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정시간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Block Chain Conformance in Modular NVIDIA Jetson TX 2 Embedded Products (모듈형 NVIDIA Jetson TX2 임베디드 제품에서의 블록체인 적합성)

  • Choi, Hyo Hyun;Lee, Gyeong young;Won, Son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97-29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모듈형 NVIDIA Jetson TX2 임베디드 제품에서 채굴을 통해 블록체인의 적합성 여부를 보인다. 범용성과 적합성의 평가기준은 TPS (Transactions Per Second), 블록생성시간(Block Generation Time)과 확정시간(Confirmation Time)이다. 채굴 준비 시 TX2 임베디드 제품의 특성상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자립적으로 설치 할 수 없기 때문에 HOST PC와 함께 사용하였다. HOST PC는 TX2 제품과 호환성이 높은 OS인 Ubuntu 14.04를 사용했으며, 하드웨어 드라이버 설치를 위해 NVIDIA 공식 TX2 제품 소프트웨어 중 JetPack 3.1 Release Version 을 사용하였다. 코인은 이더리움(Ethereum), 라이트코인(Litecoin)과 제트캐쉬(Zcash) 총 3종 코인으로, 채굴 시 나온 결과물로 TX2 제품에서 블록체인의 적합성 여부를 보였다.

  • PDF

A Computational Study of Deterministic Routing Heuristics in Stochastic Service Quantity and Travel Time Settings (확률적 서비스 물량과 이동시간 설정에서 확정적 VRP 휴리스틱들의 수행도 평가를 위한 계산실험 연구)

  • 박양병;김흥남;이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85-488
    • /
    • 2000
  • 실제 많은 차량경로결정문제(Vehicle Routing Problem: VRP)에서 차량의 이동속도는 도로의 교통량 등의 인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서비스 수량이 고객의 운영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거의 대부분의 VRP 기법에서 차량속도와 서비스 수량을 확정적으로 가정하거나 평균값을 사용하는 이유는 알고리즘 적 분석의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확정적 VRP 기법들에 해 구해진 해는 실제 적용에서 그 유효성에 대해 심각한 이의가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잘 알려진 정적 VRP 기법들이 확률적 상황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면, 실제 차량경로계획 상황에서 이들 확정적 기법들이 복잡하고 난해한 확률적 VRP 기법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적 환경에서 네 가지 확정적 VRP 기법들의 성능을 평가하는 계산실험 연구를 소개한다. Solomon의 다양한 실험문제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문제에서 hard 및 soft 서비스 시간대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지점간 차량이동시간과 고객들의 서비스 물량은 세 가지 확률분포로써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특정 확정적 VRP 기법이 특정 확률적 환경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단일공정에서의 가공시간 분포를 고려한 스케쥴링 문제

  • 정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03a
    • /
    • pp.209-222
    • /
    • 1997
  •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스케쥴링 문제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종래부터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그 대부분은 작업의 가공시간이 확정적(deterministic)인 경우의 평가척도(criterion)를 고려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노동집약형 산업이라든가 고장율이 높은 자동화 공장등에 있어서는 가공시간 또는 제조 리드타임이 확률적인 변동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공시간의 변동은 각 작업의 가공완료시각의 변동으로 되어 후공정의 작업계획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공시간이 확률적(probabilistic)인 경우의 생산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스케쥴링 문제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와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단일 공정의 생산 시스템을 대상으로 n개의 작업이 확정적인 가공시간을 갖는 경우의 총체류시간(total flow time)과 납기(due date)의 평가척도에 관한 스케쥴링 문제를 가공시간이 확률적인 분포를 갖는 경우로 확장시킨 스케쥴링 문제를 제안한다. 그리고 납기에 있어서 평균 납기지연확률(mean probability of tardiness)을 최소화하는 스케쥴링 문제의 휴리스틱 해법을 제안하여 그 실용성을 검토하였다.

단일공정에서의 가공시간 분포를 고려한 스케쥴링 문제

  • 정용식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 no.1
    • /
    • pp.19-34
    • /
    • 1997
  • 샌산시스템에 있어서 스케쥴링 문제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종래부터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그 대부분은 작업의 가공시간의 확정적인 경우의 평가척도를 고려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노동집약형 산업이라든가 고장율이 높은 자동화 공장 등에 있어서는 가공시간 또는 제조 리드타임이 확류적인 변동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공시간의 변동은 각 작업의 가공완료시각의 변동으로 되어 후공정의 작업계획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공시간이 확률적인 경우의 생산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스케쥴링 문제에 관한연구는 최근에 와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단일 공정의 생산시스템을 대상으로 n 개의 작업이 확정적인 가공시간을 갖는 경우의 총체류시간과 납기의 평가척도에 관한 스케쥴링 문제를 가공시간이 확률적인 분포를 갖는 경우로 확장시킨 스케쥴링 문제를 제안한다. 그리고 납기에 있어서 평균 납기지연 확률을 최소화하는 스케쥴링 문제의 휴리스틱 해법을 제안하여 그 실용성을 검토하였다.

