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학성분시험

Search Result 41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n the Ulsan Marine Deposited Clay (울산 퇴적 점토의 화학적, 광물학적 특성)

  • 민덕기;황광모;강문기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6
    • /
    • pp.51-58
    • /
    • 2000
  • 울산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해성 퇴적토에 대하여 깊이별로 물리, 화학 그리고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이 지역에서 채취된 시료에 대하여 깊이별로 퓨준압말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을 위하여 울산 해성 퇴적토의 생성과정을 추정하고, X-선 회절 분석, X-선 형광분석 및 에너지분산분광분석을 실시하여 깊이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였다. 울산 해성 퇴적토의 점토광물에 대한 정량분석결과, 일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녹니석, 스멕타이트 순으로 많게 나타났음, 화학성분 분석결과, SiO$_2$, $Al_2$O$_3$그리고 Fe$_2$O$_3$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유공충과 규조류가 관찰되었다. 표준압밀시험 결과, 울산지역의 해성 퇴적 점토는 깊이에 따른 변형거동이 화학적, 광물학적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깊이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아 같은 시디에 퇴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Cryptomeria japonica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정유성분의 화학적구성과 항균효과)

  • Oh, Seo-Jin;Kim, Hong-Jun;Kim, Jong-Mun;Ju, Young-Sung;Jeong, Seung-Il;Na, Seung-Young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19 no.3 s.31
    • /
    • pp.68-74
    • /
    • 2006
  • 목적 :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로부터 얻은 정유의 구성과 구강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작용을 연구하였다. 방법 : 정유의 화학적조성은 GC 와 GC-MS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정유와 그 주성분에 대한 구강박테리아 15균주의 항균효과를 시험하였다. 결과 : 정유의 95.82%에 해당하는 68복합체를 증명할 수 있었다. 정유의 주요성분은 ${\alpha}-pinene$ (6.07%), sabinene (8.86%), limonene (3.43%), ${\gamma}-cadinol$ (4.28%), ${\beta}-eudesmol$ (3.90%), and 10(15)-cadien-4-ol (7.16%)이었다. 삼나무의 주요성분은 거의 모든 박테리아에 대하여 MICs, 0.025 to 0.05 mg/ml; MBCs, 0.025 to 0.1 mg/ml에서 유의성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주요성분 또한 다양한 성장억제를 나타내었다. 결론 : 삼나무의 정유는 다종의 화학복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다종의 구강박테리아에 대해 항균작용을 갖고 있다.

  • PDF

Study on characteristic of materials and coating layer on magnesium alloys (마그네슘 합금의 소재 및 피막 특성연구)

  • Jeong, Seong-Hui;Lee, Sang-Yeol;Kim, Man;Jang, Do-Yeon;Mun, S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307-307
    • /
    • 2012
  • 마그네슘합금은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산화성과 화학반응성 때문에 표면처리를 하지 않고서는 사용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개발 중인 신 마그네슘 합금소재의 부식 및 피막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염수분무시험, 염수침지, 분극 시험 및 도장밀착성 내식성 시험을 시행하였다. 이 결과는 새로 개발되는 신 마그네슘 합금 성분 및 함량 결정의 기초 데이터가 될 것이다.

  • PDF

Wear characteristics of coated $Si_3N_4$-TiC ceramic tool (Coated $Si_3N_4$-TiC ceramic 공구의 마모 특성)

  • 김동원;권오관;이준근;천성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8.06a
    • /
    • pp.43-48
    • /
    • 1988
  • 보호피막을 입히는 방법으로는 화학증착법과 물리증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고온 분위기에서 기체 상태인 반응물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물질을 증착시키는 화학증착법은 물리증착법에 비해 점착성(adhesion)이 우수하고, 보호피막층의 성분조절이 용이하며, 반응물이 기체상태이므로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보호피막 증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Si_3N_4$-TiC ceramic 표면에 TiC, TiN 및 Ti(C, N) coating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잇는 장점들은 표면층의 경도를 증가시키며, steel과의 마찰계수의 감소 및 coating 층 자체가 고온에서 고체 윤활제로 작용하여 마찰열의 상당한 감소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coating층 자체가 비교적 안정한 화합물로 피삭재내의 성분원소들에 대한 diffusion barrier로 작용되며, 내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증착층의 미소경도, 열충격저항, steel과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절삭시험을 통하여 증착층들의 내마모성을 조사, 규명하였다.

  • PDF

LOMI 제염제의 전기화학적 제조시 전극재료의 영향

  • 박상윤;문제권;심준보;오원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980-986
    • /
    • 1995
  • LOMI(Low Oxidation State Metal Ion) 재염제의 구성성분 중 가장 중요한 성분인 $V^{2+}$-formate 를 formic acid 내에서 VO$^{2+}$ 이온을 전기화학적으로 환원시켜 제조하였다. 산성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반응은 목적반응인 바나듐이온의 환원반응과 부반응인 수소이온의 환원반응이 경쟁적으로 일어나며 이는 전극재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yclic Voltammetry(CV) 방법으로 여러 가지 전극재료의 특성을 조사하여 공업적 활용이 가능한 전극으로 수은, 납 및 스테인레스 스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전극을 이용하여 제조실증시험을 수행한 결과 소량의 고순도 제염제의 제조에는 수은전극을 대략의 공업용 제염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스태인레스 스틸 전극을 음극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Antioxidants in Sesame Seed (참깨 종실의 항산화 성분 정량분석 연구)

