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천강 중·하류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Geomorphic Development of River Terraces at the Mid.Downstream of Hongchoen River (홍천강 중.하류의 하안단구 지형발달)

  • 윤순옥;이광률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189-205
    • /
    • 2000
  • 북한강 지류 홍천강은 중류구간과 하류구간의 하천 형태가 대조적이다. 홍천강의 중류는 단층선을 따라 직선상으로 남서류하고, 하류는 감입곡류 구간으로 서류하여 북한강에 합류한다. 유역분지의 기반암은 중류구간의 서쪽과 하류구간은 편마암, 중류구간의 동쪽은 화강암이며, 상류구간은 변성암과 화강암이 혼재한다. 하안단구는 중류구간 유로의 양안에서 넓게 분포하며, 하류구간에서는 감입곡류의 활주사면에 좁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지질구조선의 존재, 중류와 하류의 지질 특성과 이에 따른 유로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 화계분지는 중류구간의 가장 하류쪽에 위치하는데, 분지 내에는 고도를 달리하는 여러 단의 하안단구가 분포한다. 즉, 화계분지에서는 과거 여러 번에 걸친 유로변경과 이로 인해 곡류절단이 이루어졌다. 이는 변성암으로 이루어진 홍천강 하류의 좁고 깊은 하곡이 국지적인 침식기준면으로 작용하여 중류에서 하류로의 곡류대 이동이 방해받았기 때문이다. 하안단구의 형성시기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저위 I면과 저위II면이 각각 Early Wurm 빙기와 Late Wurm에 대비되는 marine oxygen isotope stage 4와 2 시기에, 중위면은 Late Riss에 해당하는 marine oxygen isotope stage 6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in the Han-River Basin (2006년 한강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Lee, Sang-Cheol;Lee, Seok-Ho;Kwon, Dong-Seok;Kim, Dong-Ph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29-1934
    • /
    • 2007
  • 본 연구는 2006년도 한강 유역의 유량측정 지점 중 임진강 6개 지점, 중랑천 및 왕숙천 5개 지점, 홍천강 및 섬강 4개 지점 총 15개 지점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기본적인 성과분석과 더불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개발, 산정 유량의 연유출률 평가, 상 하류간 유량 비교, 직접유출률 평가, 평 저수위 동시유량 비교 등을 통하여 산정된 유량자료의 적절성의 검토와 유출특성을 검토하였다. 산정된 유출률은 $49.0%{\sim}117.7%$의 범위를 보였으며, 부분적으로 계기수위가 불안정했던 지점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들의 유출률은 그 지점들의 특성을 감안할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내의 유출특성을 보였다. 2005년도 유출률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올해 장기간 집중된 강우 특성을 고려한다면 적절한 유출범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Foehn over HongCheon Area of Gangwon Province in South Korea (강원도 홍천 지역의 푄 연구)

  • Kim, Yumi;Kim, Man Kyu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1
    • /
    • pp.37-55
    • /
    • 2013
  •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Foehn was mainly observed in Young-seo area in Korea. However, they have failed to indicate the area where Foehn can be observed most frequently in Young-seo area and how Foehn is distributed in that area. This study targets HongCheon area in Young-seo province and examines the frequency and extent of Foehn in local scale through documenting a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map of Foehn. The period examined in this study is the months between March and June from 2003 to 2012. CoKriging method, which uses temperature and the altitude above sea, generates a higher level of accuracy in making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map of Foehn occurring days. We have found that Foehn is observed in certain areas, not all areas of HongCheon region, by compiling the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map. In particular, Foehn was found to be frequent and strong in the downstream of HongCheon river. In addition, we surveyed the residents of HongCheon about their perception of Foehn. They did not know whether high temperature and dryness in spring are caused by Foehn. The methods and techniques used to examine Foehn in local climate scale by this study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climate and contribute towards the research in this area. In particular, they can be applied to high temperature that recently occurred between spring and summer, excessive hotness in summers, agricultural plant growth in springs and etc.

  • PDF

An analysis on gravel and sand ofsand-gravel bar in the Duchon stream of Hong-Cheon Region (홍천 두촌천 사력퇴의 역과 모래 분석)

  • Oh, Su Jeong;Cho, Heon;Hwang, Sung-Han;Kim, Man Kyu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1 no.4
    • /
    • pp.109-120
    • /
    • 2014
  • This study is an analysis on gravel and sand of sand-gravel bar that stretches variously in the Duchon stream basin, which is one of Hong-Cheon River(a well-developed sand-gravel bar in upstream river)'s upper stream ba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eam's topographic development that variously occur in the small basin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spects of development and the sediment of sand-gravel bar in each section and by examining the transition of sediments moving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rough the analysis on the roundness and flatness of gravel, we observed an irregular trend following the increase in supply of granite gravel and gneiss gravel as we traveled downstream. As for the aspect of change in sand's grain size, the overall ratio of medium-coarse sand was very high, but the results showed no big difference in the change following the inflow of stream from the main stream section to the gneiss and granite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