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홈 TV

Search Result 20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홈쇼핑 매체별 소비자 인식 비교

  • 천종숙;양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1a
    • /
    • pp.327-338
    • /
    • 1999
  • 본 연구는 카탈로그와 케이블 TV, 인터넷 홈쇼핑 정보전달 매체별로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기대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홈쇼핑의 정보전달 매체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20세 이상의 카탈로그 홈쇼핑사 회원 219명, 케이블 TV 홈쇼핑사 회원 213명, 네티즌 972명이었다. 매체별 이용자의 분포는 카탈로그와 케이블 TV 홈쇼핑의 경우 여성과 기혼자가 많았고 직업은 주부와 사무직이 많았다. 반면 인터넷 이용자는 남성과 미혼자가 많았고 직업은 사무직이 많았다. 학력은 세 매체 모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졸 이상으로 교육수준이 높았다. 설문조사 결과 의류 홈쇼핑에 대한 매체별 소비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1. 케이블 TV 홈쇼핑 이용자들은 케이블 TV를 통해 판매되는 의류제품이 디자인, 색상이 다양하며, 제품의 소재나 품질, 치수에 대한 정보도 충분하다고 느끼며 의류의 품질 신뢰도와 구매의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통신판매를 이용해서 의류를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집단은 구매를 경험하지 못한 집단보다 구매의사도 높으며 통신판매에 대한 신뢰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케이블 TV 홈쇼핑을 통해 의류제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집단이 의류제품 정보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감과 품질 신뢰성이 가장 높았다. 3. 매체와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케이블 TV를 이용하는 여성은 의류제품의 다양성, 충분한 제품정보, 품질의 신뢰성, 구매의사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케이블 TV를 이용하는 기혼자와 고소득자가 다른 집단보다 의류제품의 다양성, 제품정보와 품질 신뢰성, 구매의사에서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케이블 TV 홈쇼핑은 카탈로그와 인터넷에 비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품과 소개방식으로 의류를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의류제품 구매 경험이 있고 고소득층이며 기혼인 여성들을 만족시킬만한 다양한 상품을 구비하고 자세한 제품정보를 제공하며 품질에 대한 신뢰를 심어 주어 긍정적인 구매의사를 갖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TV 홈쇼핑을 통한 의류제품 구매시 소비자 관여에 따른 태도와 구매행동

  • 박미라;박재옥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74-75
    • /
    • 2003
  • 최근 케이블 TV의 보급, 인터넷의 보편화, 위성방송 등을 통한 DM(Direct Marketing)이 확대되면서 유통업계에서 무점포유통에 대한 시장가능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렇듯 무점포 유통 중 TV 홈쇼핑 시장은 점점 확대해가고 있으며, TV 홈쇼핑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도 많이 변해 가고 있다. 특히, 소비자 특성 중 소비자 관여도는 정보탐색이나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소비자 행동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관여도가 TV 홈쇼핑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중략)

  • PDF

Profiling American Television Home Shoppers (미국 소비자의 텔레비젼 홈쇼핑 행동에 관한 연구)

  • Lee,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4
    • /
    • pp.583-593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계속 확대되어가고 있는 미국 TV 홈쇼퍼에 대한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그들의 구매행동을 조사하여 TV 홈쇼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쇼핑이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둘째, TV shopping channel 에의 많은 노출은 TV 홈쇼핑의 유통 특성상 강박구매를 야기 시킬 경향이 높은 데 과연 TV shopping channel 노출과 강박구매와 관련이 있는 지, 그리고 TV 홈쇼퍼중 어느 정도의 강박구매자가 존재하는 지 조사하는 데 있다. 미국 전지역 51주에 걸쳐 회수된 설문지 결과, 일반적 마케팅 타겟에서 소외시되온 소비자집단, 예를 들면, 중년이나 노인 여성들, 몸이 비대한 여성들, 장애인등과 같은 다양한 집단들이 TV 홈쇼핑을 그들의 주요 쇼핑형태로 이용하였고, 특히, 대다수의 TV 홈쇼퍼들은 의류를 구매한 경험이 있었다. 또한, TV shopping media에 노출이 강박구매행동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이 연구의 TV 홈쇼퍼중 일반인에 비해 약 2배가량의 강박구매자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지향적 마케팅전략이 논의되어진다.

  • PDF

A Study on Relationship Factors of TV Home Shopping and Smart Media's Repurchase Intention : Focuing on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Bonding (TV홈쇼핑과 스마트 미디어 재구매 의도의 관계 요인 분석 연구 - 관계결속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Bog Joon;Jang, Seck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8
    • /
    • pp.127-14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factors and related ties on the repurchase intention of home shopping products and application home shopping through smart media using relation bonding according to the platform.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shopping and home shopping follow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brand equity by mediating or partially mediat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service quality factor and repurchase intention. At this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tying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home shopping platform, but the relation of the TV + application group to the use of TV home shopping has no mediating effect. Also, according to users' usual media usage habits, service quality factors for home shopping have different influence relations on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relationship binding.