  • Ryu, Su-Rho;Lee, Jung-Il;Kang, Sam-Sik;Choi, Chang-Yoel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4
    • /
    • pp.377-382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on the lignan components from sesame seed. Two major lignans, sesamin and sesamolin,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means of spectral methods,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by HPLC from sesame variety Danbaeggae. Separation was achieved by isocratic elution and reversed phase chromatography Develosil ODS column. The content of the major lignan components were about 0.42% and 0.30% for sesamin and sesamolin,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Applying Pig Slurry Fermented with Probiotics on Forage Crops Productivity and Chemical Changes in Soil (미생물 발효제 처리 돈분액비 시용이 사료작물 생산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 Hwang, Kyung-Jun;Park, Hyung-Soo;Park, Nam-Gun;Ko, Moon-Suck;Kim, Moon-Chel;Song, Sang-Tea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6 no.4
    • /
    • pp.293-300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and two fermented types of pig slurry on the dry matter(DM) yield of three crops and chemical properties. The experiment design was a split plot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consist of three crops :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SS405'), sudangrass('Jumbo'), corn('DK501'). Sub plots consist of three treatments : chemical fertilizer (CF N-200, P-150, K-150 kg/ha), aerobic fermented pig slurry (APS 200kg N/ha), and aerobic fermented pig slurry treated with probiotics (APS+P 200 kg N/ha). Plant heights with three crops per sudangrass (380.3cm) was the longest (p<0.01). Dry matter yield of aerobic fermented pig slurry treated with probiotics was the highest the other treatments (p<0.01). Crude protein (CP) content were highest in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than in the other crops. Cupper content(%) were highest in aerobic fermented pig slurry treated with probiotics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The analysis of the deposit on inner steam generator by EPMA (EPMA를 이용한 증기발생기 내부 침적물 분석)

  • 유병옥;정양홍;김도식;백승제;김기하;주용선;박남홍;이종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230-231
    • /
    • 2004
  • 경수로형 원자로의 증기 발생기 내부에 방사화 된 침적물을 smear paper로 시료를 채취한여 핵종 분석 및 화학조성을 분석하였다. 상용발전소의 증기 발생기 외부에서 발견된 고 준위 방사성물질의 화학 조성 분석은 극미세 성분분석기(EPMA)를 이용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한 EPMA(Electron Probe Micro Analyzer, SX-50R, CAMECA, Paris, France)는 고 방사능을 띤 조사 핵연료 및 재료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기의 시편 stage 주위를 납과 텅스텐으로 차폐하여 시편의 방사능 세기가 $3.7{\times}10^{10}$ Bq까지 시험 가능한 기기이다.(중략)

  • PDF

The Diffusion Property of Chloride Ion into Concrete by Electrically Accelerated Method (전기적인 촉진시험에 의한 콘크리트의 염화물이온 확산특성)

  • Bae, Ju-Seong;Park, Gook-J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4 no.3
    • /
    • pp.138-143
    • /
    • 2010
  • Recently, as many big marine concrete structures increase, it is necessary that chloride ion diffusion coefficient of concrete shall be evaluated but it will take a long time to evaluate chloride ion diffusion coefficient of concrete. Accordingly, many test methods are suggested to evaluate chloride ion diffusion coefficient in a short period time by the promotion in electro chemical ways but the systematic study for thi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chloride ion penetration and diffusion features by three representative electric promotion tests targeting for three different cements whose ingredients are different and analyzes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m. As a result, diffusion features of chloride ion varied according to the cement ingredients and three ingredients cement in which blast furnace slag powder and fly ash are mixed in constant ratio, which shows the most excellent cement diffusion properties. For diffusion properties of chloride ion,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est methods are good.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Using Wrinkle-improving Functional Materials from Corn By-products (옥수수 부산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 활용 가능성 연구)

  • Hye Jin Kim;Woo Seok Choi;June Seob Lee;Ja Young Kim;Moo-Han Kim;Chang Hyeon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9 no.2
    • /
    • pp.107-116
    • /
    • 2023
  • In this stud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discarded by-products of corn as a wrinkle-improving functional material,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each part including kernel, cob, husk, and silk of 10 varieties of chodang and waxy corn was identified and the content was analyz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corn by-products as upcycling material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llagen synthesis efficacy of extracts by part, the cob in chodang and waxy corns showed significant activity at 100 ㎍/mL concentration of 176.5 and 140.0%, respectively. The LC-MS/MS qualitative analysi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18 components in the cob, of which N, N'-diferuloylputrescine (DFP) was selected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variety and part. As a result, DFP was confirmed only in the cob and kernel, and it was most frequently detected in the cob of the Goldsugar of chodang corn (39.6 ㎍/g) and Daehakchal of waxy corn (38.4 ㎍/g). The cob is a by-product left over from grain removal, and is expected to create new added value as a material that promotes collagen synthesis.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the possibility of using discarded cob as a wrinkle-improving functional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