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위험

검색결과 1,685건 처리시간 0.027초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실물화재 예측 및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stimation Actual Fire Test Result and Evaluation Fire Hazard Using a Cone Calorimeter)

  • 유상훈;문성웅;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65-169
    • /
    • 2011
  • 실제 화재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실재 화재 조건을 모사 또는 구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및 환경 문제를 생각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단위 재료를 태우거나, 전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를 기초 데이터로 실제 화재 실험인 room corner test의 총열방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의 부피 및 밀도와 보정상수를 활용하여 실제 총열방출량에 근접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산출된 총열방출량을 근거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재실자의 화재 및 연기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화재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연물에 따른 화재에 의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FREM을 적용한 고층건물의 화재위험도 비교평가연구 (A Study of Comparative Evaluation for High-rise Building Fire Risk by the Use of FREM)

  • 김동일;손기상;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5-50
    • /
    • 2002
  • 본 연구는 화재위험도 분석 개념과 정의 및 접근방식을 검토하여 건물화재위험도 분석의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다음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인 FREM을 사용하여 국내외 대표적인 고층건물 100동에 대한 화재위험도를 평가한 후 위험의 유형을 도출하였고, 또한 외국에서 개발된 이 기법을 국내에서 적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밝혔다. 고층건물의 화재위험도 평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건물 내 방화구획과 자동소화설비의 신뢰도라 할 수 있다. 더불어 고층건물에서 화재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서는 이 두 설비를 유효하게 설치하고 유지관리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차후 이 두 설비 등에 대한 신뢰도 평가기준을 더욱 심도 있게 연구하여, 지수를 이용한 건물 화재위험도 평가에 적용한다면 적은 비용으로 보다 정확한 위험도 산정이 가능할 것이다.

국내 한옥마을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 -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ssessment of Fire Risk about Concentrated Area of Traditional Buildings in Korea - Focused on the Bukchon -)

  • 김봉찬;김동은;이주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58-261
    • /
    • 2011
  • 본 연구는 일본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방법 중 도시방재 실무 핸드북의 재해위험도 판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북촌한옥마을의 가회동 31번지일대 및 11번지일대를 대상으로 도시화재위험성 평가를 수행한 것으로서, 그 결과 A B구역에서는 도로폐색과 피난곤란으로 도시화재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 D구역에서는 목방건폐율 불연영역율 제외한 부분에서 낮은 위험도를 보였다.

  • PDF

위험물 저장탱크 화재시 주위인접 가연물 및 시설에 대한 영향의 실험적 연구

  • 박형주;김홍;강영구;정기창;이정윤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4-59
    • /
    • 2003
  • 위험물 저장탱크의 대형화 및 다양화에 따라 그 위험성이 증대되어 설계 단계에서부터 안전 측면을 고려한 설계를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화재에 비하여 발생 빈도는 낮으나 위험물의 특성상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화됨으로써 화재 진화의 어려움과 대규모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유발항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