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산 계수

Search Result 1,28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easurement of thermal diffusivity of ion-nitrded steel by flash method (섬광 열확산법에 의한 이온질화강의 열확산 계수 측정)

  • Lee, Sang-Kil;Lee, Hung-J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3 no.4
    • /
    • pp.143-150
    • /
    • 1979
  • 이온 질회강 확산층의 열확산 계수를 섬열광 확산 계수측정법에 의하여 실험적으로 구하였다. 섬광 열확산 계수 측정법은 둥근 원판모양의 얇은 시편전면에 순간적으로 걍렬한 열을 가하여 확산시킨후 후면에서 증가되는 온도를 기록하여 컴퓨터에 의한 데이타 소거법을 이용해서 열확산 계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섬광 열 확산 계수 측정법에 의하여 지극히 얇은 재료의 열확산 계수를 측정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구조용 재료가 상온에서 갖는 열 확산계수를 이온질화 처리를 하지 않았을 경우와 이온질화 처리를 하였을 경우의 두가지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로부터 이온질화처리를 실시하면 약 10% 까지 열확산 계수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A New Error Diffusion Coefficients Reducing Correlation Pattern (상관패턴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오차확산계수)

  • 박장식;손경식;김재호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 no.2
    • /
    • pp.137-144
    • /
    • 1999
  • Error diffusion is excellent for reproducing grey-scale images to binary images. The output of conventional error diffusion produces correlated pattern. In this paper, a new error diffusion coefficient set is proposed to reduce correlated pattern and to enhance edge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the error diffusion coefficients. The error diffusion coefficients of the previous line are designed to enhance the edge. The error diffusion coefficient of the previous pixel of the current pixel is selected to symmeterize the coefficient set. Because the proposed coefficient-set consists of 1 and 2, a few computations are required. As results of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binary image using the proposed coefficients have better quality than conventional ones.

  • PDF

분자동역학 모의실험을 이용한 Lennard-Johns 입자계의 확산계수 계산

  • Jeong, Gu-Hwa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171-176
    • /
    • 2015
  • 일반적으로 어떠한 계의 크기가 커지면 확산계수 (Diffusion coefficient, D) 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의 개수와 계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정방계와 직방계에서의 확산계수를 계산하였다. 확산계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Einstein-Smoluchowski 관계식을 사용하였다. 정방계에서 x, y, z축의 확산계수를 계산해본 결과, 계의 크기와 원자의 개수가 증가할 때 각 축의 확산계수도 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직방계에서 x, y축의 셀 길이를 고정시키고 z축의 셀 길이를 늘여가며 확산계수를 계산해본 결과, x, y축의 확산계수는 정방계와 비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z축의 확산계수는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콘크리트를 통한 핵종의 확산계수

  • 금동권;조원진;한필수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9 no.6
    • /
    • pp.17-28
    • /
    • 1997
  • 콘크리트를 통한 핵종의 확산계수는 처분장으로 부터의 핵종 유출을 평가하는데 중요한입력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에서의 핵종확산 연구 현황 및 핵종화산에 미치는 주요 인자들의 영향 등이 조사되었고, 주요 핵종의 확산계수가 직접 측정되었다. 내부확산법으로 측정된 확산계수값은 시료의 물과 시멘트 비 (W/C)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거의 같은 승수내에 있었으며, 공극확산이 핵종이동을 지배하였다. Cs 과 I 의 겉보기 확산계수는 순수 시멘트에서 각각 $1.0{\times}10^{-12}~1.0{\times}10^{-11}m^2/s$$3.0{\times}10^{-14}~1.0{\times}10^{-13}m^2/s$, 몰타르에서는 각각 $3.0{\times}10^{-12}~9.0{\times}10^{-11}m^2/s$$3.0{\times}10^{-11}m^2/s$의 범위에 있었다. 이와 병행하여 시멘트, 몰타르 및 콘크리트에서의 주요 방사성핵종의 확산계수 값을 문헌으로부터 수집, 정리하였다. 대상 핵종은 Cs, I, Sr, C, Co, H, Am, PU, Ni, Mn, Fe, Nb 및 Tc로서 수집된 핵종확산계수 값은 시료의 조건 (공극률 밀도, W/C 비, 온도 등) 에 따라 큰 편차를 보여주고 있다.

