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골성 근염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측두근과 외측 익돌근에서 발생된 국한성 화골성 근염 : 개구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증례보고 (Localized Myositis Ossificans of the Temporal and Lateral Pterygoid Muscles- A Case Report for Open Limitation)

  • 한원정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27-231
    • /
    • 2012
  • 국한성 화골성 근염은 근육내에 섬유조직과 이소성 골이 형성되는 질환으로 외상성 화골성 근염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외상, 외과적 술식, 지속적인 자극에 의하여 근육이 골화되는 질환이다. 주로 팔, 다리 근육에서 발생되며, 저작근에서 발생되는 예는 드물다. 저작근에 발생된 경우 주된 임상증상은 개구제한이며 환자는 이환부위의 동통이나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30대 남성이 개구제한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검사와 방사선검사 후 저작근중에서 좌측 측두근과 외측 익돌근에서 발생된 국한성 화골성 근염으로 진단 내려진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골화성 근염에 대한 고찰 (Review of Myositis Ossificans)

  • 배성수;박래준;한동욱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2호
    • /
    • pp.255-265
    • /
    • 2000
  • 정상적인 골 조직에서의 성장과는 달리 연부조직에 2차적으로 비정상적인 골 조직이 신생되면서 골화되는 현상을 골화성 근염 또는 화골성 근염이라고 하며, 연부조직에 생긴 골은 가장 안쪽에는 어떤 원인에 의해서 생긴 출혈 또는 괴사 조직의 주위를 섬유모세포가 둘러싸서 생긴 층이 있고, 그 다음으로 골모세포(osteoblasts)로 형성된 미성숙 골조직 충이 있으며, 마지막 주위의 결합조직과 명확한 경계를 이루는 성숙한 골 소주로 구성된 층이 있다. 골화성 근염은 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혈류의 정체로 인한 저산소증, 비정상적인 칼슘 대사, 미세한 외상의 반복 및 심한 외상, 장기간 고정, 유전적인 원인 등으로 각기 다른 양상의 골화성 근염을 형성할 수 있다. 골화성 근염이라는 단어는 1868년에 Von Dusch에 의해 처음 사용되어 명확한 구분 없이 연부조직에 생긴 비정상 골조직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골화성 근염이라 할지라도 발생 원인과 조직 변화 및 상태 등을 고려한다면 첫째로 선천성 기형과 전신이환을 동반하는 진행성 골화성 근염, 둘째로 신경근과 만성질병, 사지마비, 소아마비, 화상. 다발성 관염 . 파상풍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골화성 근염인 이소성 골화증, 새 번째로 연부조직의 심한 손상 또는 반복적인 손상, 골절, 탈구, 열상 외과적 절개에 대한 부차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외상성 골화성 근염. 네 번째로 위의 세 가지 원인이 아닌 원인으로 발생하는 비외상성 골화성 근염으로 분명히 구분할 수 있다. 때문에 단순히 골화성 근염이란 단어로 연부조직에 생긴 비정상적인 골을 통칭하기보다는 지금까지 언급한 내용을 고려해 보다 구체적인 질환명 즉 골화성 근염이 진행성인지. 이소성인지. 외상성인지. 비외상성인지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연부조직 골육종 - 증례 보고 - (Extraskeletal Osteosarcoma Around the Knee Joint - A Case Report -)

  • 이봉진;김태호;하창원;김성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1-86
    • /
    • 2009
  • 연부조직에 발생되는 골육종은 매우 드문 종양으로, 세계적으로 소수의 예가 보고되었으며 한국에서는 2례가 보고되었을 뿐이다. 문헌상 세계에서 최고령의 증례인 91 세 남자에서 외상, 방사선 조사, 화골성 근염, 피부 근염 등과 관련없이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연부조직 골육종을 경험하였다. 절제술만으로 치료하였으며, 환자는 수술 후 1년 추시 상 생존해 있고 국소재발이나 전이의 징후가 없으며 슬관절의 기능도 양호한 상태이다.

  • PDF

교근에서 발생한 외상성 화골성 근염 (MYOSITIS OSSIFICANS TRAUMATICA IN MASSETER MUSCLE)

  • 이상래;조재오;강윤구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4호
    • /
    • pp.358-361
    • /
    • 2001
  • We had experienced a case of traumatic myositis ossificans arising in right masseter muscle, inferior to zygomatic arch occurred on 25 year old male. He had some trauma on the site one year ago and visited with complaint of mouth opening limitation and swelling. Palpable mass with facial disfigurement was noted. and several ovoid radiopaque masses were revealed on C.T. examination.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multiple bone trabeculae with osteoblasts in its periphery was noted in connective tissues and invaded to neighbouring muscles, but any chondroid components were not revealed.

  • PDF

콧등에 발생한 화골성 근염: 1례 보고 (Myositis Ossificans on the Nasal Dorsum: A Case Report)

  • 송제니퍼김;황소민;임광열;정용휘;안성민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69-72
    • /
    • 2011
  • Purpose: Myositis ossificans is a benign condi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that still requires more of its pathologic explanation. The lesions are localized predominantly to the high-risk sites of injury, involving flexor muscles of the upper limbs and thigh, but rarely in the head and neck area. Methods: A case of a 44-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a palpable hard mass on nasal dorsum. The patient experienced a similar lesion on upper limb few years ago. On computed tomographic image, the lesion presented focal definite increase in opacity compatible to adjacent bone densitiy on nasal dorsum. Results: The lesion was excised under open rhinoplasty incision. The pathologic report revealed focal bone formation and calcification within skeletal muscle. Conclusion: We describe a unique and only case of a myositis ossificans on nasal dorsum which is indifferent from previous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