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학누출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초

배수파일을 이용한 매립장의 침출수 배수 및 보강 (Drainage and reinforcement of landfill leachate using drain pile)

  • Shin, Joon-Soo;Park, Jun-Boum;Seo, Min-Woo;Yune, Chan-Young;Chung, Choong-Ki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7-184
    • /
    • 2003
  • 매립장 내의 설치된 중간 복토층(intermediate cover)은 매립 도중 혹은 매립완료 후 종종 침출수가 하부의 침출수 집배수관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 매립장 내에 일정 침출수위를 형성시킨다. 이렇듯 중간 복토층은 침출수의 원활한 순환을 막아 매립장 바닥에 형성되어야 하는 침출수위가 중간복토층 위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매립장의 구조적 안정성을 깨뜨리고 주변으로 침출수 누출을 유발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중간복토층 상부에 형성된 침출수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폐기물 매립시 중간복토층에 투수성이 뛰어나고 역학적 강도와 화학적 내구성을 갖는 배수파일(Drain Pile)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배수파일은 중간복토층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침출수를 매립장 바닥으로 배수시키고, 침출수 집배수정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배수파일은 매립장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폐기물의 자체 강성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매립장의 측방유동을 막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실내시험을 통해 배수파일 충진재로서 굴패각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한 결과, 산업 폐기물인 굴패각이 침출수의 pH를 중화시키고 유해물질인 NH$_{4}$$^{+}$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제현장의 침출수흐름을 모사하기 위해 범용 프로그램(SEEP/W)을 이용하여 매립지 내에서 배수 파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구미공단 불화수소 누출사고 주변 지역 근로자들의 화학물질과민증 유병률 (MCS/IEI Prevalence Rate of Workers Around an Accidental Release of Hydrogen Fluoride in Gumi Industrial Complex)

  • 한혜지;우극현;최성용;전병학;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34-541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rate of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idiopathic environmental intolerance(MCS/IEI) among workers in the Gumi industrial complex around the region of accidental release of hydrogen fluoride in 2012. Materials: We evaluated MCS/IEI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Quick Environmental Exposure and Sensitivity Inventory(QEESI). A total of 535 workers at six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 Gumi industrial complex were investiga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February to March 2015. After exclusion of incompletely answered questionnaires, 271 were analyzed. Results: The prevalence rate and proved positive rate of MCS/IEI were 5.9%(16 out of 271) and 3.7%(10 out of 271), respectively. The scores of chemical intolerance, other intolerance, symptom severity and life impact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in females than those of males. In terms of masking index scores, 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p=0.003) than female. The self-reported MCS/IEI prevalence rate, 7.7%, of workers exposed to hydrogen fluoride in 2012 was higher than no-exposure group(5.6%),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815). Conclusions: Although the prevalence rate of MCS/IEI symptoms of workers exposed to hydrogen fluoride gas in 2012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no-exposure group,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y on the exposure group of hydrogen fluoride.

프로필렌 회수공정에서 화재 및 폭발 사고의 피해영향 해석 (Consequence Analysis for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in Propylene Recovery Process)

  • 한성환;이헌창;박교식;김태옥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2-6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공정에서 잠재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사고 결과분석을 통해 안전대책 수립 등의 위험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필렌 회수공정(PRP)에서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한 누출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PHAST RISK(ver. 6.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화재 및 폭발 사고의 피해범위를 산출하고, 피해영향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6개의 PRP 공정지역 중에서 디프로파나이저 지역, 디에타나이저 지역 및 히트펌프 지역에서는 화재 및 폭발 사고의 피해범위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제트화재가 발생하는 공정지역에서는 200 m의 반경 내에서 사람이 상주할 수 있는 건물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고량과 압력이 큰 공정지역에서는 사고위험을 사전에 예방해야 하고, 사고 발생 시에는 신속한 대처방안 수립이 요구되었다.

