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장과 고사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ffects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on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남강댐 선버들 군락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 Kim, Ki H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2
    • /
    • pp.1065-107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and withering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on the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as 0.12 km2 in 2003 for the first time, but it was 3.58 km2 in 2019, which has increased rapidly by about 30 times in 16 years. However, in 2013, the distribution area has decreased by 0.17 km2 due to long-term immersion in high turbidity, and self-thinning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The lake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showed a combination of lake type and river type in terms of average water depth, watershed area/lake surface area ratio, water residence time, flushing rate, and stratification.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long-term changes in lake water quality, COD, TP, and chlorophyll-a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the three point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reservoir.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value of chlorophyll-a showed the maximum value in winter rather than summer, unlike the trend of the three points in the Namgang Dam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s thought to have occurred internally rather than externally. It can be estimated that one cause of this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is the huge amount of nutrients generated in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by-products such as fallen leaves, branches and withered trees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Monitoring on Regenerated Process of Natural Vegetation Using Recycling Eco-Revegetation Technique -A Case Study for the Rear-slope of Jangheung Multi-purpose Dam- (리싸이클링에코녹화공법을 이용한 자연식생 재현 모니터링 -장흥다목적댐 배면부를 대상으로-)

  • Kim, Sung-Hyun;Oh, Koo-Ky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1
    • /
    • pp.1-8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regenerated process of natural vegetation on the rear-slope of Jangheung multi-purpose dam using the recycling eco-revegetation technique. The monitoring plots were established in May 2004 and the plots were monitored in May 2004 and October 2005. Flora, plant community structures, naturally introduced plants, death rates were monitored. The change of flora after wood chip mulching decreased in family and species, but the influence of vine tree was extended. The urbanization index declined. Naturally introduced species and death ratios at the monitoring plot had a tendency to a higher increase in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1969년도 전력사업의 전망 (한전의 주요 사업계획)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12 s.14
    • /
    • pp.8-9
    • /
    • 1968
  • 69년도의 전력사업은 전원개발의 촉진과 공급신뢰도의 향상을 위한 제사업들이 중점적으로 추진된다. 년간 $30\%$선을 상회하는 수요급증에 대비하여 발전설비의 건설공사가 계속 진전될 뿐 아니라 이와 병행하여 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송배전등 공급설비의 확장고사가 대대적으로 추진된다. 그리고 새해에는 특히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50만Kw의 원자력발전소와 345kV의 초고압송전계통이 착수됨과 동시에 이수발전소 건설계획에 따르는 기술검토가 활발히 진행됨으로써 우리나라의 전력사업은 그 규모와 기술면에서도 새로운 전기를 가져오게 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tudent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XML (XML을 이용한 학생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Jae-Dong;Kim, Jae-Yoe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3 no.2
    • /
    • pp.47-57
    • /
    • 2000
  • Many people have been building HTML documents due to rapid spread and growth of web. However, HTML has limits in satisfying user's requirements, so that XML has emerg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studen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s and presentation methods for maintaing the general student life archives and the analysis of results of examinations using XML and web browser. We define a XML DTD for general student life archives, and build XML documents. A private student life archive is printed from XML documents on the web using XMLDOM, DATA-BINDING, and XSL. Also, personal items and a roll book of a class can be printed and searche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 of examinations we define DTD and build XML documents according to the DTD.

  • PDF

IEEE 802.11w 무선 보안 표준 기술

  • Song, Wang-Eun;Jeong, Su-Hw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3
    • /
    • pp.74-79
    • /
    • 2016
  • IT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스마트 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의 고사양을 가진 모바일 단말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이 사용하는 IEEE 802.11 표준 기술 또한 지속적인 보완작업과 개정작업을 통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 되었으며, 데이터 전송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Management Frame의 무결성 확인 과정의 부재로 인한 보안 취약성이 아직 남아 있으며, 이를 악용하는 악성행위자의 ARP Spoofing 공격, AP DoS(Denial of Service) 공격, Mac Spoofing 을 기반한 Rouge AP 공격 등에 취약하다. 공공기관, 회사에서는 위 같은 취약점으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WIPS 시스템을 도입하였지만, 이 또한 Management Frame의 취약성을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없었다. 때문에 IEEE 802.11 워킹그룹은 Management Frame 보안성을 향상시킨 IEEE 802.11w-2009 표준 기술이 제안 하였으며, 이로 인해 Management Frame의 무결성을 확인하지 않아 발생하는 취약성으로 인한 보안 위협을 근본적으로 방지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IEEE 802.11w 표준 환경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유형의 보안 위협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IEEE 802.11w 표준에 대하여 살펴보며, IEEE 802.11w 표준 환경에서의 보안 기술에 대한 동향 알아본다.

