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조절 효과

Search Result 18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servoir Management in Flood Period with Chance Constrained LP (위험도제약(危險度制約) 선형계획법(線形計劃法)에 위한 홍수기(洪水期) 저수지운영(貯水池運營))

  • Lee, Kil Seong;Kang, Bu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3
    • /
    • pp.139-151
    • /
    • 1992
  • A reservoir operation model was established under the varying restricted water level(r.w.l.) subject to the inflow distributions in flood period. The optimization model consists of 2 sub-models. One model minimizes deviations of releases from the expected release and the other minimizes capacity requirement for flood control. In order to make deterministic equivalents, the inflow distribution of reservoir is assumed to be 2-parameter Lognormal, and its parameters are estimated by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model is applied to joint operation of Soyang and Chungju dam. The results show that Soyang was designed for larger flood event than that for Chungju. The operation under the varying r.w.l. turns out to be more effective than one under the uniform r.w.l. Such effect is more obvious at Chungju compared with Soyang. Release pattern shows diminishing and delaying effect in a period of high inflows and larger discharges than actual in a period of low inflows.

  • PDF

Construction of Flood Inundation Map for Flood Damage Analysis (홍수피해 분석을 위한 홍수범람도 구축)

  • Yu, Myung-Su;Lee, Dong-Hoon;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13-1816
    • /
    • 2010
  • 홍수범람도는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홍수지역을 미리 예측가능하게 만들어 놓은 지도로써, 강우 빈도별 침수면적과 침수심을 표현한다. 과거 홍수범람도는 홍수발생시 댐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댐의 모의운영과 침수지역의 피해 복구 등에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홍수에 대비하여 도시계획이나 제방 등의 설계에 주로 이용되고 있어, 많은 연구에서 홍수량 추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홍수범람도를 구현하거나 간단한 조작으로 홍수범람도를 작성하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EC-GeoRAS를 사용하여 극한홍수사상(PMF)이 발생할 경우 충주댐 하류의 주요 지점인 충주시와 여주군의 홍수범람도와 남한강 유역의 홍수저감대책을 분석하였다. 특히 다양한 구조적 홍수저감대책과 비구조적 홍수저감대책을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홍수저감효과를 침수면적과 침수심을 기준으로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재해저감 능력을 분석하였다. HEC-GeoRAS를 이용하여 홍수범람도 작성 시 하도내 횡단자료의 정확성은 수치지도의 정밀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발생된다. 수치지도 자료가 정확하지 않다면 홍수범람면적, 구역 등을 정확히 모의할 수 없어 가상홍수사상 시나리오를 제대로 구현할 수 없게 된다. 홍수범람 모의를 좀 더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지형자료인 항공측량자료를 사용하는 연구가 추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sis for Flood control in Nackdong River using wetland and Washland (습지와 천변저류지를 고려한 낙동강유역에서의 홍수조절평가 분석)

  • Yu, Jae-Jung;Kim, Hong-Tae;Kang, Du-Kee;Kal, Byung-Seok;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29-1132
    • /
    • 2008
  • 기존의 하천은 제방의 직선화와 더불어 홍수량을 신속히 바다로 유출시키는데 하천정비를 목표로 삼고 추진해왔다. 그러나 하천주변의 인구 집중화와 더불어 도시화는 홍수피해에 대한 잠재력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해 하천 위주의 홍수방어에 그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최근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는 홍수량을 유역내에 분담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중의 하나로 천변저류지와 습지를 이용한 홍수제어 방안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내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와 치수목적으로 계획중인 천변저류지를 고려하여 유역 수문모델링 SWAT모형을 이용하여 유역내에서 발생하는 홍수량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The Study on Discharge Capacity Improvement for Small and Medium Sized Dams (중.소규모 댐에 대한 홍수배제능력 증대방안에 대한 연구)

