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위험관리

Search Result 23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patio-Temporal Summer Rainfall Pattern in 2020 from a Rainfall Frequency Perspective (2020년 여름철 강우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빈도해석을 중심으로)

  • Kim, Yong-Tak;Park, Moonhyung;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4
    • /
    • pp.93-104
    • /
    • 2020
  •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it in various ways. However,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is likely to accelerate further than we expected, and the associated damage is also likely to increase. This tendency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leading to difficulties for the existing wa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historical data. The precipitation in 2020 caused property damage and loss of life due to the extreme rainfall exceeding the design rainfall with the very unusual prolonged rainy days. With this 2020 flood, we should no longer be passive in managing flood risk due to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Estimation of future probabilistic precipitation in urban watersheds and river flooding simulation considering IPCC Sixth Assessment Report (AR6) (IPCC 6차 평가 보고서(AR6)를 고려한 도시 유역 확률 강우량 산정과 하천 침수 모의)

  • Jun Seo Yoon;Im Gook Jung;Da Hong Kim;Jae Pil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8-88
    • /
    • 2023
  • 지난 100년 동안 전 지구의 기상 이변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후 변화는 도시 홍수 피해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급속한 도시화와 이상 기후로 인한 돌발 강우 패턴의 증가는 도시 침수의 취약성을 가중시킨다. 또한 급격한 도시 발전으로 인한 도심지의 불투수율 또한 꾸준히 증가하였다. 특히 2022년 8월 8일에 강남역과 도림천 일대에 내린 기록적인 강우는 기후 변화를 실감하게 하는 사회적 이슈가 되었으며 도심지 미래 수방 대책 변화를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한 재해 피해에 최소화하기 위해 미래 기후 변화를 고려한 도심지의 새로운 방재 목표강우량 설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전 지구 모형(GCM)의 기후 변화 시나리오는 일 단위(Daily) 상세화 자료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단기 강우 자료를 필요로 하는 도시 홍수 모의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9년에 발간된 IPCC 6차 평가 보고서(AR6)가 제안하는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사회경제경로) 시나리오를 기반하여 상세화된 일 단위(Daily) 강우 데이터를 비모수적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시간 단위(Hourly)로 상세화하였다. 또한 지속 시간별 연 최대치 강우를 추출하여 빈도 해석을 통해 도시 유역의 미래 확률 강우량을 제시하였으며, 서울시 상습적인 침수 취약 지역인 도림천 유역에 강우-유출 모형(XP-SWMM)을 사용하여 미래전망 기후 자료인 SSP2-4.5와 SSP5-8.5에 따른 미래 확률 강우 침수 모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신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서울시 방재 성능 목표 강우량 산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미래 강우량 침수 모의를 통해 침수 취약 구역인 도림천 일대 홍수피해의 근거 자료가 되는 것에 의의를 둔다. 또한 치수 분야에서 기후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시간 단위 자료의 상세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Flood Modeling in the Donam Stream Using Rainfall-Runoff Model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한 도남천 지역 하천범람 모델링)

  • Lee, Dong Hyeok;Jun, Kye Won;Kim, Il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7-167
    • /
    • 2021
  • 2018년 재해연보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자연재해는 태풍과 호우에 의한 평균피해액이(301,680백만원) 전체 재해평균피해액(344,124백만원)의 87.6%로 나타났다. 이처럼 물 관련 재해가 다른 재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표적 원인은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달과 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및 지표면 유출량의 증가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하천범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할 치수계획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하천기본계획(2020.01)에 따르면 세종특별자치시의 금남면 도남리의 도남천지구는 제방고 및 여유고 부족과 인명 및 재산피해 우려 지역으로 하천재해 위험지구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남천지구에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여 빈도별 월류위치 파악과 하천범람지도를 작성하여 대피범위등 유역치수계획수립시 기초자료에 활용 되고자 한다. 강우분석을 위한 강우관측소 선정은 티센망 확인을 통하여 공주시(반포중) 강우관측소를 선정하였다. 강우분석은 자료기간이 짧은 강우관측소에서도 확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지역빈도해석을 하였으며 분석결과 적합한 확률분포형은 GEV인 것으로 나타났다. 빈도별 홍수량 산정을 위해 HEC-HMS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산정방법은 깅우-유출 관계 분석 방법에 의한 다양한 합성단위도 방법중 일관성과 객관성이 입증되어 온 Clark단위도 법을 사용하였다. 산정한 홍수량을 HEC-RAS모형에 적용하여 월류구간을 파악하였으며 월류위치 및 대피범위를 가시화 하기 위해 HEC-GeoRAS모형을 사용하여 빈도별 하천범람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도남천지구에 빈도별 하천범람지도를 작성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하천범람시 대피범위등 유역치수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freeboard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 여유고 평가에 관한 연구)