모바일 기기의 신뢰연산을 위한 디버깅 기술 활용

  • Seungkyun Han;Jinsoo Jang
    • Review of KIISC
    • /
    • v.33 no.5
    • /
    • pp.25-38
    • /
    • 2023
  • 중요 데이터와 서비스를 격리하여 보호하기 위한 신뢰연산기술이 모바일 기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신뢰연산기술은 보통 하드웨어 기반 접근제어를 통해 메모리, 레지스터, 캐시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공격자로부터 격리하는 신뢰실행영역을 시스템 내에 생성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보호 대상 소프트웨어에 악용 가능한 취약점이 존재할 경우 그 보안성이 파훼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실행영역 내에도 소프트웨어에 대한 공격 효율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주로 적용된 ARM 아키텍처에서도 포인터 인증, 메모리 태깅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 기반 보안기술들이 정의되고 있으며 최신 고사양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키텍처 버전에 따라 가용한 하드웨어 보안 기술이 상이하기 때문에 보안기술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또한 중요하게 연구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모바일 신뢰연산기술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범용 보안 기술들에 대해 소개한다. 특히 유저서비스,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된 디버깅 와치포인트 기반 보안 기술들에 대해 분석하고 그 한계와 타 아키텍처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Correlation between Salix Communities and Water level in Namgang-Dam (남강댐의 운영수위와 버들류 군락의 상호관계)

  • Jung, Hea-Reyn;Kim, Ki-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7-771
    • /
    • 2012
  • 남강댐은 평지에 위치하여 댐 높이가 낮고 댐운영 수위의 편차가 작기 때문에 계획홍수위 아래 완경사 비탈면이 갈수기인 3월부터 5월 사이에 장기간 노출되어 5월 전후에 발아하는 식생 특히, 버들류가 이입, 성장하여 대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다. 현재 형성된 대규모의 버들류 군락은 댐수질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솎음질(self-thinning)에 의해 고사한 버들류의 유목으로 인하여 댐운영에 많은 애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들류 군락 형성과 댐운영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버들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의 남강댐 건설 직후인 1979년, 2003년 2010년의 항공사진과 수심측량에 의한 지형도를 이용하여 버들류 군락의 확장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방형구를 설치하여 버들류의 밀도 및 흉고직경을 조사하고, 성장추에 의한 수령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는 총 17종이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선버들(Salix nipponica), 버드나무(Salix nipponica), 왕버들(Salix gracilistyla), 등으로서 선버들(Salix nipponica)이 우점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의 수령을 조사한 결과 수령은 약 9년~10년, 흉고직경 10~15cm, 수고 7~8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댐운영수위와 버들류의 수령을 분석한 결과 2002년 5월 댐수위 38.5~41.0m 일 때 연안대의 수면부근에서 1단계로 이입, 정착한 것으로 보이며, 2004년 및 2005년 5월경에 댐수위 36m일 때 2단계로 이입, 정착하여 현재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강댐 버들류 군락의 형성은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수위 부근의 습지에서 발아환경이 최적인 온도와 저토환경에서 일시에 이입,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남강댐과 같이 평야부에 위치한 댐에서 댐운영 및 댐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버들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운영 수위를 최대한 높여 현재의 버들류 군락에 의하여 발아, 성장이 불가능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댐운영 수위를 낮추어 발아해도 홍수기 동안 장기간의 침수에 의하여 고사되도록 하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Iconography and Symbols of the Gwandeokjeong Pavilion Murals in Jeju (제주 관덕정(觀德亭) 벽화의 도상과 표상)

