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대된 역할

Search Result 1,65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Wideband Telephones (확대역 전화기의 전송특성)

  • Kim, J.H.;Kang,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9 no.3
    • /
    • pp.161-168
    • /
    • 1994
  • 본 고에서는 확대역 전화기의 개발에 있어서 전송특성 설계의 지침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재 전화대역으로 사용중인 300-3,400Hz의 협대역에서 150-7,000Hz의 확대역으로 확장되는 핸드셋 전화기의 통화품질에 대한 주관평가 실험결과들과 ITU-T의 확대역 전화기 전송특성에 관한 권고를 분석하였다.

On the Transmission Quality of Wide-Band Telephony (전화 대역 확장에 따른 통화품질의 변화)

  • 김정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55-158
    • /
    • 1995
  • 150~7,000Hzd의 확대역 전화를 위한 전화 전송특성 설계지침으로 활용하기 위해, 확대역과 300~3400Hz 의 협대역 전화에 대한 통화품질 평가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토화품질 평가는, 조정법에 의한 선호 라우드니스 레벨고 ㅏ동가 라우드니스 레벨 조정실험, 그리고 단음절 명료도평가로 구성되었다. 선호 라우드니스 레벨 조정실험의 결과, 협대역과 확대역 음성에 대한 피험자의 선호레벨이 각각 70.7dB 및 68.6dB로 약 2dB의 차이를, 피험자간 분산은 2.12와 6.11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음성대역의 확장에 따라 사용자들의분산이 크기 때문에 확대역 전화에서 수화음량 조절기능이 필요함을 증명한 결과이다. 그리고, 협/확대역 조건에서의 100개 단음절에 대한 명료도 실험 결과에서, 전체 명료도 점수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단음절중 3,400Hz이상에서 많은 에너지를 갖는, 파열음 'ㅌ', 파찰음 'ㅈ', 'ㅉ', 'ㅊ', 그리고 마찰음 'ㅅ', 'ㅆ' 으로 시작하는 20개 단음절에 대한 부분명료도에 있어서 협대역과 확대역 조건간에 20%의 명료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 라우드니스 레벨 조정실험의 결과, 협대역과 확대역 사이의 평균 라우드니스 레벨 차이가 약 3.4dB (A)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국내 확대역 전화의 수화음량적격 설정에 지침으로 활용할 것이다.

  • PDF

공공 주택의 확대, 시장 안정에 효과 의문

  • Kim, Jeong-Ho
    • 주택과사람들
    • /
    • s.202
    • /
    • pp.26-29
    • /
    • 2007
  • 정부가 지난 31일, '주택 시장 안정과 주거 복지 향상을 위한 공공 부문 역할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공공 부문에서의 역할 확대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본다.

  • PDF

The Comparisons of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Roles of Grandparents in Nuclear and Extended families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과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비교)

  • Hyejung Jin Hwa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27-3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핵가족과 확대가족의 구조가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는 417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제행동을 Children's Behaviour Questionnaire(CBQ:Rotter, 1967)에 의해서 교사가 평가하였으며, 아동은 그들 조부모의 역할을 Grandmother's Role Questionnaire(GRQ:Suh, 1991)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확대가족의 아동은 핵가족의 아동보다 문제행동을 덜 보였으며, 확대가족의 조부모가 손자녀를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돌보아주며 생활에 간섭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에 핵가족의 조부모는 손자녀를 훈계하는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확대가족에서의 조부모는 손자녀의 정서적인 안정을 뒷받침하고 또한 부모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가족의 화목한 분위기를 증진시키는 등의 역할을 통해서 손자녀에게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조부모의 역할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근간이 되는 가족의 역동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