  • Choi, Ji-Hyeok;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4
    • /
    • pp.371-381
    • /
    • 2018
  • Domestic agricultural reservoir dam facilities are difficult to manage water resources because of the in summer rainfall increase due to aging and climate change, it is expected that the dam risk will be large due to the overflow. In this study, author selected study basin in order to evaluate hydrological safety of agricultural reservoir dam facilities. And calculated the probable rainfall, Present PMP, Future PMP considering climate change. Also, author carried quantitative analysis out for increasing rainfall due to climate change, analyze freeboard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 by calculate flood discharge, reservoir flood routing according to rainfall scenarios. As a result of evaluate hydrological safety of agricultural reservoir dam facilities using Future PMP considering climate change, Gosam, Kumkwang, Miho, Cheongcheon reservoir had the Highest Water Level over the design flood level, it is analyzed that it would be vulnerable to overflow risk.

Application of Empirical Life Loss method : Cheongju-si in Korea (경험적 인적피해 평가기법 적용 : 청주시를 대상으로)

  • Hong, Seung Jin;Kim, Gil Ho;Choi, Cheon Kyu;Kim, Kyu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6-186
    • /
    • 2019
  • 국내에서 자연재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홍수는 매년 반복되어 인명과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 중 인적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계획 및 정책수립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적용성 측면에서 미진한 부분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인적피해 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피해실적에 근거한 경험적 인적피해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해당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7년 청주시 호우피해를 기준으로 적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인적피해의 경우 인명과 이재민 피해를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인적피해를 위해 기본적으로 노출위험인구와 인적피해 발생확률을 기반으로 하였다. 노출위험인구의 경우 침수구역도와 집계구를 기준으로 계층화된 인구 인벤토리를 이용한 GIS 공간분석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그리고 인적피해 발생확률은 행정안전부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 내 피해이력, 재해연보 및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 제공받은 침수흔 적도를 토대로 침수등급과 인구계층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인적피해 평가 방법이 위험지구 결정, 자연재난 리스크 모델링, 방재사업 대안결정, 예산배분 등의 실무와 학술적 접근에 있어 활발히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pre-release discharge technology for response to flood on deteriorated reservoirs dealing with abnormal weather events (이상기후대비 노후저수지 홍수 대응을 위한 사전방류 기술개발 및 평가)

