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조절량

Search Result 28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oupled Effectiveness of Dam and River Improvement Project (댐과 하천정비사업의 연계 효과 분석)

  • Lee, Gwang-Man;Lee, Eul-Rae;Lee, 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16-1620
    • /
    • 2009
  • 댐이 건설된 이후 운영편익은 여러 가지 이유로 원래의 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실제 대부분의 다목적댐의 경우 홍수기에 댐 하류 하천의 환경변화로 계획된 홍수량을 적절히 방류하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효 저수용량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해 이수측면에서도 계획공급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하천이 댐에서 조절된 홍수량을 안전하게 하류로 배수시키는데 필요한 통수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의 주요 원인은 댐 하류하천의 침식이나 제방상태가 부실하여 하천이 설계홍수량을 소통시키는데 많은 장애 요인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하천의 통수능은 홍수조절과 관련된 댐 운영의 제약조건으로 작용하게 되어 댐 운영측면에서는 큰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다목적댐의 홍수기 운영제약조건으로 작용했던 하류의 통수능 개선을 통한 유효저수용량의 복원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댐의 유효저수용량 확보에 가장 큰 장애요인이라 할 수 있는 댐 직하류에서 계획홍수량의 일정 유량을 피해없이 방류할 수 있는 통수능 개선을 통해 이수목적의 유효저수용량의 회복이 현재의 운영여건에 비해 용수공급과 수력발전으로 대표되는 이수목적의 추가적 편익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평가하였다.

  • PDF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둑 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평가)

  • Jun, Sang Min;Kang, Moon Seong;Song, Inhong;Park, Jihoon;Choi, Sol A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0-600
    • /
    • 2015
  • 최근 정부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노쇠화를 해결하기 위해, 이수공간 및 홍수조절공간 추가 확보를 목표로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을 실시하였다. 둑 높이기 사업을 통해 추가로 확보된 저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강도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 예측 강우량에 대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둑 높이기 사업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초자료 구축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 4.5 기반의 미래강수자료를 편의보정 하였으며, 둑 높이기 사업 보고서를 통해 농업용 저수지의 제원들을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업용 저수지 유역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고, 저수지 모의 운영을 통해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수 취약성은 IPCC (2007)에서 제안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지표들을 선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홍수조절율 등 둑 높이기 사업의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들을 추가로 선정하여 홍수 취약성 평가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둑 높이기 사업에 의한 홍수조절효과를 정량화 하고, 둑 높이기 저수지의 최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spillway using numerical simulation (수치해석에 의한 여수로 수리특성분석)

  • Lee, Byeong Wook;Jang, Eun Cheul;Baek, Donghae;Yoon, Jae-Seon;Song, Hy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6-246
    • /
    • 2022
  • 여수로는 수리시설의 계획저수위보다 높아진 수위를 낮추기 위하여 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방류하는 시설로 조절형식과 비조절 형식으로 구분한다. 조절형식은 인위적으로 조절수문을 이용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형식으로 수문식과 밸브식으로 분류하며, 이상홍수대비 비상방수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조절형식은 자연적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형식으로 개수로와 관수로로 분류한다. 개수로에는 측수로식, 슈트식, 자유낙하식, 월류식이 있으며, 관수로에는 터널식, 선굴식, 암거식, 사이펀식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는 3400개소로 측수로식 2091개소, 월류식 1269개소, 사이펀식 5개소, 선굴식 3개소, 기타 56개소로 비조절형식 여수로가 약 98%를 차지하고 있다. 2003년도에 재해대비 수리시설 설계기준이 개정되어 유역면적 2,500ha, 총저수량 500만m3이상이고 하류지역의 재산 및 인명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저수지는 PMF를 설계홍수량으로 적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설계기준의 홍수빈도를 적용하기 위해 기존 저수지의 치수능력증대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치수능력증대방안으로는 제당높이 증고, 보조여수로 설치, 기존여수로의 확장 등 다양한 방안들이 있으며, 구조물 안정성, 경제성, 현장 여건을 고려한 시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채택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방안이 기존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PMF 홍수량에 대하여 추가로 보조여수로를 설치하여 방류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이펀 여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저수지에 측수로식 여수로와 사이폰식 여수로를 신설하여 FLOW-3D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PMF 유입에 대한 저수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상강우에 의한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신설 여수로의 방류능력, 접근 유속, 허용최대유속 등 각종 수리특성을 분석하여 홍수량 배제 능력을 검토하였다.