화학물질의 누출과 피부접촉에 의한 재해자 및 사고사망자 발생현황 조사 (Investigation of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Accidental Deaths by Chemical Leakage and Skin Contact)

  • 이권섭;최현성;이하영;신경민;최흥구;이인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9
    • /
    • 2020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accidents and deaths caused by chemical leakage and skin contact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nd provide technical reference data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accidents and the rational management of accidental chemicals. Methods: Accidents and deaths caused by chemical leakage and skin contact in industry were investigated. Based on 68 accident reports related to chemical leakage and skin contact, the causes of accidental deaths were analyzed.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substances and articles that caused these accidents and death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 causes of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leakage and skin contact were identified and practical management measures for the chemicals were suggested. Results and Conclusions: In 2018, 372 people suffered from chemical leaks and skin contact, up by 123 (about 49.4%) from the previous year. The number of accident deaths was 14, an increase of five (about 55.6%) from the previous year. In the last three years (2016-2018), 91 chemical substances and article groups were involved i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leakage and skin contact. There were 16 chemical substance and article groups involved in accidental deaths. There were ten cases of accidents involving two or more casualties due to chemical leakage and skin contact, and 23 deaths occurred. Most of these accidental deaths were caused by subcontractor workers outsourcing risks. Therefore, there is an apparent need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for safety and health among subcontractors.

파이로 공정 세라믹 폐기물을 위한 처분용기의 설계, 제작 방안, 그리고 기능 평가 (Design, Manufacturing, and Performance estimation of a Disposal Canister for the Ceramic Waste from Pyroprocessing)

  • 이민수;최희주;이종열;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9-218
    • /
    • 2012
  •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국내에 축적된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건식재처리공정(pyroprocess)을 개발 중에 있다. 건식재처리 공정에서는 상당량의 고준위 염폐기물이 발생되며, 이는 곧 세라믹 결합제로 고화된다. 고화된 세라믹 폐기물은 안전한 금속 처분용기에 밀폐된 후, 인간생활환경과 격리될 예정이다. 본문에서는 고준위 세라믹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처분용기의 개발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처분용기의 설계 요건, 용기의 구성, 용기의 제작, 용기의 부식저항성, 방사선 차폐, 구조적 안전성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완성된 처분용기는 오랜 기간 동안 방사성 핵종의 누출이 없이 열적, 기계적, 화학적, 생물학적 공격에도 안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충전재 및 치근단 절제 각도와 와동 형성 기구에 따른 역충전물의 변연 누출에 관한 전기화학적 연구 (AN ELECTROCHEMICAL STUDY ON MICROLEAKAGE OF RETROGRADE FILLING USING DIFFERENT RETROGRANE FILLING MATERIALS, ROOT RESECTION ANGLE AND CAVITY PREPARATION INSTRUMENTS)

  • 김진우;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2호
    • /
    • pp.499-512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electrochemically using different retrograde filling materials, different root resection angle, and different cavity preparation instruments. 104 extracted single-rooted teeth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100 teeth were us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four was used as controls. Anatomical crowns were resected, root canals were prepared, and the apical 2 mm of roots were removed. The experimental roo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equal groups. Experimental groups : Group 1. no bevel, cavity preparation with ultrasonic instruments, amalgam filling Group 2. no bevel, cavity preparation with ultrasonic instruments, SuperEBA cement filling Group 3. no bevel, cavity preparation with ultrasonic instruments, desiccated ZOE filling Group 4. $45^{\circ}$ bevel, cavity preparation with ultrasonic instruments, amalgam filling Group 5. no bevel, cavity preparation with conventional bur, amalgam filling Microleakage was measured once a day for 30 days using electrochemical method an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roup with Super EBA cement filling showed the least marginal leakage from second to fourth day(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amalgam filling during eighth to eighteenth day(p>0.05), but after the nineteenth day here was a higher marginal leakage than the group with amalgam filling(p<0.05). 2. The group with desiccated ZOE filling demostrated that the highest marginal leakage, started on the eighth day(p<0.05). 3. The group using ultrasonic instrument showed lower marginal leakage than the group using bur until the nineteenth day(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nce with the group using bur after twentythird day(p>0.05). 4. The group without bevel showed lower marginal leakage than the group with bevel (p<0.05). 5. Whether bevel or nor had much more effect on marginal leakage than with cavity perparation instrument when the cavity was retrogrdefilled with amalgam(stepwise regression).