  • PDF

Measurements of Scattering Coefficients Using the ISO Method in a Model Reverberation Chamber (ISO 방법론을 이용한 축소 잔향실에서의 확산계수 측정)

  • 전진용;이성찬;류종관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3
    • /
    • pp.162-168
    • /
    • 2003
  • The degree of diffusion, characterized by the "scattering coefficient" of surface materials,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acoustical qualities of concert halls. Based on the suggested ISO method, which measures the random-incidence scattering coefficient of surfaces in a diffuse field, the scattering coefficients of different sizes and densities of wooden hemispheres and cubes were measured in model-scale reverberation rooms. As a result, wooden hemispheres with a structural depth of more than 15㎝ have the highest average (500㎐∼4㎑) scattering coeffici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scattering coefficient becomes higher when the diffuser density reaches about 50% for hemispheres and 30% for cubes.

콘크리트에서의 방사성핵종 확산계수

  • 금동권;조원진;한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839-844
    • /
    • 1995
  • 처분장 구조물의 주요방벽 재료중의 하나인 콘크리트에서의 핵종확산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내부확산법을 적용하였다. 핵종은 양이온과 음이온을 대표하는 Cs 과 I 이었으며, 고체 시료는 양생된 순수시멘트 또는 시멘트와 모레를 섞은 몰타르로 물과 시멘트의 비 (W/C) 를 변화시켰다. 용액은 표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합성지하수이었다. Curve fitting 법을 이용한 모델과 실험의 비교로부터 핵종의 확산계수를 계산하였다. 순수시멘트의 경우 Cs 의 겉보기 확산계수는 1.7 $\times$ $10^{-12}$~1.4 $\times$ $10^{-11}$ m$^2$/sec 의 범위로 W/C 가 증가할수록 컸으며 I 는 2.9 $\times$ $10^{-14}$ ~ 1.0 $\times$ $10^{-l3}$ $m^2$/sec의 범위로 또한 W/C 에 따라 증가하였다. 몰타르의 경우 W/C 가 클수록 Cs 의 확산계수는 증가하였으나 I 에 대해서는 큰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핵종의 유효확산계수값이 $10^{-13}$ ~ $10^{-10}$ m$^2$/sec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보아 공극확산이 핵종확산의 지배 메커니즘임이 예상되었다.

  • PDF

Analysis of pollutant mixing on the water surface in rivers with GPS floaters (GPS부자를 이용한 하천 표면에서의 오염물질 혼합 거동 해석)

  • Seo, Il Won;Park, Inhwan;Kim, Young Do;Han, Eun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3-103
    • /
    • 2015
  • 유류유출사고와 같이 하천 수표면의 흐름에 따라 이동 확산하는 부유성 오염물질의 혼합해석을 위해 많은 연구자들은 입자추적모형을 사용한 혼합모의를 수행해왔다. 입자추적모형에서 오염물질의 혼합은 평균 유속 분포에 의한 결정론적인 이동과 난류유동에 의한 무작위적인 혼합으로 나타내며, 난류혼합에 의한 수평확산은 난류확산계수로 조절한다. 따라서 표면흐름에 의한 난류확산계수의 산정을 위해 많은 연구자들은 부유성 입자를 이용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수평확산계수를 산정했고(Engelund, 1969; Cederwall, 1971), 최근에는 GPS의 발전으로 인해 해양영역에서 GPS를 장착한 표면부자를 활용한 확산실험을 통해 수평확산계수를 산정한 바 있다(Kjellson and $D{\ddot{o}}{\ddot{o}}s$, 2012; Alpers 등, 2013). 하천수질오염사고의 약 43.5%가 유류유출에 의한 것이며(환경부, 2013), 이에 따라 표면흐름에 의한 오염물질 혼합해석이 필요하나, 하천에서 수평확산계수 산정을 위한 현장실험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에서 GPS부자를 이용한 입자추적실험을 수행하여 표면흐름에 의한 확산계수를 산정했다. GPS부자를 이용한 입자추적실험은 낙동강의 강정고령보 하류와 구미보 하류의 각각 세 지점에서 수행되었다. GPS부자는 바람에 의한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름 10 cm의 구형으로 제작하였으며 시범테스트를 통해 입자의 주 궤적 변화가 크지 않은 지점에 GPS부자를 투입했다. GPS부자는 오염물질의 사고유출을 가정하여 한 지점에 투입했고 GPS부자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25 ~ 35개의 GPS부자를 이용했다. 표면흐름에 의해 이동하는 부자의 위치는 GPS에 시계열로 저장됐고 ADCP를 이용하여 실험당시의 수리량을 측정했다. 입자위치의 시계열자료로부터 GPS부자의 확산범위의 시간변화를 계산했고 단순 모멘트법을 이용하여 종, 횡 방향 확산계수를 계산했다. 그 결과, 종 방향 확산계수는 $0.003{\sim}0.041m^2/s$로 계산되었고 횡 방향 확산 계수는 $0.001{\sim}0.012m^2/s$로 계산되어, 흐름방향의 유속성분에 의한 확산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류 합류부에서는 이송이 지배적인 혼합이 발생되었고(Pe>1) Pe의 증가에 따라 수평확산계수가 감소되었다. 25~35개 GPS부자 궤적의 앙상블 평균으로부터 계산한 Integral time scale은 모멘트법으로부터 계산한 종, 횡 방향 확산계수와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나, Taylor(1921)의 이론과 일치했다. 또한 실험수로에서 수행된 기존연구결과와 비교한 결과, 하폭 대 수심비, 마찰항의 증가에 따라 수평확산계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Model Considering the Initiation Time of Exposure to Chloride Environment (염소이온 노출개시시기를 고려한 기존 확산계수 모델 수정제안)

