • Consolidation and remedies for slope stability were considered for the slope with additional embankment. Transferred stresses due to additional embankment were assessed by the derived formula based on elasticity theory. Available remedies for slope stability with additional embankment including JSP method, stone column method and EPS method were studied. Caution needed for using JSP method is high pressure which can result in heaving of adjacent soils. Shortages of used case and noise of construction of stone column method are also considered for the safe remedy for slope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