  • PDF

Simulation of the Flood Damage Area of the Imjin River Basin in the Case of North Korea's Hwanggang Dam Discharge (북한 황강댐 유출량에 따른 임진강유역 홍수 피해 지역 시뮬레이션)

  • Park, Sung-Jae;Lee, Chang-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6_1
    • /
    • pp.1033-1039
    • /
    • 2018
  • In Korea, every year during the summer season,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cause floods and damage to property. In particular, the Imjin River basin is characterized by steep slopes, narrow upstream areas, and low flat downstream areas, which are vulnerable to floods. In addition, damages occurred due to unauthorized discharge in the Hwanggang Dam, a large dam upstream of the Imjin River in North Korea. In order to prevent such flood damage, Korea is constructing the Gunnam Flood Control Site in 2010 to prevent flood damage. However, eve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lood control zone, the flood control capacity is only 20% of the maximum water level of the Hwanggang dam. This study used LAHARZ_py program to calculate flood damage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when the discharge of Hwanggang dam exceeding the flood control ability of Gunnam flood control zone occurs, damage to Yeoncheon-gun and Paju-si of Gyeonggi-do was expected.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a material to prepare for flood damage.

Real-time Reservoir Operations during Flood Period(I) - Single Reservoir Oprating Rules at Daechong Dam - (홍수기중 실시간 저수지 운영(I) - 대청댐의 단일 저수지 운영 방안 -)

  • Sim, Myeong-Pil;Seon-U, Jung-Ho;Park, In-B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0.07a
    • /
    • pp.105-116
    • /
    • 1990
  • 홍수기간중에는 강우, 유출, 저수지 및 하류 수위등의 수시로 변하는 자료들을 on-line system으로 읽어서 실시간으로 저수지를 운영하므로써 현상태에서의 최선의 방류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정확한 강우및 유출예측모형과 하류의 홍수추적모형이 연계 된다면 저수지의 홍수조절 용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최적의 방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중 실시간 저수지 운영을 위해 여러가지 제약조건을 고려한 모델을 개발하여, 단일 저수지인 대청 다목적 댐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예측 유입량 대신에 재현기간별 홍수수문곡선과 실제의 저수지 유입량을 이용했으며, 하류의 홍수추적 모형은 일정한 유량을 방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가정하여 최대 방류량을 변화시키므로써 하도 추적모형을 대신 하였다. 본 모델은 별도의 강우 유출예측모형과 하도의 홍수추적모형과 더불어 종합적인 실시간 저수지 운영모델이 된다.

  • PDF

Research of Decision for Optimal Locations of Washlan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강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Kim, Do-Hyeon;Roh, Hui-Sung;Baek, Chun-Woo;Ahn, T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5-400
    • /
    • 2011
  • 강변저류지는 국내에서 천변저류지라는 이름으로 2000년 초반부터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기존의 하천연안 저지대 및 홍수터를 활용하여 제방의 일부 구간에 취수부를 설치, 하천의 계획홍수를 초가하거나 일정수위 이상의 홍수가 발생할 때 초과하는 홍수량을 저류하여 하류의 첨두홍수를 저감시키는 소규모 수공구조물이다. 이러한 강변저류지는 off-line 형식으로 2차원적인 홍수량 분담을 통해 홍수량을 조절하여, 홍수조절효과가 확실하고 그 효과가 즉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한 대상유역 내에 다수의 대상지역이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이들 후 보지 전체에 강변저류지를 설치하는 것은 다수의 제약조건에 의해 불가능하며 대상유역의 어느 후보지에 강변저류지를 설치한다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들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이들 연구의 가장 큰 문제는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변수의 통합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기준과 변수에 의해 결정되어진 강변저류지의 설치 우선순위들을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하나의 순위를 도출하는 것으로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결과의 장점을 포함하며, 보다 많은 변수를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omestic Application Plan Research of Basin Share Flood Detention Dam (유역분담 홍수저류지 국내적용 방안 연구)

