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저감효과

Search Result 26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한강유역의 3개보(강천보, 여주보, 이포보)건설로 인한 남한강 유역의 공사 전.후의 수리 분석

  • Lee, Gyeong-Yeong;Seong, Seu;Park,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1-441
    • /
    • 2011
  • 정부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와 가뭄, 수질개선 등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4대 강사업을 아직도 언론이나 환경단체, 대다수의 국민들이 보 건설로 인해 홍수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수질이 악화되어 생태계와 생명이 파괴된다고 오해하고 있다. 이런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남한강유역의 보 건설 공사 전 후의 발생 가능한 수리변화 예측을 통하여 4대강사업에 따른 수리 수질 논란에 대비하고, 기존의 수위-유량 곡선식 및 홍수분석시스템 변화에 따른 개선을 통하여 보 건설 후 댐과 보의 운영시 각 보 지점의 수리분석을 통해 적절한 방류 규모, 시기를 결정하고 하류영향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등 환경변화에 대한 사전 대책마련을 위해 EFDC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한강유역의 팔당댐을 기준으로 북한강 10km, 경안천 10km, 남한강 65km 구간의 공사 전 후 수위변화를 분석하기위해 남한강 유역의 2006년도부터 2010년까지의 여주, 이포, 양평 수위국의 최고수위 기간을 조사하여, 최고기간인 2006년 7월 15일부터 17일에 발생한 태풍 에위니아의 첨두유량(13,022CMS)을 사용하였고, 하천단면 측량자료는 2010년에 실시한 보 공사구간 횡단면도와 준설 후 계획 횡단면도와 과거 측량자료를 이용하였고, 총 3,794개의 격자망을 평균 $200m\times80m$ 간격으로 구성하여 3차원 수리/수질 모델 프로그램인 EFDC를 사용하여 수리모델링을 실시하여 보 건설 전 후의 수위변화를 모델링 하였다. 모델링 결과 남한강 상류인 강천보 지점의 수위 저감효과가 최대 2.0m로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남한강의 하류인 여주보 지점은 최대 1.5m, 이포보 지점은 상대적으로 작은 1.0m 정도의 수위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포보 하류의 양평수위국 지점과 북한강, 남한강, 경안천이 합류되는 팔당댐 상류 지점의 경우 모델링 결과 공사 전 후 수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보 건설이 남한강 하류 지점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EFDC 모형을 이용하여 정밀 수리모형 검토를 통해 수위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발생하지만 보 건설을 통하여 수위 저감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정확한 검토를 위해 추후에는 남한강 상류의 강천수위국 상류지점의 검토와 남한강유역의 지류 유입량을 추가하여 모델링을 실시하면 보다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flood depth-damage functions focused on school buildings (학교건물에 대한 홍수 침수심별 손상함수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Chang Hee;Kim, Sang Ho;Hwang, Shin Bum;Kim, Gil 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8
    • /
    • pp.513-520
    • /
    • 2017
  • In order to analyze flood damage mitigation effect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analyze inundation areas and depth through hydraulic and hydrological analysis but also to estimate flood damages. Flood damages of structure and contents of buildings are gener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flood depth.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flood depth-damage functions for the school buildings based on actual damage data.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procedure of flood depth-damage functions for school buildings is presented in this paper, and the developed damage functions are verifi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existing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flood depth-damage func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cost benefit analysis of flood damage mitigation measure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nge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the Training Wall (합류부에 도류제 설치에 따른 흐름 개선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Gye-Woon;Chae, Sin-Ae;Chang, Yun-Gyu;Hwang, Yo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61-564
    • /
    • 2010
  • 하천의 본류와 1개 이상의 지류가 만나는 합류부에서는 본류 흐름과 지류 흐름이 충돌함에 따른 흐름 정체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로 인하여 태풍이나 집중호우 시 유속저하와 수위증가로 통수능이 크게 저감되어 홍수피해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도류제는 흐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흐름방향을 조정해주는 인공구조물로서 수제의 한 종류이며, 합류부에서의 흐름 정체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도류제의 적용이 주로 해안의 사빈방지 등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천의 합류부에서의 적용사례를 찾아 보기는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류구간을 지닌 자연형 사행하천을 대상으로 한 수리모형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도류제의 합류부의 흐름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의 조건은 도류제 설치 전 후, 도류제 길이 변화에 따라 구성되었으며, 실험결과 도류제의 설치는 본류흐름, 지류흐름, 합류 후 흐름의 수위, 유속, 흐름방향 등의 흐름 특성을 변화시켰다. 특히, 실험조건에 따라 하도의 통수능 증대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도류제 설치길이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하천 합류부에 도류제 등의 홍수저감시설을 적용할 시 합류부의 수위 및 유속 등의 수리특성 변화를 예측함으로 합류부 흐름개선을 위한 하천개수계획 등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Dam Operation on the Spatial Variability of Downstream Flow (댐운영에 따른 하류하천 유량의 공간적 변동성 평가)

