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위험평가

Search Result 5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Developing Building Fire Risk Assessment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Nonlife Insurer's (손해보험회사의 건물의 화재위험도 평가 모형개발과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

  • Kim, Yong-Dal;Yoon, My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52-62
    • /
    • 2010
  • 우리나라 손해보험 업계의 경영실적을 보면 2003년부터 2007까지 5년간 연평균 1조 1,130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으나 이는 투자이익에 기인한 것이고 손해보험사업 본업인 보험영업 손익에 있어서는 연평균 5,218억원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손실이 발생한 원인은 손해율 증감에 따른 보험요율의 조정미흡, 손해율상승 및 사업비 증가 등의 요인이 있으나 근본적인 요인은 해외 출수재의 불균등과 과다한 해외출재로 인한 수지차의 역조현상에 기인하고 있다. 특히 화재위험을 담보하고 있는 보험상품인 화재보험과 재산종합보험의 출재보험료는 약3,670억원으로써 전체 해외출재보험료에서 가장 높은 30.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방재기술(Loss Control)의 활용미흡과 방재기술에 근간을 두고 있지 못한 보험인수 정책 즉 언더라이팅(Underwriting)기법의 낙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보험 상품인 화재보험에서 보험인수시 물건의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화재위험도 평가기법이 필요하고 이를 근간으로 위험을 인수하고 보유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물건의 화재보험 인수과정에서 건물에 내재된 잠재 화재위험의 고저 또는 양 불량을 판정할 수 있는 화재위험도 평가 모형을 개발한 후 이 평가 모형에서 산출된 화재위험도보유계수를 활용하여 보유금액을 결정할 수 있는 보험인수 모형을 도출 하였다.

  • PDF

KFSA- I에 의한 건물의 화재위험성 평가

  • Lee, Soo-Kyung;Ko, 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91-96
    • /
    • 1997
  • 건축물의 고층화와 그 구조의 다양화, 고밀도화에 따른 실내의 가연물 증가등으로 인한 화재의 잠재적인 위험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건물화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물의 잠재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한다는 것은 건축물을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를 미연에 예방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고,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화재 위험성을 정량화 시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쉽게 평가 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중략)

  • PDF

선박 선착장 지하공동구 화재위험성 평가

  • Min, Se-Hong;Sa, Jae-Cheon;Lee, Jae-M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44-45
    • /
    • 2013
  • 본 연구는 선착장이 있는 부두의 변전소와 지하로 연결된 지하공동구에 대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하여 위험성을 발췌하고 실측을 통해 공동구의 재원을 확보하고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화재위험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ologies of Urban Fire Risk in Korea (우리나라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구축에 관한 연구)

  • Koo, In-Hyuk;Shin, Yi-Chul;Kwon, Young-Jin;Hayashi, Yoshihiko;Ohmiya, Yoshifu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52
    • /
    • 2010
  • 최근 우리나라는 건축물화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진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화재는 화재경계지구 등 화재에 취약한 도심지에서 발생 시 대규모 시가지 화재로 확대될 위험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대응책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의 분석 및 적용성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f Estimation Actual Fire Test Result and Evaluation Fire Hazard Using a Cone Calorimeter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실물화재 예측 및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Ryu, Sang-Hoon;Moon, Sung-Woong;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5-169
    • /
    • 2011
  • 실제 화재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실재 화재 조건을 모사 또는 구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및 환경 문제를 생각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단위 재료를 태우거나, 전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를 기초 데이터로 실제 화재 실험인 room corner test의 총열방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의 부피 및 밀도와 보정상수를 활용하여 실제 총열방출량에 근접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산출된 총열방출량을 근거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재실자의 화재 및 연기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화재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연물에 따른 화재에 의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Study on Verification of Applicability for a Warehouse Construction Site using a Fire Risk Assessment Tool (화재위험도 평가 Tool에 의한 물류창고 공사장 적용성 검증에 관한 연구)

