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재모델링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2초

원자력발전소의 스위치기어실 화재모델링 입력모수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f Fire Modeling Input Parameters for Switchgear Room of Nuclear Power Plants)

  • 강대일;박종석;한상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3-6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스위치기어실 화재로 인한 케이블 손상시간과 케이블 온도를 평가하기 위해 화재모델링 입력모수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화재모델링은 FDS 5.5를 사용하였으며 입력모수 샘플링은 Wilks 식에 따라 93회를 수행하였다. 단순히 입력모수 평균 값을 사용한 화재모델링 분석결과는 화재모델링 불확실성 분석결과보다, 케이블 손상시간은 최대 1.6배 늦게, 케이블 온도는 최대 0.45배 낮게 평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조사 (Introduction to fire modeling for use in fire scene reconstruction)

  • 석미혜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6
    • /
    • 2007
  • 컴퓨터 화재 모델링은 1960년대부터 연구 개발되어 왔지만, 화재조사 및 감식 분야에서는 미국의 NIST :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NIST와 영국의 BRE :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BRE를 중심으로 약 10여년 전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처음 화재 모델링이 개발되었을 때에는 화재 자체의 물리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데에만 사용되어 그 활용분야가 제한적이었으나, 방화공학적인 분석기법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요즈음에는 화재현장을 재현하고 예측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활용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화재모델링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이 무엇인지를 배우고, 화재 조사에 적용된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 조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PDF

화재모델링의 불확실도 평가방안 (Uncertainty Evaluation of Fire Modeling Analysis Results)

  • 박종석;이창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39-242
    • /
    • 2011
  • NFPA-805 불확실도 분석 요건에 따른 경수형 원전 스위치기어실 모터제어반의 화재시나리오에 대한 입력변수 불확실도 평가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화재모델링의 불확실도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화재모델링은 FDS5를, 불확실도분석은 MOSAIQUE를 사용하였고 Wilks 방법에 근거하여 93회의 latin hypercupe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스위치기어실 케이블의 최소 평균손상시간은 212초로 예측되어 화재발생시 스위치기어실의 화재진압은 약 4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원자력발전소의 화재안전성 평가에서 화재모델링 불확실성 분석 (Fire Modeling Uncertainty Analysis in Fire Safety Assessment of Nuclear Power Plants)

  • 강대일;양준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43-24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화재 안전성평가에서 제기되는 화재모델링 불확실성 분석 방법을 검토하고 논의하였다. 원자력발전소의 성능기반 화재 안전성평가에 대해서는 NUREG-1934를, 확률론적 화재 안전성 평가에 대해서는 NUREG/CR-6850를 중심으로 화재 모델링 불확실성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불확실성 분석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화재모델링의 PIRT 적용성 검토

  • 지문학;김윤중;김형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2-43
    • /
    • 2013
  •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리스크는 존모델 또는 필드모델을 사용하지만 화재 시나리오 또는 현상의 고찰 없이 사용되어온 측면이 있다. 한편 PIRT 기법은 전산코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최신기술과 입력자료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우선순위 등급을 선정한다. 따라서 PIRT 기법을 화재모델링 분석에 적용할 경우 화재모델링 분석방법의 개선과 결과 값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원자력발전소 모터제어반 스위치기어실 화재 모델링 입력변수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f Fire Modeling Input Parameters for Motor Control Center in Switchgear Room of Nuclear Power Plants)

  • 강대일;양준언;유성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40-5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모터제어반 스위치기어실 화재 모델링에 대한 입력변수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화재모델링은 FDS 5.5를 사용하였고 FDS 입력변수 램던 샘플링은 라틴하이퍼쿠브 몬테칼로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입력변수 불확실성 분석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NUREG-1934의 화재모델링 결정론적 불확실성 분석과 민감도 분석 방법을 이용한 분석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모터제어반 스위치 기어룸 화재 모델링에 대한 입력변수 불확실성 분석방법이 NUREG-1934의 방법보다 보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정론적 화재방호요건을 기반으로 한 원자력발전소 화재모델링 현장실사 수행절차 개발 (Development of Walk-down Performance Procedures for Fire Modeling of Nuclear Power Plants based on Deterministic Fire Protection Requirements)

  • 문종설;이재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43-5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결정론적 화재방호 요건을 기반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 화재모델링 현장실사(Walk-down) 수행절차를 개발하였다. 원전 화재모델링 현장실사 수행절차는 도면에 정확히 표시되지 않은 안전정지 기기 및 케이블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고, 가연물 및 점화원의 존재여부와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현장 실사 절차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가상의 다중오동작 시나리오에 대해 샘플 안전정지 중요기기 및 케이블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안전정지 기기 및 케이블을 대상으로 가상의 화재모델링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이에 대한 실제 현장실사를 수행하였다. 현장실사를 통해서 수집한 발전소 정보는 화재모델링을 위한 입력 값을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 얻은 정보와 비교·검토 되었다.

FDS를 이용한 원전 성능기반 화재모델링 분석 (Performance-Based Fire Modeling in the Nuclear Power Plants using FDS)

  • 조성민;이규복;구희권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35-23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 기기냉각해수격실 내 가연성 액체에 의한 화재를 가정하여 FDS 전산코드를 이용한 화재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열방출률, 환기효과, 복사분율 등에 대한 입력변수 변경을 통해 보다 보수적인 화재시나리오 설정을 위한 환경조건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추후 실제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성능기반 화재모델링 분석에 활용할 예정이다.

  • PDF

원전 펌프실 윤활유화재 분석 및 확인에 관한 연구 (Simulation & Validation of Lubricating Oil Fire in Nuclear Power Plant Pump Room)

  • 박종석;박윤정;이창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241-245
    • /
    • 2010
  • 화재방호에 성능기반 개념을 도입함에 따라 화재모델링의 활용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FDS를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 펌프실의 윤활유 화재 시 케이블의 손상여부를 평가하고, 확인분석을 통해 화재모델링의 적합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화재는 펌프 주변의 누출된 윤활유에서 발생하며 화원의 면적은 $2.75m^2$이고 단위면적당 열방출율은 $1,794kW/m^2$로 가정하였다. 계산결과, 고온기체층의 온도는 $400^{\circ}C$를 상회하고 있으나 케이블 트레이의 온도는 $50^{\circ}C$ 아래로 예측되고 있어 본 화재시나리오에서 케이블의 건전성은 유지되고 있으며 밀폐된 격실에서의 대형화재는 환기지배형 화재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확인분석 결과, 화재 시나리오의 주요 변수인 열방출율, 격실크기 그리고 강제 환기 변수가 확인계산 범위 내에 있어 본 계산결과는 NUREG-1824의 확인요건을 만족하고 있다. 따라서 펌프실 윤활유 화재에 대한 모델링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 PDF

목조건축물의 화재성상 해석모델링 (Modelling for Fire Spread Mechanism of Wooden Building)

  • 안찬솔;김정엽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02-407
    • /
    • 2011
  • 최근 친환경 자재를 사용한 건축물이 증가하면서 전통 가옥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목조 건축물들이 많이 지어지고 있다. 목재는 건축자재로서 우수한 장점이 많은 반면 화재에 취약한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목재건축물의 화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재건축물의 화재해석 모델링을 구성하고 수치해석하였으며, 화재시 화염전파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발화는 내부발화와 외부 화염전이로 구분하였으며 내부발화는 다시 건물 중앙 발화와 벽면발화로 구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