  • Jeong Eun Lee;Jeongwoo Lee;Chul-gyum Kim;Il-moon Chu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4
    • /
    • pp.627-63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patial variability of downstream river flow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Gimcheon Buhang Dam in the Gamcheon watershed. The dam's effects on flood reduction during the flood season and on increasing streamflow during the dry season-two main functions of multipurpose dams-were quantitatively analyzed. Streamflow data from 2013 to 2021 for the study waterhsed were simulated on a daily basis using SWAT-K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 Korea) model. Comparison of the simulated and observed values found goodness of fit values of 0.75 or higher for bo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coefficient. The spatial analysis of the dam's effect on flood reduction focused on the annual maximum flood: rates of flood reduction at the four stations ranged from 8.5% to 25.0%. The evaluation of streamflow increase during times of low flow focused on flow duration curves: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an upstream dam, the average low flow at the four sites increased from 33% to 198%.

Analysis of Flood operation by initial storage condition (댐의 초기저류량에 따른 홍수운영 분석)

  • Park, Jonng Jin;Chang, In Soo;Park, Ki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9-339
    • /
    • 2018
  • 일반적으로 댐의 홍수분석을 할 경우에 댐의 운영초기수위는 댐의 만수위로 분석하고 있다. 댐 하류지역의 홍수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댐의 극한 상황인 만수위 상태에서 홍수사상에 의한 댐 유입량이 유입될 때 하류지역의 방류량을 분석하여 결정함으로써 하류지역 하도의 피해를 저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지속적인 가뭄으로 인해 태풍이나 장마와 같은 집중호우발생에도 댐의 수위는 만수위에 다다르지 못하고 전량 저류하거나 일부 방류를 통해 댐의 용수확보를 위한 저류용량의 증가효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댐의 홍수기 운영에서 초기조건을 변화하여 실제 호우사상을 분석하여 방류량과 저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홍수조절 지표를 평가하여 댐 운영에 따른 홍수조절 효과와 댐의 용수확보를 통한 이수기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 댐은 안동댐으로 안동댐에 발생한 5개의 호우사상에 대해 초시 수위를 만수위인 EL. 160m에서 0.5m씩 감소하여 EL.150m 까지 분석하여 홍수조절과 저류기능을 검토하였다.

  • PDF

Numerical Modeling the Effects of Curtain Weir in the Daecheong Reservoir (수류차단막 설치효과 수치모의 (2009년))

  • Lee, Heung-Soo;Chung, Se-Woong;Min, By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93-797
    • /
    • 2010
  • 물리적 녹조저감 기술인 커튼형 수류차단막은 유입 하천과 저수지 천이부에서 높은 영양염류와 조류를 포함한 표층 수류의 차단 또는 우회를 통해 본류 수역의 녹조발생을 저감하는 대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5월 회남대교 약 2 km 상류에 시범 설치된 대청호의 수류차단막 효과를 분석하고자 선행연구에서 보정한 2차원 횡방향 평균 수리 및 수질 모델을 최근의 수문사상인 2009년 6~8월까지 적용하여 검보정하고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저수지 수위와 실측수위를 비교한 결과, 7월 중순 유입량 증가에 따른 수위 상승을 잘 반영하였고, 결정계수값($R^2$)이 0.997로 나타나 모델은 저수지 물수지 계산에 있어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댐앞과 회남수역에서 수심별 수온예측 오차는 AME 0.258~$1.584^{\circ}C$, RMSE 0.393~$2.548^{\circ}C$의 범위로 실측값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남, 댐, 추동, 문의 수역의 표층에서 $PO_4$-P 및 Chl-a 농도에 대한 모의값과 실측값의 시계열 비교 결과, 모델은 저수지내 각 측정지점에서 실측값의 시계열 변화를 잘 모의하였고, 회남수역에서 7월 중순 홍수 유입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PO_4$-P 농도가 0.06 mg/L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홍수기에 높은 영양염류를 포함한 탁수가 수류차단막 하단을 통과하여 수리학적 도수현상(Hydraulic jump)을 일으킨 것이 원인이라 판단된다. 수류차단막 설치에 따라 회남수역의 표층에서 Chl-a 농도의 저감 효과가 두드러졌으나, 댐, 추동 및 문의수역에서의 제어 효과는 미미하였다. 이와 같이 회남수역에서 효과가 큰 이유는 2009년 수문사상의 영향과 저수지 지형특성상 유입수의 영향을 직접받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회남수역에서 수류차단막 설치에 따른 T-N 및 T-P 평균 저감 효율(수류차단막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설치 후 농도 저감 비)은 각각 10.8% 및 19.1%이었으며, 평균 저감농도는 모의값을 기준으로 각각 1.637 mg/L에서 1.461 mg/L 및 0.047 mg/L에서 0.038 mg/L로 나타났다. DIN 및 $PO_4$-P 평균 저감 효율은 각각 6.4% 및 24.6%이었고, Chl-a 평균 저감 효율은 25.5%이었으며, 평균 저감농도는 모의값을 기준으로 0.025 mg/L에서 0.018 mg/L로 나타났다. 모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청호에 시범 설치된 조류제어용 수류차단막은 2009년의 수문사상에서 회남수역의 녹조발생 저감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청호에서 유사한 수문사상을 보인 2006년(62일간)에 비해 2009년(28일간)에 조류주의보 발령 일수가 대폭 줄었다는 사실도 차단막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해 준다.