  • Moon, Soojin;Jeong, Changsam;Choi, Byounghan;Kim, Seungwook;Jang, Dae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1
    • /
    • pp.775-784
    • /
    • 2023
  •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extreme rainfall that exceeds the design frequency of man-made structures due to extreme weather,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afe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designed in the past. However, there are no local government-managed reservoirs (13,685) that can be discharged in an emergency, except for reservoirs over a certain siz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Korea Rural Affairs Corporation.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quickly deploy a mobile siphon to the site for preliminary discharge, and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a mobile siphon with a diameter of 200 mm, a minimum water level difference of 6 m, 420 (m2/h), and 10,000 (m2/day), which can perform both preliminary and emergency discharge functions, to the Yugum Reservoir in Gyeongju City. The test bed, Yugum Reservoir, is a facility that was completed in 1945 and has been in use for about 78 years. According to the hydrological stability analysis, the lowest height of the current dam crest section is 27.15 (EL.m), which is 0.29m lower than the reviewed flood level of 27.44 (EL.m), indicat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lunar flow through the embankment, and the headroom is insufficient by 1.72 m, so it was reviewed as not securing hydrological safety. The water level-volume curve was arbitrarily derived because it was difficult to clearly establish the water level-flow relationship curve of the reservoir since the water level-flow measurement was not carried out regularly, and based on the derived curve, the algorithm for operating small and medium-sized old reservoirs was developed to consider the pre-discharge time, the amount of spillway discharge, and to predict the reservoir lunar flow time according to the flood volume by frequency, thereby securing evacuation time in advance and reducing the risk of collapse. Based on one row of 200 mm diameter mobile siphons, the optimal pre-discharge time to secure evacuation time (about 1 hour) while maintaining 80% of the upper limit water level (about 30,000 m2) during a 30-year flood was analyzed to be 12 hours earlier. If the pre-discharge technology utilizing siphons for small and medium-sized old reservoirs and the algorithm for reservoir operation are implemented in advance in case of abnormal weather and the decision-making of managers is support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residents in the risk area of reservoir collapse, resolve the anxiety of resid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 system for evacuating residents, and reduce risk factors by providing risk avoidance measures in the event of a reservoir risk situation.

Flood Risk Assessment of Seoul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유역특성 기반의 서울시 침수위험성 분석)

  • Kim, Sung Eun;Kang, Won-Sam;Baek,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38
    • /
    • 2022
  •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는 기존 상습침수지역과 2010년, 2011년 집중호우로 발생한 침수피해를 바탕으로 34개의 침수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2011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사업비 1조 5,300억여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정비, 펌프장 신설 및 증설, 저류조 신설 등 배수능력을 확충하는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형 배수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극한홍수 발생위험과 기상예측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배수시설의 용량을 증설하는 집중형 우수배제체계 중심의 침수관리만으로는 안전한 침수대응이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침수대응 다각화를 위해 유역의 자연적, 사회환경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52개 지표를 선정하고 서울시를 소규모 유역 단위인 163개의 배수분구로 구분하여 지표별 공간적 분포와 특성 분석을 통해 각 배수분구를 유형화하고, 유형특성에 따른 침수취약성과 잠재적 침수발생 위험성을 분석하여 침수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각종 지표의 서울시 내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표별 공간적 분포 특성이 상이했으며, 지표별 최대/최소값의 차이가 수배에서 수백배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서울시 내외에 산포된 총 40개 기상청관측소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관련 지표들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강우량, 여름철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등에서 지역적으로 최대 수백 mm의 강우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특성에 따른 서울시 침수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침수발생 및 피해에 불리한 유역의 공간적 취약성이 높은 배수분구로는 봉천1, 송파, 길동, 미아, 상계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배수분구는 이문, 정릉, 제기1, 장안, 전농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과 침수피해에 불리한 공간적 취약성이 모두 높아 침수위험성이 큰 배수분구는 상계1, 미아, 장위, 창동1, 동선, 수유2, 방학, 길동, 월계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Soil Loss Risk based on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토양손실 위험성 평가)

  • Jeong, Won-Jun;Kwon, Yong-Sung;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4-338
    • /
    • 2011
  • 일반적으로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손실은 붕괴사면과 표면침식, 토사류 붕괴에 의한 운반, 하상의 침식등 자연적인 요인과 도로건설, 산림의 벌채, 단지개발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토양손실의 발생은 농업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목초지를 손상시키며,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홍수위 상승, 저수지의 저수용량 감소, 고탁수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우선 토양손실 발생의 위험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적절한 관리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 전체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토양손실 발생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중 도시화나 농경지 확장 등 인간의 인위적인 개발로 인해 쉽게 변경될 수 있는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토지이용도를 구성하고 있는 총 8가지의 토지이용항목 중 다른 항목들에 비해 분포면적이 매우 작은 녹지, 습지, 나지를 제외한 5가지의 항목(시가화, 논, 밭, 산림, 수역)의 분포면적을 통해 토지 이용특성에 따른 유사발생의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유역별 유사발생 위험순위를 평가하였다. 유사발생 위험순위 평가결과, 전체 낙동강유역내 유사발생 위험성이 높은 표준유역들로 구성되어있는 중권역은 내성천, 위천합류점, 합천댐유역, 안동댐유역으로 모두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내성천유역, 위천합류점 유역, 합천댐유역은 구성하고 있는 표준유역의 절반 이상이 높은 순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동댐유역은 구성하고 있는 소수의 표준유역이 유역내 최상위 순위를 차지하였다.