A Deterministic User Optimal Traffic Assignment Model with Route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Origins and Destinations fo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ATIS 체계 구축을 위한 출발지와 도착지의 경로 인지 특성 반영 확정적 사용자 최적통행배정 모형)

  • Shin, Seong-Il;Sohn, Kee-Min;Lee, Chang-J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7 no.1
    • /
    • pp.10-21
    • /
    • 2008
  • User travel behavior is based on the existence of complete traffic information in deterministic user optimal principle by Wardrop(1952). According to deterministic user optimal principle, users choose the optimal route from origin to destination and they change their routes arbitrarily in order to minimize travel cost. In this principle, users only consider travel time as a factor to take their routes. However, user behavior is not determined by only travel time in actuality. Namely, the models that reflect only travel time as a route choice factor could give irrational travel behavior results. Therefore, the model is necessary that considers various factors including travel time, transportation networks structure and traffic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more realistic deterministic optimal traffic assignment model is proposed in the way of route recognizance behavior. This model assumes that when users decide their routes, they consider many factors such as travel time, road condition and traffic information. In addition, route recognizance attributes is reflected in this suggested model by forward searching method and backward searching method with numerical formulas and algorithms.

  • PDF

FOCUS 1 - 배출권거래제, 이상과 현실의 조화가 과제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196
    • /
    • pp.29-33
    • /
    • 2012
  • 배출권거래제의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담은 시행령이 최근 확정 공포되었다. 지난 2012년 5월 산업계 반대로 논란이 많았던 배출권거래제가 여야 합의로 전격적으로 국회를 통과한 후 약 7개월 만에 구체적인 시행방안까지 확정된 것이다. 2015년 제도 시행까지는 만 2년 정도 밖에 남지 않았다. 2014년에 정부와 기업간 구체적인 배출권 협상이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시간이 많지 않다. 특히 산업경쟁력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정부 입장에서 배출권거래제의 균형 있는 실행이 쉽지 않은 과제가 될 전망이다. 여기서는 LG경제연구원의 '배출권거래제, 이상과 현실의 조화가 과제' 보고서를 통해 배출권거래제 실시에 따른 산업계 영향과 합리적인 실행방안 등에 대해 살펴본다.

  • PDF

Representing the views of product data using extended Topic Maps (확장된 토픽맵을 이용한 제품 데이터에서의 관점의 표현)

  • 채희권;최영환;김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157-1164
    • /
    • 2003
  • 제품개발과정에서 생성된 제품정보모델은 시간에 따라 계속 변하고 미확정적인 정보가 포함된 UDM(Under Defined Model)이다. 정보모델에서 관점(viewpoint)은 UDM을 표현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토픽맵(Topic Map) 이용한 정보모델은 관점의 표현이 용이하며, 관점에 따라 인간이 정보를 이해하고 조작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토픽맵은 제품개발과정의 정보모델과 같은 UDM의 표현은 가능하나, 적합하지는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토픽맵이 UDM에 적합하도록 토픽맵의 문법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UDM으로부터 전자상거래에 적용 가능만 FDM(Fully Defined Model)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논하였다. 관점이 적용된 UDM으로는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 중에 생성되는 제품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대량생산이 된 이후의 제품 모델이나 제품개발단계에서 결정이 이루어진 후의 제품모델을 FDM 또는 UDM보다 모델의 의미가 보다 확정적인 확정적UDM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세탁기의 제품정보모델을 구현 예로 사용하여, UDM이 FDM 또는 확정적UDM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 PDF

New hybrid stochastic-deterministic rock block analysis method in tunnels (터널의 신 하이브리드 추계학적-확정론적 암반블럭 해석기법)

  • Hwang, Jae-Yu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2 no.3
    • /
    • pp.265-274
    • /
    • 2010
  • In many tunnels, falling or sliding of rock blocks often occur, which cannot be predicted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rock discontinuities and it has brought an exponential increase in costs and time to manag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properties of rock masses before the tunnel excavation. The observational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in tunnels has been becoming important recently. In this study, a new hybrid stochastic-deterministic rock block analysis method for the prediction of the unstable rock blocks before the tunnel excavation is proposed, and then applied to the tunnel construction based on actual rock discontinuity information observed in the field. The comparisons and investigations with the analytical results in the tunnel construction have confirmed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is new hybrid stochastic-deterministic rock block analysis method in tunnels.

DDS-TSN Layered Architecture Design for Real-Virtual Convergence Metaverse Service (실·가상 융합형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DDS-TSN 계층 구조 설계)

  • Kim, Gwanhyeok;Kim,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76-177
    • /
    • 2022
  • 현재의 메타버스 서비스는 메타버스 학술대회, 메타버스 입학식 등과 같이 단순히 실제 세계의 대체품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메타버스는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가 융합된 실·가상 융합형 메타버스 서비스로 발전할 것이다.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가 융합하기 위해서는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리적 개체의 정보가 가상 세계로 반영되어야 하며 메타버스 서비스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확장성을 지원하는 통신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확장성의 통신 미들웨어인 DDS와 시간 확정적 전송을 보장하는 TSN 표준을 융합하여 메타버스 서비스가 요구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시간 확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DDS-TSN 계층 구조를 설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