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위험도

Search Result 1,68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udy on the test laboratory for the Cause Investigation of Fire (화재원인 규명을 위한 재현실험에 관한 연구 (지하노래방 CRT 모니터의 화재 위험성관련 연구))

  • Kim, Soo-Young;Kim, 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20-123
    • /
    • 2011
  • 본 연구는 지하노래방 화재 원인 분석을 수행시 기존의 전기기기들 자체 화재위험성 연구보다 주위 먼지들의 화재 위험성을 중점적으로 연구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국내 화재가 많이 발생되는 곳의 먼지를 수거하여 먼지(dust layer)들의 전기기기 위에서의 발화, 절연저항, 전기적 아크에 의한 착화 가능성을 실험하여 예방대책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Fire Risk Assessment Indicators for Building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 화재위험도 평가 지표 결정)

  • Joo, Hong-Jun;Choi, Yun-Jeong;Ok, Chi-Yeol;An,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2 no.3
    • /
    • pp.281-291
    • /
    • 2022
  • This study attempts to use big data to determine the indicators necessary for a fire risk assessment of buildings. Because most of the causes affecting the fire risk of buildings are fixed as indicators considering only the building itself, previously only limited and subjective assessment has been performed. Therefore, if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indicators can be considered using big data, effective measures can be taken to reduce the fire risk of buildings. To collect the data necessary to determine indicators, a query language was first selected, and professional literature was collected in the form of unstructured data using a web crawling technique. To collect the words in the literature, pre-processing was performed such as user dictionary registration, duplicate literature, and stopwords. Then,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word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ponents, and representative keywords related to risk were selected from each component. Risk-related indicators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related words of representative keywords. By examining the indicators according to their selection criteria, 20 indicators could be determined. This research methodology indicates the applicability of big data analysis for establishing measures to reduce fire risk in buildings, and the determined risk indicator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assessment.

The Study of Estimation Actual Fire Test Result and Evaluation Fire Hazard Using a Cone Calorimeter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실물화재 예측 및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Ryu, Sang-Hoon;Moon, Sung-Woong;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5-169
    • /
    • 2011
  • 실제 화재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실재 화재 조건을 모사 또는 구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및 환경 문제를 생각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단위 재료를 태우거나, 전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를 기초 데이터로 실제 화재 실험인 room corner test의 총열방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의 부피 및 밀도와 보정상수를 활용하여 실제 총열방출량에 근접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산출된 총열방출량을 근거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재실자의 화재 및 연기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화재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연물에 따른 화재에 의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Assessment of Fire Risk about Concentrated Area of Traditional Buildings in Korea - Focused on the Bukchon - (국내 한옥마을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 -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 Kim, Bong-Chan;Kim, Dong-Eun;Lee, Ju-Hee;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58-261
    • /
    • 2011
  • 본 연구는 일본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방법 중 도시방재 실무 핸드북의 재해위험도 판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북촌한옥마을의 가회동 31번지일대 및 11번지일대를 대상으로 도시화재위험성 평가를 수행한 것으로서, 그 결과 A B구역에서는 도로폐색과 피난곤란으로 도시화재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 D구역에서는 목방건폐율 불연영역율 제외한 부분에서 낮은 위험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