  • Park, Sae-Hoon;Moon, Young-Il;Seo, Il-Won;Lee, Dae-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35-739
    • /
    • 2006
  • 중 소규모 댐의 경우 대부분 홍수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투자의 우선순위에 밀려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만약 댐이 붕괴될 경우에는 그 피해가 막대하므로 현실적인 대책수립과 함께 보강조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수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현실적인 대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기존의 중.소규모 댐들을 저수지 규모 및 여수로 형식별로 분석하였고, 홍수배제능력증대사례를 조사하여 중.소규모 댐들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의 여수로 개축모형(안)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개축모형(안) 중에서 1차적으로 Labyrinth spillway의 경우에 대한 방류능력증대 효과를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검토한 결과 초기방류량의 증가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로 개축전의 월류수심 2.40m를 2.05m로 낮출 수 있고 기준 여유고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Flood Control in the Nakdong Rivers Restoration Project According to Movable Weir Operating (가동보 운영에 따른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홍수위 조절 효과 분석)

  • Kim, Su-Jin;Kim, Min-Ji;Jun,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52-152
    • /
    • 2011
  •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결과 낙동강 본류 내에는 총 8개의 다기능 보가 설치된다. 각각의 보는 고정보와 가동보 복합형식의 다기능 보로서 보 상류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하천 내의 수자원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지만 보의 설치 시 홍수로 인한 수해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다기능 보의 건설에 있어 치수안정성은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각각의 보에서의 치수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낙동강 사업 완료 후 적절한 가동보의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수안정성이 확보되면서도 과도한 방류로 인한 수자원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가동보 운영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하구둑부터 반변천 합류점까지의 구간을 선정하여 낙동강 살리기 사업 후의 부정류 모형을 구성하고 홍수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을 구성할 때에 가동보의 운영을 위한 기준은 보 상류의 수위로 선정하였다. 이는 치수안정성 및 하천 내 유량의 증감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수위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보에서의 상류 수위를 가동보 운영의 기준으로 설정하여 가동보의 운영 조건을 결정하고 모형을 구성하였다. 가동보의 적절한 운영 기준을 찾기 위해 보 상류 수위의 상승에 따른 가동보의 개방정도를 다양한 조건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모형에 동일한 홍수사상을 적용하여 홍수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첨두치가 다른 여러 개의 홍수사상에 대해서도 모를 실시하여 홍수 규모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여 가동보 운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Overtopping Discharge Reduction for Restricted Water Level of Reservoir During Flood Period (홍수기중 저수지의 제한수위에 따른 월류량 저감효과)

