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장 행동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여대생의 화장행동 및 화장 전·후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Make-up on the Self-Concept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정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633-640
    • /
    • 2005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how they recognize the face appearance before and after the make-up, based upon the survey o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of their 20s (221 College stud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ho are very conscious about their appearance.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findings, which are necessary to establish the appearance management of self-concept through the make-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About 78% of subjects are performing the make-up on daily basis or needs basis, and 91.6% of the subjects wanted to have more elegant and improved make-up. Comparing the self-satisfaction level before and after the make-up,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ir appearance has been very much improved to 77.2% after the make-up, while the level was 28.8% before the make-up.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purpose of the make-up is more appreciated in pursuing the self-concept, rather than pursuing the beauty. Also we revealed that they could achieve a certain level of psychological stability by improving each individual's social image. We also found out that the stylish and modern style of image contributed more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make-up, compared with the image of neatness, individuality, delicacy, or youthfulness.

여성(女性)의 색조화장(色調化粧) 동기(動機)에 따른 화장행동(化粧行動) 연구(硏究) (A Study on the Women's Make-up Behaviors and their Motives)

  • 홍성순;박보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권4호
    • /
    • pp.56-6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make-up behaviors and their motives. Two hundreds and nineteen adult women in Seoul, Suwon and Incheon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ANOVA. and Cronbach's $\alpha$. The goals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the make-up motive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oncept. 2) To describe the differences of motives of women depending on their age, job, education, and marital statues. 3)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behaviors based on the theoretical clothing behaviors of the concept. 4 To describe the differences of behaviors of women depending on their motiv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otives are to conformed others, to express oneself, to protect oneself from others, to protect skin from damages, and to express feminity.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ke-up motives of women depending on their age, job, marital statues. 3) The psychological make-up behaviors are oriented for fashion trend, ostentation, personality, and conformity.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men's make-up behaviors depending on their motives.

  • PDF

바디이미지 연구(제1보): 한.미 여성의 이상적 미, 바디이미지와 외모행동에 관한 연구 (Body Image I: A Comparison of Ideal Beauty,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mong Korean and American Women)

  • 이승희;;김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969-98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한.미 여성의 이상적인 미, 바디이미지, 그리고 외모행동을 비교조사 하는데 있다. Open-Ended Questions에 의한 연구 결과, 이상적인 미로 미국여성이 \"키크고 마른 신체 매력성\"을 추구한 반면, 한국여성은 \"내적인 미\"와 \"서구적인 신체 매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미를 추구하기 위해 미국여성은 주로 신체의 하체부분, 한국여성은 얼굴부분을 많이 가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행동으로는 한국여성은 화장이나 피부관리 등에, 미국여성은 excercise나 다이어트 등을 많이 하고 있었다. 사회.문화적 이상적인 미에 비교해 볼 때 두 집단 모두 자신의 외모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나라 집단의 여성들은 각 나라마다 사회.문화적 이상적인 미가 각각 존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이상적 미의 기준이 문화에 관계없이 동일한 편이라고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개념을 토대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어 진다.주의 개념을 토대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어 진다.

  • PDF

대학생들의 외모관리관심도 및 뷰티트렌드와 융합된 외모관리행동 (The appearance management interest of University Student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verged with Beauty trend)