  • Kim, Ki-Hyun;Cha, Soo-Wo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1 no.3
    • /
    • pp.377-386
    • /
    • 2009
  • A reference diffusion coefficient model from ACI life-365 is drawn from test results by NT build 443. This test method gives a time-averaged diffusion coefficient during immersion period, thus the ACI model uses the time-averaged diffusion coefficient as a reference value. ACI model needs to be revised,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average value and reference value at specified time. In this study, firstly the analytic solutions of diffusion equation are derived considering the initiation time and period of exposure to chloride, and secondly the time-averaged diffusion coefficient from NT build 443 is converted into the diffusion coefficient at reference time. From this study, the reference diffusion coefficient of ACI model should be modified to be about 10% larger values than those of present ACI model. For convenient design of service life, prev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from NT build 443 and that from NT build 492 is also modified. To compare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of ACI and JCI models, the referenc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JCI model is drawn in the similar form of ACI model's, and service life prediction by ACI life-365 method is confirmed to give a conservative result.

Estimation of gas diffusion coefficients through membrane considered by standing time (유지시간을 고려한 막내 기체 확산계수의 추정)

  • 민벙희;이우태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4a
    • /
    • pp.45-46
    • /
    • 1994
  • 기체분리막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Manometric method의 몇가지 투과측정장치 중, High-Vacuum technique는 기체 투과계수, 확산계수 및 용해도계수의 정확한 값을 얻는데 가장 유용한 장치이다. 그러나 이 장치는 비용이 비싸고, 조작법이 복잡하며, 투과실험시 계 내의 투과측의 농도를 분석할 수 없고, 측정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고 일반적인 측정장치는 막내 기체 확산계수의 측정에는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Low-Vacuum Technique 측정장치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Volumetric method는 조작법이 간단하며, 계 내의 농도분석이 가능하고, 측정시간이 빠르며,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Volumetric 투과특정장치로 투과계수는 얻었지만, 확산계수에 대해서는 극소수의 연구자들만이 언급하고 있다. 이는 실험하는 방법의 어려움과 기체의 막내 농도분포에 대해 수학적으로 적합한 모델의 해를 얻지 못한데 있다. 최근데 Lee 등은 Volumetric method을 이용한 확산계수의 평가에 대해 연구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실험은 Volumetric method를 이용하여 막내 기체 확산계수의 측정을 위해 온도, 압력및 분자직경에 따라 Standing time의 예측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from NT BUILD 443 (NT BUILD 443에 의한 염소이온 확산계수 고찰)

  • Kim, Ki-Hyun;Cha, Soo-Won;Jang, Sung-Yup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5a
    • /
    • pp.295-296
    • /
    • 2009
  • It is often the case with the durability design to use diffusion coefficient obtained from experimental test. From the analytic solution considering the starting time of exposure, it is confirmed that the diffusion coefficient from NT BUILD 443 underestimates real reference val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