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위험도

Search Result 1,679,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Study on Developing Building Fire Risk Assessment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Nonlife Insurer's (손해보험회사의 건물의 화재위험도 평가 모형개발과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

  • Kim, Yong-Dal;Yoon, My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52-62
    • /
    • 2010
  • 우리나라 손해보험 업계의 경영실적을 보면 2003년부터 2007까지 5년간 연평균 1조 1,130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으나 이는 투자이익에 기인한 것이고 손해보험사업 본업인 보험영업 손익에 있어서는 연평균 5,218억원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손실이 발생한 원인은 손해율 증감에 따른 보험요율의 조정미흡, 손해율상승 및 사업비 증가 등의 요인이 있으나 근본적인 요인은 해외 출수재의 불균등과 과다한 해외출재로 인한 수지차의 역조현상에 기인하고 있다. 특히 화재위험을 담보하고 있는 보험상품인 화재보험과 재산종합보험의 출재보험료는 약3,670억원으로써 전체 해외출재보험료에서 가장 높은 30.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방재기술(Loss Control)의 활용미흡과 방재기술에 근간을 두고 있지 못한 보험인수 정책 즉 언더라이팅(Underwriting)기법의 낙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보험 상품인 화재보험에서 보험인수시 물건의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화재위험도 평가기법이 필요하고 이를 근간으로 위험을 인수하고 보유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물건의 화재보험 인수과정에서 건물에 내재된 잠재 화재위험의 고저 또는 양 불량을 판정할 수 있는 화재위험도 평가 모형을 개발한 후 이 평가 모형에서 산출된 화재위험도보유계수를 활용하여 보유금액을 결정할 수 있는 보험인수 모형을 도출 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이동준;나성;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2-224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의 해상 운용은 인간의 개입 최소화 등 새로운 운용 방식의 적용과 첨단 디지털기술의 적용으로 기존 선박의 운용과 다른 형태의 다양한 새로운 위험요소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선박과 달리 인간의 개입이 최소화된 상태로 운용되는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감지 및 제어,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 감지 및 제어 시스템들에 대한 Faul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시나리오 표현을 위하여 기관구역 화재와 화물구역 화재로 분류하여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자율운항선박 운용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여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Performance-based Pragmatic Fire Protection Technology by the Control of Fire Triangle at Nuclear Power Plants (화재요인 제어를 통한 원전 성능기반 화재방호 실용화 기술)

  • Jee, Moon-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48-252
    • /
    • 2011
  • 화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화재 3요소 또는 4요소가 충족되어야 하지만 역으로 한 개 이상의 화재 요소를 제어하거나 통제할 경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에서는 화재방호계획에 의해 방화지역마다 화재 요인인 점화원, 가연성물질, 산소 등 지연성가스를 분석하고 연속적인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도록 화재위험 요인을 관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량화된 화재위험 분석도구인 화재모델을 활용한 성능기반 화재방호 기술이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리스크 관리를 위해 도입되고 있다. 성능기반 화재위험 분석 방법은 일반 산업계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나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화재로 유발될 수 있는 원자로 손상 가능성을 수치화하고 통제하기 위하여 위험도정보 활용기술과 성능기반 기술을 통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화재요인 관리 방법을 위험도정보 활용기술과 성능기반 화재방호 기술에 의거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분석의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의 화재위험 관리 방법을 산업계의 화재방호 전문가들이 공유하고 산업계의 특화된 방법과 원자력발전소의 전문화된 분석기술을 실용화하여 화재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 PDF

위험화물 관리에 관한 IMDG 코드 적용 실태 조사

  • Gang, Yu-Mi;Lee, H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1-253
    • /
    • 2015
  • 선박에 의한 위험물 운송의 증가로 제정된 IMDG Code를 제정하고, 선원들은 그 규정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몇 차례 개정이 되면서 위험물 안전운송 전문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해마다 위험물에 의한 선박화재 및 폭발사고는 계속 일어나고 있으며, 이것은 위험물에 대한 기본 정보와 규정만 있으나 위험화물에 대한 자체 반응경로나 왜 규정대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선원들에게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 발생한 선박화재 및 폭발사고 사례를 조사해보고, 적재된 화학물질 에 대한 기본정보를 분석하고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화학적으로 접근 해석해 보았다. 화재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기상 실험을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어, 적재된 위험물의 정보와 대표적인 반응을 알아보고 화재원인을 가정해 보았다. 선원들은 IMDG Code에 대한 규정 이외에도 이러한 기본정보와 반응경로에 이해를 한다면 위험화물의 운송에 있어 위험한 환경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화재 및 폭발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 PDF