  • 오정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05-315
    • /
    • 2018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도와 뷰티트렌드와 융합된 다양한 형태의 외모관리행동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G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4월15일부터 30일까지 15일 동안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한 학생 267명의 자료를 SPSS 18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외모관리 관심도는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를 제외한 체형관리, 피부관리, 헤어관리, 화장품사용관리에는 남, 여 대학생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화장품사용관리 관심도가 높은 학생들은 트렌드와 융합된 패션스타일 화장스타일 피부관리 체형관리 행동요인들의 경우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트렌드와 융합된 운동건강기구 사용 요인에는 부(-)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생들의 트렌드와 융합된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뷰티산업체의 신상품개발연구 등에 참고자료 활용을 기대하고, 추후 새로운 융합형태의 외모관리행동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외모관리행동 연구 (A study on the self-concept and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 이진영;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38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아개념, 즉 일반자아, 학문자아, 중요타인자아, 정의자아개념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인 의복스타일추구, 화장 및 피부관리, 헤어관리, 성형 및 체형보정, 체중관리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정이나 학교 등의 생활 지도 현장에서 중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세대 간의 의견차가 보이는 영역이므로, 이 연구를 통해 중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가정교과교육을 통한 자아개념의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중학생들은 평균적으로 자아개념이 낮아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외모관리 행동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노력과 함께 외모관리행동을 통한 자아개념의 긍정적 증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중학생들은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나 헤어를 아름답게 손질하고 가꾸는 것 등으로 자신을 나타내려하며, 옷, 신발, 가방을 잘 갖추어 입고 깨끗하게 관리함으로써 스스로의 자존감이나 개성을 표현하려고 하였다. 또한 자신을 인식할 때 공부와 학업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이며, 중요시되는 타인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지각하고, 자신의 신체나 정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중학생들은 의복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자신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려는 행동이 높은 반면, 성형이나 체형 등 자신의 신체를 인위적으로 변경시키려는 행동은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외모관리행동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직장여성과 여대생의 화장품 선호도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smetic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in the Segmented Groups(Career Women vs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칠순;문정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5-14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smetic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 of two segmented groups(career women vs. college females). We employed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data from 443 people. Only 400 reliabl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program on the frequency,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mount of makeup, and the reason for makeup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he segmented groups which are career women and college females. Also we realiz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phisticated' and 'sexy' makeup images. Both images were more highly sought in career women. 2. The preference of lip colors & textures, types of eye liner, and types of found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segmented career/college female groups. Both groups favored more glossy lipstick. Career women preferred liquid eye liner and foundation, while college females like to use no foundation. 3. Both career women and college females acquired information about cosmetics from the friend's advice rather than TV or magazine. In purchasing, career women considered the most quality, while college females considered suitable cosmetics for their natural skin types.

  • PDF

중.고등학교 여자 청소년의 뷰티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auty Action of the Growing Generation)

  • 설현진;최인려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3호
    • /
    • pp.514-525
    • /
    • 2010
  • In the rapidly changed 21st century when the flow speed of information is so fast and the quantity of information is too much increasing, personal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 image-formation is highly evaluated. Nowadays personal appearance is very essential to competition and may be considered the non-linguistic expression of self-image. The beauty action of the youth is shown to follow the object which youth want to rely on or long for and it is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lation between appearance and beauty action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elements of the juveniles concerning appearance and to make an inquiry into how they pursue beauty in the restrictive bound compared with the adults. As their restrictive beauty action, the practical reflection percentage of hair-style, management of face, hand and nail control will be investigated and analyzed. Furthermore this basic material of this survey wa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article, cosmetics and education program. With the findings of the beauty articles in which the growing generation have a deep interest,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materials to the customer analysis and also the reference materials to the beauty marketing.

미디어 노출이 화장과 헤어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dia on Taking Make-up and Hairdressing Bahavior)

  • 윤종희;진기남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6-34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media on makeup and hairdressing behavior.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with 443 female students in Seoul. The first study focus is on makeup behavior. The ANOVA test reveals that those exposed to magazine show higher level of concern with makeup compared to those exposed to other types of media. Using logistic regression method, we find that those exposed to magazine or those with positive body image are more likely to take makeup course. The next focus is on hairdressing behavior. The ANOVA test reveals that those exposed to magazine show more frequent use of hair salon. They also spend more money on hairdressing. The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s that those exposed to magazine or those with sexual attraction visit hair salon more frequently than others.

얼굴인식을 통한 음성 명령 스마트 거울 시스템 (Voice Command through Facial Recognition Smart Mirror System)

  • 이세훈;김수민;박현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53-25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가정 등에서 사용자의 행동 반경에 가장 많이 있는 거울에 홈 제어 및 근처 전열 기구들을 보다 쉽게 제어 할 수 있도록 Google Speech API와 Open CV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음성인식을 통한 홈 제어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바쁜 아침에 화장 등을 하는 경우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디바이스를 음성으로 제어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 PDF

메이크업 이미지에 나타난 영화 패왕별희(覇王別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vie Farewell My Concubine and Miss Korea Elected in 1989 in The Makeup Image)

  • 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34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외모 관리와 소비 행동은 개인의 가치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생활에서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한 외모 관리를 위하여 메이크업은 헤어미용, 네일미용, 피부미용, 패션 등과 함께 경쟁력을 갖춘 중요수단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영화<패왕별희>에 등장하는 우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들의 눈썹, 눈, 아이라인, 볼, 입술화장, 피부톤 등의 메이크업에 관하여 미용학적인 관점에서 전문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소 과장된 화장기법의 공통분모 속에서 다른 면들이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참신한 메이크업 패턴과 아이템 개발을 위한 다각도 모색이 가능하며, 동시에 메이크업 미용 교육의 기틀 구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메이크업 시장에서의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여 경쟁력을 갖춘 실질적인 발전에도 일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