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률선택모형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pplication of Random Regret Minimization Model in the Context of Intercity Travel Mode Choice (지역간 수단선택에 있어서 확률적 후회 최소화 모형의 적용 연구)

  • Jin, Woo-Jeong;Lee, Ja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9 no.1
    • /
    • pp.87-96
    • /
    • 2016
  • The multinomial logit model, based on random utility maximization (RUM) theory, has been the predominant model used in travel mode choice contexts. In this paper, the travel mode choice model based on random regret minimization (RRM) theory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he RUM model,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RRM model is examined. The presented model is applied to the case of inter-city travel mode choice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UM model and RRM model have parameter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intuition. The goodness of fit statistics in the RRM model improve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RUM model. Consequently,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RRM model in the context of travel mode choice.

Stochastic traffic assignment Models for Dynamic Route Guidance (동적 길잡이 장치를 위한 확률적 통행 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승재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5.12a
    • /
    • pp.111-124
    • /
    • 1995
  • 첨단 교통 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중요한 요소인 첨단 교통 관리 체계(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s)의 성공 여부는 교통정보를 어떻게 제공하고 통제하는데 의존하다. 즉, 정보 제공 방식과 이데 대한 운전자의 반응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예측하여야 ITS를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동적 차량 길잡이 장치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확률적 통행배정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통행배정모형은 운전자의 동적행태조정(Dynamic Behavioural Adjustment)을 명백하게 확솔 과정(Stochastic Process)으로 표현하여 기존의 모형에 비해 통해자들의 행태를 더욱 실제적으로 반영한다. 특히, 각 통행자들에게 K개의 최소경로시간을 제공해줌으로 인하여 통행자의 노선선택에 대한 선택폭을 증가시켜준다. 통행경로의 선택폭의 증가는 쟁점으로 대두되는 문제(교통항제소에서는 차량 길잡이 보유 운전자에게 체계최적(System Optimum)와 이용자최적(User Equilibrium)중 어떠한 원칙하에 교통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해결 방안이다. 왜냐하면 만약 교통급제소에서 운전자에게 통행정보를 체계 최상을 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면, 길잡이 장착 운전자는 더 이상 제공된 정보를 따르지 않고 자기 스스로의 경에 의해 이용자 최상을 달성하고자 할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복잡한 통행자의 경로선택행위를 반영하는 확률적 평형 통행 배정 모형을 여러가지 통계기법을 도입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aggregate Logit Models from Choice-Based Freight Data (선택기반 화물데이타를 이용한 개별로짓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Nam K.C.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7 no.1
    • /
    • pp.25-42
    • /
    • 1993
  • 지난 20여년간 화물수송 분야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수송 공급 측면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기술적으로 앞선 수송수단들이 등장했으며, 수송 수요 측면에서는 로지스틱스 개념의 도입으로 화주들의 보다 높은 수송 서비스가 요구 되었다. 수송수단의 수송 분담에 있어서도 특히 철도에서 공로로의 두드러진 화물이동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수송 현안 해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화물수송수요 예측기법의 이론적, 개념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그 중 두드러진 발달은 화주의 행태를 반영하는 행태모형의 개발과 새로운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형태이다. 전통적으로 화물수송 및 교통 연구에 널리 사용된 행태모형은 확률표본을 사용하여 왔으나, 80년대 부터 비확률 표본 사용에 관심이 높아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들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제한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자료자체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자료수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화물수송 분야에서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는 현재까지 두 편이 발표 되어 있다. 따라서 볼 연구는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개별선택모형의 잠재력을 검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네 종류의 제조품 그룹을 대상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수집하여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추정결과를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 하였다. 추정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직관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그 결과는 문헌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수송계획에 있어서 자료수집비용 절감의 필요성을 생각할 때 이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PDF

공항 접근 교통수단선택 효용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및 민감도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지홍;전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61-261
    • /
    • 1998
  • 교통계획의 목적은 교통체계를 분석하여 교통과 활동간의 상호작용을 효율화시켜 도시 및 지역사회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으며, 합리적인 교통계획을 수립하여 한정된 투자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해서는 교통수요에 대한 합리적 접근이 필요하다. 교통수요예측의 접근방법은 미시적인 개별적 접근방법과 거시적인 집단적 접근방법으로 구분되며, 다시 모형화 기법이 결정적인가 확률적인가에 따라 개별결정적, 개별활률적, 그리고 집단결정적, 집단확률적 모형의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일반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2가지 형태는 집단결정적, 개발확률적 모형이다. 집단결정적모형은 전통적 교통수요예측모형에 해당되며, 개별확률적모형은 1970년대 Mc Fadden을 시작으로 Ben-Akiva, Manheim을 중심으로 한 소비자 행동선택 이론에 근거한 개별행태모형이 이에 해당된다. 개별행태모형은 개개인의 통행행태를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개개인은 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하고, 비용과 관련한 통행행태는 거시적 수준에서의 주어진 제약 조건과 관계가 있으며, 의사결정은 확률분포에 의해서 결정되는 효용원칙(Efficiency Principle)에 입각하여 해석한다. 도시내와 도시간, 취업자와 비취업자, 출퇴근 시, 목적별 등의 여러 가지 통행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들을 사용하여 교통수단 선택모형의 파라메카 값을 추정하고 통행패턴을 분석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행태모형인 로짓모형 중에서 집단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여러 통행 중 공항시설의 접근에 필요한 교통수단 효용함수의 파라메타 값 추정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행시간, 통행비용이라는 변수를 공통으로 두고, 대중교통의 경우에만 해당하는 환승이라는 특정대안변수(Specific alternative variable)를 첨가하여 그것이 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대중교통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지하철과 버스를 하나의 대안으로 묶어서 효용함수를 구한 다음 다시 승용차, 택시, 대중교통을 독립된 대안으로 두고 모형을 정립하는 NESTED LOGIT모형으로 파라메타를 추정하여 대중교통의 효용에 관해 분석·비교하였다. 본 논문에 이용된 자료는 공항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면접조사한 자료이며 대상 교통수단은 승용차, 택시, 지하철, 버스로 설정하였다.