다중이용시설의 화재위험과 방재대책

  • Sin, Byeong-Cheol
    • 방재와보험
    • /
    • s.118
    • /
    • pp.10-16
    • /
    • 2007
  • 다중이용업소는 화재위험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화재안전은 항상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다중이용업소의 현황과 화재 위험성 및 방재 측면의 개선방향 등에 대하여 간략히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ologies of Urban Fire Risk in Korea (우리나라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구축에 관한 연구)

  • Koo, In-Hyuk;Shin, Yi-Chul;Kwon, Young-Jin;Hayashi, Yoshihiko;Ohmiya, Yoshifu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52
    • /
    • 2010
  • 최근 우리나라는 건축물화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진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화재는 화재경계지구 등 화재에 취약한 도심지에서 발생 시 대규모 시가지 화재로 확대될 위험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대응책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의 분석 및 적용성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pplicability of FDS for the Fire Hazard Analysis of the Fire Zone at Nuclear Power Plants (원전 화재방호구역의 화재위험 분석을 위한 FDS 적용성)

  • Jee, Moon-Hak;Lee, Byung-K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0 no.4 s.64
    • /
    • pp.13-18
    • /
    • 2006
  • The fire protection regulation for the nuclear power plants is based on the qualitative fire hazard assessment and the quantitative fire risk analysis, and the fire risk is managed by the fire protection plan with the appropriate balance among the fire prevention, fire suppression and the minimization of the fire effect. In these days, the zone model or the field model is generally used for the detail evaluation for the fire risk. At this paper, with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trend, we evaluate whether the quantitative fire risk analysis and the assessment of fire result for fire areas at nuclear power plants can be possible by use of Fire Dynamics Simulator (FDS) that is the state-of-the-art fire modeling tool.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quantitative fire risk evaluation propelled by the fire modeling can be available as an applicable tool to improve the core damage frequency as well as the quantitative fire risk analysis.

Study on Verification of Applicability for a Warehouse Construction Site using a Fire Risk Assessment Tool (화재위험도 평가 Tool에 의한 물류창고 공사장 적용성 검증에 관한 연구)

  • YongGoo Seo;SeHong M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673-688
    • /
    • 2023
  • Purpose: Fire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are infrequent, but cause great damage. Recently, with the growth of the logistics and distribution industry, the number of construction sites for new logistics warehouses is increasing, so it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was conducted to reduce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fire risk assessment tool to quantitatively approach fire prevention. Method: A comprehensive fire risk assessment tool was accumulated by classifying the work in progress, classifying combustibles and ignition sources by grade, excluding air (oxygen), which is difficult to control, and additionally substituting evacuation safety. Result: Using the developed and proposed fire risk evaluation tool, excavation work with low fire risk, facility construction with medium fire risk, and finishing work with high fire risk were sampled to derive the result (CGI).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specific preventive measures and evaluate evacuation safety by controlling physical conditions (combustibles) and energy conditions (ignition sources) according to the risk assessment by developing a tool that can evaluate the risk of 14fire occurrence at construction sites.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fire risk evaluation tool at construction sites, it will be provided as a criterion for establishing a process plan that can reduce risk and evaluating the adaptability of firefighting equipment.14

선박 선착장 지하공동구 화재위험성 평가

  • Min, Se-Hong;Sa, Jae-Cheon;Lee, Jae-M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44-45
    • /
    • 2013
  • 본 연구는 선착장이 있는 부두의 변전소와 지하로 연결된 지하공동구에 대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하여 위험성을 발췌하고 실측을 통해 공동구의 재원을 확보하고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화재위험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 PDF

KFSA- I에 의한 건물의 화재위험성 평가

  • Lee, Soo-Kyung;Ko, 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91-96
    • /
    • 1997
  • 건축물의 고층화와 그 구조의 다양화, 고밀도화에 따른 실내의 가연물 증가등으로 인한 화재의 잠재적인 위험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건물화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물의 잠재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한다는 것은 건축물을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를 미연에 예방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고,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화재 위험성을 정량화 시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쉽게 평가 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