  • YongGoo Seo;SeHong M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673-688
    • /
    • 2023
  • Purpose: Fire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are infrequent, but cause great damage. Recently, with the growth of the logistics and distribution industry, the number of construction sites for new logistics warehouses is increasing, so it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was conducted to reduce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fire risk assessment tool to quantitatively approach fire prevention. Method: A comprehensive fire risk assessment tool was accumulated by classifying the work in progress, classifying combustibles and ignition sources by grade, excluding air (oxygen), which is difficult to control, and additionally substituting evacuation safety. Result: Using the developed and proposed fire risk evaluation tool, excavation work with low fire risk, facility construction with medium fire risk, and finishing work with high fire risk were sampled to derive the result (CGI).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specific preventive measures and evaluate evacuation safety by controlling physical conditions (combustibles) and energy conditions (ignition sources) according to the risk assessment by developing a tool that can evaluate the risk of 14fire occurrence at construction sites.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fire risk evaluation tool at construction sites, it will be provided as a criterion for establishing a process plan that can reduce risk and evaluating the adaptability of firefighting equipment.14

Fire Risk Assessment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Using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기상정보에 따른 화재 위험 평가)

  • Ryu, Joung Woo;Kwon, Seong-Pil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5
    • /
    • pp.88-95
    • /
    • 2015
  • We propose a weather-related service for fire risk assessment in order to increase fire safety awareness in everyday life. The proposed service offers a fire risk assessment level according to weather forecasts and a degree of fire risk according to fire factors under certain weather conditions. In order to estimate the fire risk, we produced a risk matrix through data mining with a decision tree using investigation data and weather data. Through the proposed service, residents can calculate the degree of fire risk under certain weather conditions using the fire factors around them. In addition, they can choose from various solutions to reduce fire risk.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ervices, we developed a system that offers the services. Whenever weather forecasting is carried out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system produces the fire risk assessment levels for seven major cities and nine provinces of South Korea in an online process, as well as the fire risk according to fire factors for the weather conditions in each region.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hazard through statistic examination and calorie analysi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통계적 고찰과 수목분포에 따른 열량분석을 통한 산림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김광일;김동현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4 no.3
    • /
    • pp.27-32
    • /
    • 2000
  • Th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hazard is the first priority to be considered in the prevention, extinction and control of wildland fire. For the standard to measure wildland fire hazard, the wildland fire Warning System is currently being used in Korea which computes the wildland fire occurrence hazard index through a stick weight to moisture conversion formula. It shows the risk of fuel substance being exposed to fire by meteorological factors. For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hazards by area, the major factors'hazards need to be measured and th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needs to be conducted through historical statistic examination. Therefore, the wildland (ire outbreak frequency and its seriousness of damage are analyzed through historical statistic examination to conduct the assessment of a wildland fire hazard, and then the calorific value of a forest is analyzed through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measurement which assesses the comparative calorific hazard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 PDF

A Development of Model for Fire Hazard Assessment in the Buildings (건물의 화재 위험성 평가를 위한 모델(Model) 개발)

  • 이수경;김수태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0 no.4
    • /
    • pp.29-36
    • /
    • 1996
  • The hazard assessment in which the potential hazard factors in the buildings are investigated and the scale of the hazard is analyzed should be performed first in order to prevent personal and material damages due to building fire. In this study, the building fire hazard are assessed using 822-item checklist, for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which the main factors are classified into 10 items, yielding 100 scale points with some weighting. It is shown that present model is applicable for the assessment of all general building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suitability of assessment model by actual assessment of existing building. Also, the checklist is prepared in itemized questionnaire form for easy assessment of building fire hazard. Therefore, the present model will be helpful for those working in fire prevention, who are suffering from the lack of manifest evaluation model for the fire prevention assessment so far in Korea.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Assessment Method of Urban Fire Risk in Korea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화재 위험성평가기법 구축에 관한 연구)

  • Koo, In-Hyuk;Shin, Yi-Chul;Kwon, Young-Jin;Hayashi, Yoshihiko;Ohmiya, Yoshifu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27-130
    • /
    • 2010
  • 최근 우리나라는 건축물 화재의 지속적인 증가 및 지진으로 인한 화재위험성의 증가로 대규모 도시화재의 발생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대응책이 공학적인 접근이 아닌 단순한 통계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도시화재 위험성을 평가하여 향후 우리나라 도시화재 위험성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