  • PDF

Estimating Geotechnical System Response Probability of Internal Erosion Risk in Fill Dam using Event Tree Analysis (사건수 분석 기법을 이용한 필댐의 내부 침식 위험도에 대한 지반공학적 시스템 응답 확률 산정)

  • Noh, Kyung-Lyun;Lim, Jeong-Yeul;Mok, Young-Jin;Jung, Young-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6
    • /
    • pp.1815-1829
    • /
    • 2014
  • Recently frequent collapse of old fill dams has taken place, which increases social awareness in the safety of the infrastructure. Fill dams in Korea has been incautiously regarded as safe once the fill dam is considered to have a full capacity to retain a conservative design flood determined by government authorities. However, developed foreign countries has been managing their fill dams by introducing systematic risk assessment techniqu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this study, the system response probabilities of the deteriorated old fill dams in Korea were systematically evalua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internal erosion toolbox based on the event tree analysis technique. The probability of the existence of flaw and the magnitude of the hydraulic gradient through a potential crack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geotechnical system response prob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the existence of flaw and the magnitude of the hydraulic gradient through a potential crack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geotechnical system response probability and the risk of the deteriorated fill dam can be quantitatively assessed.

Analysis of riverbank erosion risk for the Sesan and Srepok river basin in Vietnam using MIKE Hydro River (MIKE Hydro River를 활용한 베트남 Sesan 및 Srepok 강 유역 강둑 세굴 위험성 분석)

  • Kim, Jeongkon;Shin, Jae Sung;Noh, Jeong Su;Lee, Seong-Su;Lee, My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68-68
    • /
    • 2021
  • Sesan강과 Srepok강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가 공유하는 3S강 유역 (Sesan강, Srepok강, Sekong강)의 일부로 연구 및 관리된다. 3S강 유역은 Mekong강의 중요한 지류이며 Mekong강 유역의 상당 부분을 구성한다(Mekong강 유역 면적의 10%, 연간 총 유출량의 20%). 베트남 측 Sesan강 유역의 면적은 11,255km2이고 Srepok강 유역 면적은 18,162km2이다. Sesan강과 Srepok 강의 상류는 베트남 중부 고원의 긴 산맥에 위치하고 있다. Sesan강과 Srepok강 유역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가뭄, 어업 지속 가능성 감소, 퇴적 등 많은 문제와 도전에 직면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orld Bank의 "Viet Nam Mekong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M-IWRM) Project의 일환으로 베트남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구축한 수자원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인 "DSS-2S"를 활용하여, Sesan-Srepok강 유역의 강둑 침식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DSS-2S는 MIKE Hydro Basin을 기반으로 SWAT모델, 수리모델, 하상변동 모델, 및 수질모델 등과 연계 하여 구축되었다. 2030 년을 목표 연도로 설정하고, 기후 변화 시나리오와 사회 경제적 발전을 기반으로 DSS-2S에 포함되어 있는 유사 이송 및 수리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주요 하천 단면에서의 평균 유속과 하상 침식 양을 예측하였다. 유속 및 심부 침식 기준에 근거하여 강둑 침식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강둑 침식 위험이 있는 강 구간은 고(高)유속과 높은 침식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었다. 고위험 침식 예상지는 Sesan강 유역의 Dak Bla, Po Ko, 및 Se San강에 총 길이 73.5km에 걸쳐 발생 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침식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은 Dak Bla 강에 총 길이 2,286m, Po Ko 강에 총 길이 5,096m 정도가 발생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둑 세국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들을 고찰하였으며, 본 성과는 베트남 중앙 정부의 장기수 자원 종합계획 수립의 기본 자료로 활용 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