  • PDF

초저이온 농도범위에서 혼합층 이온교환능과 온도의 영향 - 2. 온도의 영향 - (The Mixed-Bed Ion Exchange Performance and Temperature Effects at Ultra-Low Concentrations - 2.Temperature Effects -)

  • 윤태경;노병일;이창원;문병현;이강춘;조명찬
    • 공업화학
    • /
    • 제10권2호
    • /
    • pp.206-21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NaCl수용액의 초저이온 농도범위 ($1.0{\times}10^{-4}M$ 이하)에서 양이온 교환수지 대 음이온 교환수지의 비, 수지량, 계의 온도를 함수로 한 혼합층 이온교환의 거동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실 크기의 연속흐름 칼럼을 통하여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의 교환능이 소모될 때까지의 유출농도를 처리된 유량의 함수로 측정하여 파과곡선을 구하였다. 초기누출은 수지량이 적은 경우 양이온과 음이온의 파과곡선에 나타났으나, 선택도계수가 낮은 양이온의 파과곡선에 현격하게 크게 나타났다. 선택도계수는 파과곡선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계수값이 큰 음이온의 파과곡선의 기울기가 급격하였다. 온도변화는 파과곡선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이온교환속도가 증가하였다. 이 온도효과는 수지비에 관계없이 수지총량이 증가할수록 또는 이온교환수지의 교환능이 감소하여 파과곡선이 평형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였다.

  • PDF

기상요소별 사고 시나리오에 따른 정량적 위험성평가 피해영향범위 분석 (Analysis of Impact Zone of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based on Accident Scenarios by Meteorological Factors)

  • 김현섭;전병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685-688
    • /
    • 2017
  • 장외영향평가의 정량적 위험성평가에 사용되는 ALOHA와 PHAST 프로그램으로 화학물질관리법상 사고대비물질로 지정하고 있는 염소의 누출 사고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모델링 하였다. 연평균 기온, 풍속, 습도, 대기안정도를 변화시키면서 ERPG-2 농도에 해당하는 끝점거리를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끝점거리 값을 비교하여 각각의 기상요소와 끝점거리 간의 상관관계와 ALOHA와 PHAST의 장단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LOHA는 연평균 기온과 습도와의 상관관계는 없거나 작고, 풍속과 대기안정도와의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PHAST의 경우 연평균 기온, 풍속, 습도, 대기안정도 모든 기상요소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 대기안정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열매체유의 인화성과 열안정성 (Flammability and Thermal Stabilities of Heat Transfer Oils)

  • 이근원;이정석;최이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2-87
    • /
    • 2011
  • 열매체유는 화학공장의 가열시스템, 열교환 시스템, 가스플랜트 공정, 사출성형 시스템 및 펄프제지 공정 등에 사용된다. 열매체유는 고열이나 산화분해에 아주 안정하고 저항성이 있으며, 누출이나 방출의 경우 점화원을 만나면 쉽게 발화한다. 본 논문은 열메체유의 신유와 사용유에 대해 인화성과 열적 안정성을 고찰하였다. 열매체유의 인화성은 인화점과 자연발화점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열적안정성은 열안정성시험기와 시차주사열량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열매체유의 적절한 사용과 취급과 관련된 안전대책 수립을 위해 화재 위험 특성을 제시하였다.

근본원인분석 기법을 활용한 실험실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Laboratory Accident with Root Cause Analysis)

  • 엄석화;이수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5
    • /
    • 2010
  • 국내 대학 또는 기업 부설 연구소 실험실에서 유해화학 물질 사용 증가에 따라 가스누출 등으로 인한 폭발 화재 등 각종 대형 사고가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로 관심이 집중되었고, 실험실에서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 국내 대학 또는 기업 부설 연구소에서 연구 실험하는 연구 활동종사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고, 쾌적한 실험 환경 조성을 위하여 연구실 안전환경조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국내 대학 또는 기업 부설 연구소에서는 이러한 사고 방지를 위하여 실험실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국내 실험실에서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사고에 대한 근본원인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 또는 기업 부설 연구소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건 사고에 대해 근본원인분석(Root Cause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사고 원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국내 실험실의 안전관리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