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학성분 분석

검색결과 1,812건 처리시간 0.034초

대구지역의 빗물 중 화학적 성분의 계절별 및 지역별 농도분포 (Seasonal and Regional Concentr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in Rainwater in Daegu Area)

  • 송희봉;이은경;정동숙;김인옥;이명숙;권병윤;이경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2-526
    • /
    • 2006
  • 대구지역에 내린 빗물의 수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채취한 빗물시료 34개에 대하여 pH, 전기전도도 TOC, TIC TC와 같은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화학성분의 농도는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업지역과 상업지역은 주거지역과 대조지역보다 화학성분의 농도와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성우의 발생빈도(27.2%)가 비산성우(72.8%)에 비해 훨씬 낮았고, 또한 TC의 구성비율은 유기성인 TOC(72.5%)가 무기성인 TIC(27.5%)보다 높게 나타났다. 강수가 잦을수록 화학성분의 농도는 어느 정도 낮아지고, 반대로 무강수일이 길수록 화학성분의 농도가 높아졌다. 2003년에 비해 2005년의 대기질이 다소 개선된 원인은 환경행정당국의 대기오염 저감노력과 함께 지역 경기침체로 인한 다양한 영향을 받는데 있었다.

우리나라 사과, 배, 포도 및 복숭아 주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Orchard Soils in Main Apple, Pear, Graph and Peach Producing Area)

  • 이주영;정재훈;김석철;황선웅;이춘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9-84
    • /
    • 2000
  • 주요 과수재배지 토양에 대한 화학적 독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과 239, 배 369, 포도 168, 복숭아 101, 합계 877포장에서 주간 중간지점의 토양을 채취분석하여 토양화학적 특성에 따라 토양비옥도를 구분하였다. 주요 과수 주산단지 토양화학성분의 적정수준 비율은 3.0~65.2%로서 대부분의 과수원이 부적지였으며 토양층위별 화학성분은 하층으로 내려 갈수록 일정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시비관리가 동일한 지역에서는 표층토 20cm 깊이의 토양 화학성분 함량만 알면 층토의 성분함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또한 과종별 표토의 토양화학성분함량의 과부족율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축산분뇨 퇴비화에 이용되는 수분조절제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ulking Agents used in Composting of Animal Manure)

  • 왕은철;이민호;박헌수;김원중;김기연;김현태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26-126
    • /
    • 2017
  • 본 연구는 가축분뇨를 퇴비화 하는 과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분조절제인 톱밥, 왕겨 등의 가격적 부담으로 인해 좀 더 가격이 저렴한 수분조절제들의 성분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6가지 수분조절제를 토대로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계 장비를 이용하여 화학적 분석,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물리적 분석을 하였다. 화학적 분석을 통해 수분조절제 내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을 분석하였으며 물리적 분석을 통해 중량, 함수율, 흡수율, 인장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화학적으로 분석을 했을 시 K, Cd, Pb, Ni, Zn, Cu, Cr, As 등을 측정을 하였으며 앞서 분석했던 각각의 성분들은 농촌진흥청에 명시되어 있는 유해성분의 최대량보다 대부분 적게 측정이 되었다. 물리적으로 분석을 했을 시, 각 수분조절제의 함수율은 최소 10.29%에서 최대 16.07%까지 측정이 되었다. 전단강도는 기존 상태가 가장 높게 측정이 되었으며 다음으로 건조상태 흡수상태로 측정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흡수율이 가장 높은 우드 브리켓-1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C-MS에 의한 오갈피나무 분류군과 청송 변종의 주요 성분 비교 (Comarison of Major Constituents in Acanthopanax Taxa and Variety Cheongsong in Korea by GC-MS)

  • 조경순;구평태;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19-624
    • /
    • 2007
  • 오갈피나무속 식물종은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다년생 목본류이다. 이 속의 식물 종은 한국에서 약 6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종은 약용으로 사용되어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청송변종은 청송에서 100년 이상 재배되고 있는데 그 기원이 불분명하여 주요 생화학적 성분을 GC-MS로 분석하여 다른 종과 비교하였다. 분석한 화학성분 중 19개가 청송변종에 특이하였는데 $\beta$-caryophyllene, hexadecanoic acid, 그리고 ethyl stearate 등이다. 청송변종은 오갈피나무와 비록 일부 성분에 있어 차이가 나지만 전체적인 분류학적 위상에서 다른 종에 비해 가장 유사하여 오갈피나무에서 분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오갈피나무속 6종에 대한 성분 차이가 GC-MS로 잘 구분되어 화학성분에 의해 종간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복합분광분석장치를 사용한 반사분광분석과 흡수분광분석의 비교 (Comparison of the Reflectance and the Absoription Spectrometries Using the Combined Spectrometer)

  • 황훈;정세희;이경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5-50
    • /
    • 2001
  • 흡수분광분석장치와 반사분광분석장치가 결합된 형태의 복합분광분석장치를 제작하여 흡수분광분석과 반사분광분석의 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Cu^{2+}$이온표준용액과 $Co^{2+}$이온표준용액들을 사용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분석대상성분의 농도가 너무 묽은 경우나 분석대상성분의 몰흡광계수가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와 같이 기존의 흡수분광분석으로는 정량분석이 힘든 시료용액에 대한 분광분석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식초의 종류별 화학성분의 특징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inegars)