  • PDF

The wage determinants applying sample selection bias (표본선택 편의를 반영한 임금결정요인 분석)

  • Park, Sungik;Cho, J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5
    • /
    • pp.1317-132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factors affecting the wag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e particularly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ntrolling sample selection bias by employing the Tobit model and Heckman sample selection model.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Tobit model and Heckman sample selection model controlling sample selection bia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Hence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seem to be statistically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model. Second, gend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and the wage. Third, the employment probability and wage of Maester high school graduates were shown to be high compared to all other graduates. Fourth, the higher parent's income, the higher are both the employment probability and the wage. Finally, parents education level, high school grade, satisfaction, and a number of licens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and wages.

Bayesian Variable Selection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Inequality Constraints on the Coefficients (제한조건이 있는 선형회귀 모형에서의 베이지안 변수선택)

  • 오만숙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5 no.1
    • /
    • pp.73-84
    • /
    • 2002
  •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inequality constraints on the coefficients are frequently used in economic models due to sign or order constraints on the coeffici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Bayesian approach to selecting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inequality constraints on the coefficients. Bayesian variable selection requires computation of posterior probability of each candidate model. We propose a method which computes all the necessary posterior model probabilities simultaneously. In specific, we obtain posterior samples form the most general model via Gibbs sampling algorithm (Gelfand and Smith, 1990) and compute the posterior probabilities by using the samples. A real example is given to illustrate the method.

깁스표본기법을 이용한 설명변수 선택문제에서 사전분포의 설정-선형회귀모형을 중심으로-

  • 박종선;남궁평;한숙영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2
    • /
    • pp.333-343
    • /
    • 1997
  • 선형회귀분석에서 변수의 선택문제는 최적의 모형을 찾는데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George와 McCulloch(1993)는 계층적 베이즈 모형과 깁스표본법을 이용하여 선형회귀모형에서 변수를 선택하는 문제를 고려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George와 McCulloch의 모형을 바탕으로 각각의 설명변수가 모형에 포함될 사전확률을 객관적인 기준에 의하여 결정하는 문제를 고려하여 보았다.

  • PDF

Prior distributions using the entropy principles (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한 사전 확률 분포함수의 추정)

  • Lee, Jung-Jin;Shin, Wan-Se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 no.2
    • /
    • pp.91-105
    • /
    • 1990
  • Several practical prior distributions are derived using the maximum entropy principle. Also, an interactive method for estimating a prior distribution which uses the minimum cross-entropy principle is proposed when there are many prior informations. The consistency of the prior distributions obtained by the entropy principles is discussed.

  • PDF

Study on Multi-modal Transit Network Assignment with Dial Algorithm (다이알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수단 대중교통 노선배정기법에 관한 연구)

  • 이재섭;김익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2
    • /
    • pp.53-60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대중교통 노선배정 시에 여러 수단간의 환승을 고려함으로써 다수단 대중교통망 내에서 수단선택과 노선선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확률적인 통행배분(traffic assignment) 모형의 하나인 다이알 알고리즘을 응용할 것을 제시하고 그 알고리즘의 속성을 정확하게 규명하는데 있다 승용차의 확률적 통행배분모형으로 잘 알려져 있는 Dial 알고리즘은 로짓모형에 기초한 것이므로 다수단간의 대중교통 수단선택과 노선선택과 같은 선택 행태를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모형적 특성을 기본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중교통 노선선택에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된 다이알 알고리즘은 기존의 결정적 대중교 통 노선배정 모형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즉 결정적 대중교통 노선배정모형은 기종점간 최단경로에 교통량을 전랑배분(All-or-Nothing)하여 통행자들의 행태적 속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단 대중교통망 내에서 환승을 포함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선택을 효용극대화 이론에 기초하지 않고 최소비용노선에 전량배분하는 모형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결정적 대중교통 노선배정모형의 단점을 수정된 다이알 알고리즘은 개선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의실험으로 Sioux Falls 형태의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의 탄력성을 갖고 있는 수정된 대중교통 다이알 알고리즘이 현실적 대중교통 통행패턴을 기존 모형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다수단 대중교통망이 형성된 대도시의 대중교통 정책분석에 적합한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 PDF

A Critical Evaluation of Dichotomous Choice Responses in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법 응답자료의 실증적 쟁점분석)

  • Eom, Young Soo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0 no.1
    • /
    • pp.119-153
    • /
    • 2011
  • This study reviews various aspects of model formulating processes of dichotomous choice responses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which has been increasingly used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test of Korea public investment projects. The theoretical review emphasizes the consistency between WTP estimation process and WTP measurement process. The empirical analysis suggests that two common parametric models for dichotmous choice responses (RUM and RWTP) and two commonly used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random components (probit and logit) resulted in all most the same empirical WTP distributions, as long as the WTP functions are specified to be a linear function of the bid amounts. However, the efficiency gain of DB response compared to SB response were supported on the ground that the two CV responses are derived from the same WTP distribution. Moreover for the exponential WTP function which guarantees the non-negative WTP measures, sample mean WTP were quite different from median WTP if the scale parameter of WTP function turned out to be lar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