  • Kim, Yong-Kuk;Kim, Young-Sung;Noh, Jae-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2-442
    • /
    • 2011
  • 우리나라는 홍수조절이나 통제를 목적으로 10개의 다목적댐을 통한 홍수방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다목적댐 또한 방류능력과 저류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홍수조절을 위해서는 유입량과 유출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강수량은 그 변동이 심하여 정확한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합리적인 하천 구조물의 설계와 홍수예측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강우-유출 해석뿐만 아니라 과거의 수문자료를 사용한 통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과거에 겪지 않았던 이상 기후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상청발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1996~2005) 15개 지점의 평균 연강수량은 1,458.7 m로 약 10 �時貂� 하였고, 특히 여름철은 18 %로 증가폭이 가장 크며 호우일수는 30년 평균이 2일인데 비하여 2.8일로 0.8일 증가하였다. 이러한 강수량 및 호우일수 증가는 여름철 심각한 수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해를 대비하여 홍수기중 저수지 제한수위운영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은 광교저수지로 수원천 상류부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에 위치한다. 유역면적은 10.98 km, 유효저수량은 250.0 만$m3$이며, 현재 예비취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하류지역의 예상치 못한 홍수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광교저수지 유역의 설계 강수량과 설계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제한수위의 시나리오는 현재 시행중인 제한수위와 만수위를 포함하여 5개로 설정하였다. 설계 홍수량이 광교저수지로 유입될 때 시나리오에 따른 월류량은 웨어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39년간의 최다 일 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100년 빈도의 설계 강수량을 Gumbel 분포법으로 산정한 결과 344.4 mm임을 알 수 있었다. 2. 광교저수지 유역의 설계 홍수량을 SCS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 $216.2\;m^3/s$/s로 나타났으며, 총 유입량은 $301.0\;m^3$/day로 파악되었다. 3. 광교저수지로 설계홍수량이 유입될 때 제한수위 시나리오에 따른 최대 방류량은 EL. 87 m의 경우 $23.1\;m^3/s$, EL. 89 m의 경우$27.5\;m^3/s$ EL. 91.36 m의 경우 $79.6\;m^3/s$, EL. 93 m의 경우 $121.1\;m^3/s$ EL. 95.2 m의 경우 $137.`\;m^3/s$이다. 광교저수지 하류부분의 하천정비기본계획상의 설계 홍수량은 $114\;m^3/s$로 홍수기중 저수지의 제한수위는 EL. 91.36 m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a Scheme to Increas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강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Baek, Chun-Woo;Byeon, Chen-Il;Kim, Do-Hyeon;Ahn, T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2
    • /
    • pp.123-133
    • /
    • 2010
  • Due to climate change and difficulty in construction of large dam, it is on the increase to use small hydraulic facilities such as washland for the flood control purpose. Since there can be many potential locations for washland in a basin, it is important for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to calculat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substantially and exactly. In this study, a new scheme to increas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is suggested. Suggested scheme uses sensitivity analysis of flood reduction effect depending on washland characteristics such as storage volume, spillway elevation and spillway wid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shland is determined by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to maximize flood reduction effect at basin outlet and downstream of a washland. The methodology is applied to Anseong river basin to show its applicability and applied result is compared with those of another studies.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소규모 저수지시스템 분석

  • Park, Gi-Beom;Lee, S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67-7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덕동댐의 경우 최근 홍수유입량의 증가에 따라 치수능력의 증대를 위하여 비상게이트를 설치하였으며, 그에 따른 비상게이트 설치전과 설치후의 실제호우에 대한 저수지 분석과 재현기간에 따른 50년, 80년, 100년, 200년, 500년 확률홍수량을 비교하였다. 덕동댐의 비상게이트 설치에 따라 하류의 보문호는 홍수유입량이 증가하였으며 보문호의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보문호의 방류량도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상게이트 설치에 따라 덕동댐의 홍수조절 능력은 설계빈도 200년에 대하여 약 20%정도의 증가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보문호의 경우 유입량이 35%정도 증가하였다. 보문호의 방류량은 약 35%증가가 되어 북천하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증가된 홍수량이 북천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aulic Effect of Vertical-Strip Side Wall in Open Channel Flow (개수로 흐름에서 측벽 수직줄눈의 수리효과)

  • Park, Sang-Deog;Ji, Min-Gyu;Nam, A-Reum;Woo, Tae-Young;Yang, Eun-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0-700
    • /
    • 2012
  • 산지유역은 하천을 따라서 도로가 발달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도로가 홍수시 하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산지하천은 경사가 급하고 만곡수충부가 많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홍수시 유속이 빠르고 만곡수충부의 편수위가 매우 크다. 이는 만곡부 호안 파괴와 도로 유실의 피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지하천 만곡수충부에는 홍수피해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 옹벽호안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옹벽은 조도가 작기 때문에 유속이 더 빠르게 되고 편수위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산지하천 만곡수충부의 편수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접근유속을 줄여야 하나 산지하천 특성으로 볼 때 접근유속 저감을 위한 공학적 방법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만곡수충부의 유속을 줄이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옹벽호안의 조도계수를 증대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수로 측벽에 수직돌출줄눈이 설치되었을 때 흐름에 미치는 수리효과를 개수로 수리실험으로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실험결과 돌출줄눈의 간격이 수직돌출줄눈의 무차원 폭이 9일 때 평균유속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이는 돌출줄눈의 간격이 개수로 내부흐름의 유속분포, 최대유속발생 위치, 유수단 면적의 크기에 영향이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수로 측벽 수직돌출줄눈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개수로 유수저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