  • 윤희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40-1446
    • /
    • 1999
  • 국내외에서 구입한 42개의 식초 시료에 대해 비휘발성 유기산, 당, 아미노산, 휘발성 성분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화학 성분에 의한 양조, 사과, 현미식초의 차별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으로는 malic, succinic 및 lactic acid, 당 성분으로는 fructose와 glucose, 아미노산으로는 lysine, serine, leucine, valine 및 alanine, 휘발성 성분으로는 1-hexanol, acetaldehyde, 3-methyl-1-butanol, 2-methylpropanoic acid, isopropyl butanoate 및 ethanol이 식초의 종류별 차별화에 유용한 성분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열 여섯 종의 성분들 중에서도 malic acid, lysine, succinic acid, glucose, lactic acid 및 1-hexanol을 식초의 차별화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화학 성분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양조식초는 특징적인 성분이 없었으며, 사과식초는 malic acid와 1-hexanol이, 현미식초는 lysine과 lactic acid의 함량이 다른 종류의 식초에 비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 PDF

지사동 출토 제철슬래그의 금속학적 조사 연구 (The Analysis of Slag Exacavated from Jisa area)

  • 박성택;최창옥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64-76
    • /
    • 2004
  • 지사동 출토 슬래그에 대하여 화학적인 분석과 현미경 조직관찰에 의하여 금속학적인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적인 분석은 ICP, XRD, SEM-EDS로 실행하였으며 슬래그 조직은 금속현미경 및 SEM으로 관찰하였다. 화학적 분석 결과, A 및 C 지구 슬래그의 전철량(Total Fe)은 $39\~45\%$ 로 고대 제철과정에서 발생했던 철분의 평균치에 해당하였다. 또한 CaO 성분은 $3\~8\%$로 많은 양은 아니지만 조재제로 Ca성분을 함유한 재료를 소량 사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지구에서는 Ti성분이 미량 검출되었으며 C지구에선 Ti 성분과 V 성분이 다량 검출되었다. XRD 분석 결과 Fayalite, Wustite, Magnetite, Ilmenite, Pseudo - brookite, Ulvospinel, Forsterite, Fephroite, Olivine 같은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는 금속현미경 및 SEM에 의한 관찰에서도 위와 같은 조직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지구의 로에서는 주로 철광석을 이용한 제련작업을 하였고 C지구의 제철로에서는 철광석을 원료로 하는 제련작업과 사철을 원료로 하는 제련작업이 병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습식세정탑 내 악취가스 제거를 위한 복합흡수제의 효율 특성 (Efficiency Characteristics by Mixed Absorbents for the Removal of Odor Compounds in the Wet Scrubber)

  • 박영규;김정인
    • 공업화학
    • /
    • 제22권1호
    • /
    • pp.48-55
    • /
    • 2011
  • 아민계열 화학흡수제와 다른 화합물과의 혼합용액이 중화반응을 통해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사실이 알려져 왔다. 이러한 혼합용액 중 식물추출물의 식물정유 성분은 그 자체로 만으로도 악취가스 20~40% 이상 제거능을 가지며 0.2% 아민계열 흡수제와의 혼합용액은 악취가스의 98% 이상의 제거효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악취가스인 암모니아가스와 황화수소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온도와 pH 운전조건에 따라 식물정유물질과 아민계열의 화학흡수제 등을 이용하여 적정운전조건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식물정유 성분 중 모노테르펜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GC-MS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들의 반응메카니즘의 일부가 규명되었다.

침엽수 목초액의 성분분석 (Component Analysis of Softwood Vinegar)

  • 황병호;조재현;진용만
    • 임산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28-34
    • /
    • 2001
  • 목재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의 주요 3성분이 고분자로 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추출성분은 분자량이 많아도 1000 정도의 저분자이다. 따라서 목재를 가열할 때 대부분의 추출성분과 주요 3성분이 열분해를 시작하기 전에 휘발되기도 하며, 열분해를 일으켜 소실되기도 한다. 주요 3성분에서 헤미셀룰로오스가 180℃ 전후에서 최초로 열분해를 시작하고 그 다음 셀룰로오스가 240℃에서, 리그닌은 280℃에서 열분해 되기 시작한다. 목재는 열분해 되면서 연기를 발생하는데 이것을 공기 냉각기에 의하여 액화시켜 유출액을 얻을 수 있다. 이 유출액을 장시간 정치하면 두층으로 나뉘게 되는데 상층의 수용성을 목초액, 하층의 비중이 높은 유성물이 타르이다. 기계식 탄화로에서 생산된 침엽수 목초액의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목초액의 알코올과 산은 메탄올은 0.12%, 초산은 0.8%로 분석되었으며, 산도는 0.85 이었다. 목초액 특유의 냄새성분으로 다량존재하는 화합물은 furfural, 5-methyl-2-furancarboxyaldehyde, 2,3-pentanedione, 2-butanol, 2,3-dihydrofuran, 1-(2-furanyl)-ethanone, benzaldehyde, 2-furancarboxyaldehyde, 2-methoxyphenol, acetic acid 등이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