  • Kang, Yeongju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3
    • /
    • pp.258-27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intings and symbols of the Jeju Guandeokjeong murals, Treasure No. 322. Gwandeokjeong Pavilion in Jeju is one of the oldest buildings in Jeju and was built in 1448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世宗) of the Joseon Dynasty to serve as a training ground for soldiers. Unlike Gwandeokjeong Pavilions in other regions, Jeju's Gwandeokjeong Pavilion has a long history and is of cultural value due to its beautiful architecture. In addition, it contains various murals which are a further source of attention. There are four murals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two Linte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ilding. Their contents include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志)』 and and on the back. Towards the right, is depicted, with on the back. Based on a replica of the murals from 1976, the plan, style, and age of the Gwandeokjeong Pavilion murals have been studied, together with their meanings. The contents of the mural are broadly divided into five parts, which are identified by the tacit signatures atop the screen, which provide such details as the painting titles. The paint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appear to inspire the spirit of the military's commerce in order to boost soldiers' morale, protect the country, and protect the peopl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Gwandeokjeong Pavilion. The following and figuratively depict guidelines for the behavior and mindset of officials. In particular, is a painting concerned with concepts of longevity and an auspicious (吉祥), which shows how court paintings became popular as folk paintings at that time. The paintings of tangerines and other specialties of Jeju Island, the ritual paintings of Jeokbyeokdaejeon, and the expressions of Mt. Halla (漢拏山) and Oreum (오름) indicate the existence of Jeju artists that belonged to the Jeju government office at that time. The five themes and styles of the murals also show that the murals of Gwandeokjeong Pavilion were produce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Development of Wheat-Leymus Addition Line with Salt Tolerance throgh Wide-hybridization (국내 자생 갯그령(Leymus mollis)의 환경 적응성 강화 밀 자원 소재 개발을 위한 이용 가치)

  • Seong-Wook Kang;Ji-Yoon Han;Seong-Woo C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37-37
    • /
    • 2022
  • 밀은 세계 3대 작물로 국내 1인당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밀의 유전적 배경 확대와 기후변화 신속 대응을 위한 국내 밀 유전자 풀의 확장은 밀의 질적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목표이다. 국내 자생 갯그령(Leymus mollis)은 해안가에서 번식하는 영년생 식물로 뿌리줄기를 이용한 왕성한 번식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해안가의 뜨겁고 염에 대한 적응성과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밀 유전자 풀의 확장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국내 밀 재배지 한계 극복을 위한 간척지 재배가 가능한 내염성 강화 밀 자원 개발을 위하여 모본인 보통 밀(Triticum aestivum L., Chinese Spring)과 부본인 갯그령을 원연교배하였다. 갯그령과 보통 밀의 원연 교배를 통한 종자 형성은 매우 어려우나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최종적으로 10개의 교배 종자를 얻어 F1 식물체로 생장하는 과정에서 5 식물체는 고사하였고, 나머지 5 식물체는 영년생 특성인 뿌리줄기에 의해 새로운 줄기가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갯그령의 DNA를 이용한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F1 식물체에서 갯그령의 염색체가 밀의 유전적 배경에 이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F2 식물체는 모본인 보통 밀보다 긴 수장과 간장을 나타내고 이삭 수는 많았지만, 출수기는 보통 밀보다 3주 이상 늦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염성 평가를 위하여 F2 종자를 2% 소금물에서 발아시켜 생육이 좋은 식물체를 선발하여 50 cm 투명 아크릴 원통에 이식하고 2% 소금물을 지속적으로 관개하였다. 내염성 강화 F2 식물체는 염에 감수성을 보인 식물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이삭과 종자 형성을 보였으며, 감수성 식물체는 종자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내염성 강화 F2 식물체는 감수성 식물체에 비하여 좋은 뿌리의 신장과 천근성을 보였다. 이러한 갯그령의 식물학적 특성이 이입된 계통은 기후변화 대응, 환경 적응성 강화, 및 근권 강화에 좋은 작물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First-Person Shooter Game Development using Unreal Engine (언리얼 엔진을 통한 FPS 게임 개발)

  • Kim, Soo-Kyun;Kang, Heau-Jo;Sung, Kyu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4 no.5
    • /
    • pp.718-724
    • /
    • 2010
  • The Unreal Engine is a free game engine developed by Epic Gam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rst Person Shooter (FPS) game development using free Unreal Development Kit. The merit of Unreal engine provide a hight degree of portability, and it is a tool used by many game developers today, supporting a multitude of platforms on personal computers and many video game consoles with free toolkit. But it is required high-performance PC to develop game. This toolkit doe s not high-quality computer programming skill, just possible to develop FPS game eas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