  • PDF

Analysis of the flood alleviation effect by the Han Stream reservoir operation (한천저류지 운영에 따른 홍수저감효과 분석)

  • Moon, Duk-Chul;Jung, Kwan-Sue;Park, Won-Bae;Koh, Gi-Won;Kim, Y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58-861
    • /
    • 2012
  • 2010년 태풍 '뎬무'가 제주지역에 내습했을 때, 한천 상 하류에 위치한 하천유출량 관측소의 자료와 저류지 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한천저류지 운영이 하류지역 홍수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하류지역에서의 실제 하천수위는 3.44m를 기록하였으나, 수위-유출량 관계식, 유출전파속도, 저류지 유입량를 활용하여 저류지가 운영되지 않았을 경우 하류지역 하천수위는 4.16m로 예측되어, 저류지 운영으로 하천유출수의 일부가 저류지로 유입됨으로써 하류지역의 하천수위를 0.72m 하강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Detention Pond Design in Small Urban Catchment (도시 소유역의 저류지 설계에 관한 최적 관리기술 연구)

  • Park, Woong-Seo;Jang, Suk-Hwan;Ryu, Keun-Joon;Shin, Cheol-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32-836
    • /
    • 2008
  • 우리나라는 하절기에 강우가 집중되고 있으며, 집중호우에 대한 도시 호우 피해사례가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도시지역의 홍수유출량 저감 방안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필요성이 절실한 상태이며,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상 유역에 BMP를 적용한 저류지를 설치하여 첨두유량과 첨두시간의 저감 및 지체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의 모형은 SWMM 5.0(Storm Water Management Model 5.0)을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으며, 강우자료는 건설교통부 관할 의정부관측소의 1975년에서 2004년까지의 시강우자료를 바탕으로 24시간 Huff분포형을 산정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대상 유역에 저류지 설치 전과 BMP가 적용된 저류지 설치 후, 그리고 BMP가 적용되지 않은 저류지 설치 후를 상호 비교하여 BMP저류지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Flow Improvement at a Channel Junction by Installation of Training Wall considering on Permeability (투수성을 고려한 도류제의 합류부 흐름 개선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Gye-Woon;Hwang, Young-Man;Chang, Yun-Gyu;Chae, Sin-A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59.2-59.2
    • /
    • 2010
  • 본 연구는 투수성을 고려한 도류제의 하천 합류부 흐름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도류제의 투수성 재료 사용 여부,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 변화, 도류제의 설치 길이변화를 주어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은 고정상 및 이동상 실험을 수행함으로 도류제 설치에 따른 수위, 유속, 하장변화를 관측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류제의 설치가 합류부 흐름의 수위를 크게 저감시키고, 유속을 증대시킴으로서 통수능 개선을 유도하여 합류부의 홍수피해위험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Flood Level Changes by Creating Nature-based Flood Buffering Section (자연성기반 홍수완충공간 조성에 따른 홍수위 변화 분석)

  • Ryu, Jiwon;Ji, Un;Kim, Sanghyeok;Jang, Eun-ky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735-747
    • /
    • 2023
  • In recent times, the sharp increase in extreme flood damages due to climate change has posed a challenge to effectively address flood-related issues solely relying on conventional flood management infrastructure. In response to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nature-based flood management approaches, specifically levee retreat and relocation. To achieve this, we utilized a 1D numerical model, HEC-RAS, to analyze the flood reduction effects concerning floodwater levels, flow velocities, and time-dependent responses to a 100-year frequency flood even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creating a flood buffer zone of the nature-based solution extend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reducing flood water levels by up to 30 cm. The selection of the flow roughness coefficient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based flood buffer space crea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based on precise criteria and scientific evidence because it is sensitive to the flood control effect analysis results. Notably, floodwater levels increased in some expanded floodplain sections, and the reduction in flow velocities varied depending on the ratio of the expanded cross-sectional area. In conclusion, levee retreat and floodplain expansion are viable nature-based alternatives for effective flood management. However, a comprehensive design approach is essential considering flood control effects, flow velocity reduction, and the timing of peak water levels. This study offers insights into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climate-induced extreme flooding and advancing flood management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