  • Choi, Eun-Tack;Kim, Yong-Myung;Kim, M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13-2018
    • /
    • 2007
  • 최근에 발생하는 홍수특성은 단기간의 국지성 집중호우로 본류 대하천보다는 상류지역 지류하천이 특히 취약하여 이에 대해 하류보다는 상류, 본류보다는 지류위주로 과거와 다른 치수정책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과거 치수대책이 제방위주의 선적인 개념에서 면적인 개념의 유역치수 중심의 방어형태로 추진하고 있으나, 상류지류 하천에 대한 홍수방어 계획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류하천에 홍수가 발생하면 홍수도달시간이 짧아 첨단홍수예보시스템으로도 대처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이외에도 홍수와 함께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되고 토석류, 유목류가 한꺼번에 동반 유입되어 인명과 재산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작년 7월 강원지역 집중호우에서도 인제군, 평창군 등 지류에 인명과 재산피해가 크게 발생한 것도 이와는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은 기상적 측면이 아니더라도 우리나라는 하천경사가 급하고 산지가 국토의 약 70%로 구성되어 있어 지형적 측면에서 평화의댐(지체댐), 군남홍수조절지, 한탄강 홍수조절댐 등 대규모 홍수방어댐 도입시 홍수조절 효과가 우수하나, 대규모 댐건설에 따른 지역민의 불신, 환경단체 반발, 사회적 미합의 등 현실적인 제약조건이 많으므로 현실적이고 상류지역 지류하천에 효과적인 홍수조절을 위해서는 보호하고자 하는 도시 및 주요시설물시설에 대하여 소규모 홍수저류지(Detention Dam)를 상류 지류하천에 단일 또는 군(群)으로 도입하여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소규모의 홍수저류지는 평상시에는 자연상태와 같이 전량 방류하고 갑작스런 홍수발생시 첨두홍수량을 지체하거나 감소시켜 하류지역에 홍수피해를 줄이는 시설로 기존의 댐보다는 규모가 적고 평상시에는 자연하천과 같이 물을 담지 않아 환경변화에 의한 영향이 적어 사회적 합의가 유리하고 친환경적이며, 홍수기에는 비어 있는 저류용량을 전량 활용이 가능하여 저수규모에 비해 홍수조절효과는 큰 장점이 있다. 특히 홍수조절의 본래 목적 외에도 초목류, 토석류 및 각종 부유쓰레기를 차단하는 사방댐 역할과 하류하천의 퇴사량 감소 등 다방면으로 효과가 있어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외국에 도입된 홍수저류지 사례를 조사 및 검토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유역분담형 홍수저류지 규모 및 방식, 홍수저류지 도입방안과 향후 연구방향 제시하였다.

  • PDF

Effect of Observed Discharge Data on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유역 관측유출자료가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 Kim, Nam Won;Lee, Jeong Eun;Lee, Jeongwoo;Jung, Y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6
    • /
    • pp.511-522
    • /
    • 2015
  •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 of uncertainties in flood data on the results of flood frequency analysis for Han river basin. To meet this aim, this study quantified assessment focused on the index flood and quantile by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flood data from 17 water level gauges in Han river basin. We analysed the results categorized by three ca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d data. Firstly, we analyzed the regional flood frequency for the water level gauge in the Pyungchang river basin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ater level data. The results has the error of 0.240 with respect to the mean flood. Secondly, we examined the impact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data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of rating on the results of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We have compared the results by applying the rating estimated for each year to the one by the recently estimated ra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error has 0.246 in terms of the mean flood. Finally, we have inferred the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results with the regulated flow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The regulated specific discharge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controlled by dam operation showed a large difference to the estimated specific discharge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by extension of the natural specific discharge in the upstream area using the regionalization method.

Analysis of Storage and Flood Control Effects by Underflow Type of Multi-stage Movable Weir (하단배출형 가동보의 다단 배치에 의한 저류 및 홍수조절 효과 분석)

  • Lee, Ji Haeng;Han, Il Yeong;Choi, Heung Si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4
    • /
    • pp.294-301
    • /
    • 2016
  •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s were arranged in a multi-stage way at a section of the Chiseong River, a tributary of Geum River, where flooding is observed frequently. The flood control and the movable weir management levels were compared with the occasions of installing the existing weir for analysis. The peak discharge decreased by a maximum of 97% for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 and the downstream flood elevation decreased by a maximum of 82%. The amount of storage also increased by a maximum of 463% by the distribution and storage functions of the multi-stage arrangement of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management level of each movable weir for the target storage of the reach and the flood reduction level through the relationship among this storage, downstream peak flood elevation, and peak flow.

Optimal Reservoir Operation Using Goal Programming for Flood Season (Goal Programming을 이용한 홍수기 저수지 최적 운영)

  • Kim, Hye-Jin;Ahn, Jae-Hwang;Choi, Chang-Won;Yi, Jae-E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47-156
    • /
    • 2011
  • The purpose of multipurpose reservoir operation in flood season is to reduce the peak flood at a control point by utilizing flood control storage or to minimize flood damage by controlling release and release time.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reservoir operation for flood season is to determine the optimal release and release time. In this study, goal programming is used for the optimal reservoir operation in flood season. The goal programming minimizes a sum of deviation from the target value using linear programming or nonlinear programming to obtain the optimal alternative for the problem with more than two objective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goal programming, the historical storm data are utilized. The goal programming is applied to the reservoir system operation as well as single reservoir operation. Chungju reservoir is selected for single reservoir operation and Andong and Imha reservoirs are selected for reservoir system operation. The result of goal programming is compared with that of HEC-5.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oal programming could maintain the reservoir level within flood control level at the end of a flood season and also maintain flood discharge within a design flood at a control point for each time step. The goal programming operation is different from the real operation in the sense that all inflows are assumed to be given in advance. However, flood at a control point can be reduced by calculating the optimal release and optimal release time using suitable constraints and flood forecas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