A Study on the Interoperability of Home Healthcare System Based on Smart TV (스마트 TV 기반 홈 헬스케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에 관한 연구)

  • Lim, Ji-yong;Heo, Sung-Uk;Oh, Am-Suk;Jeon, J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313-314
    • /
    • 2015
  • 홈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다양한 개인건강기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적절하게 전송하는 시스템간의 통신과 인터페이스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개인 건강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한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서는 홈 헬스케어 의료기기와 홈 헬스케어 서버/게이트웨이 간의 ISO/IEEE 11073 표준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환경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Bluetooth HDP를 통해 개인 건강기기와의 IEEE 11073 표준 연결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Data Home Shopping and Traditional TV Home Shopping by Home Shopping Workers (홈쇼핑 종사자의 데이터홈쇼핑과 기존 TV홈쇼핑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 Jeon, Seong Ryul;Jang, Yong Su;Choi, Seong Jhi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5 no.2
    • /
    • pp.218-232
    • /
    • 2020
  • Data home shopping is a kind of T-commerce service with traditional TV home shopping, product DB of data broadcasting, and advantages of catalog shopping based on data broadcasting technology. Since the data home shopping service was partially started in 2012, there were no in-depth research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data home shopping. Therefore in this paper, the traditional TV home shopping and data home shopping is analyzed how the perception is in terms of platfor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content quality and w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is. To verify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V home shopping and data home shopping 140 workers who have good understanding of data home shopp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platfor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content quality between TV home shopping and data home shopping was significant and TV home shopping had better quality. In terms of platform quality, TV home shopping was 3.75 on a five-point scale and data home shopping was 2.93. Service qua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V home shopping (3.60) and data home shopping (3.25). For the quality of contents, TV home shopping had better quality as 3.21 while data home shopping was 2.82.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in gender, age, position, and work field except between the age and platform quality.

A Study on the Displacement of Mobile OTT Video Services on Home TV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홈 TV 시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Jooh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8
    • /
    • pp.434-445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obile OTT video service substitutes home TV by using 3 screen data of Nielson-KoreanClick. According to the 2SLS estimation results, when the time spent on mobile OTT video service increased by 1% p, the time spent watching home TV decreased by 12.4%.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1%p increase in the time spent using YouTube app and the mobile OTT video services provided by telecommunication company(Oksusu, Alleh TV, VideoPortal) reduced the time spent on watching terrestrial channels on TV by 16.2% and 23.9%, respectively. The displacement of mobile OTT video service on home TV will be accelerated in the near future.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of regulatory unfairness with pay TV services and to safeguard viewer's interests, discussions to establish regulation for OTT video services should be taken place more quickly.

An analysis of consumer choice between the Internet and TV home shopping channels (인터넷 및 TV 홈쇼핑 채널 간의 소비자 선호 결정 요인)

  • Lee, Gwang-Hoon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2 no.4
    • /
    • pp.27-47
    • /
    • 2007
  • Using survey data and the Heckit model that adequately controls the sample selection bias, we analyze shoppers expenditure through two major emerging shopping channels: Internet shopping and TV home shopping channels. Age, Internet experience, daily Internet usage, the number of computers are factors that affect the ratio of consumers' expenditure through Internet shopping relative to the expenditure through TV home shopping. Shopping frequency which represents the shoppers' incentives to reduce transaction costs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portion of shoppers' expenditure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Shoppers' perceptions of convenience, reliability, speed, and diversity are also shown to affect shoppers' relative expenditure ratio through Internet shopping. In contrast, shoppers' perception of prices does not seem to affect their purchasing behavior.

  • PDF

TV-Based Commerce Factors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Quality Attribute Analysis (TV 기반 상거래(TV Home-Shopping, T-Commerce)의 품질 속성 분석을 통한 소비자 만족도 증대요인 분석)

  • Park, Joonyong;Shin, Mins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1 no.2
    • /
    • pp.61-79
    • /
    • 2016
  • Recently,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s growing as a TV-based commerce market spread. However, in previous studies, many researchers studied TV home shopping and T-Commerce separately each other,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attribut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ttribute to increase satisfaction of consumer using TV-based commerce, and we propose to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We selected characteristics of TV home shopping and T-Commerc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satisfaction of customers with quality attributes of TV-based commerce using KANO model and ASC(Average Satisfaction Coefficient).

Implemenattion of Home Healthcare System Based on Bluetooth HDP Using Smart TV (스마트 TV를 활용한 Bluetooth HDP 기반의 홈 헬스케어 시스템의 구현)

  • Lim, Ji-yong;Heo, Sung-uk;Oh, Am-suk;Kim, Gwan-Hyung;Shin, D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88-90
    • /
    • 2014
  • 최근 스마트 TV가 방송과 통신을 결합하고 융합하여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헬스케어, 스마트 홈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보다 능동적인 매체로 부각되면서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헬스케어 서비스는 대부분의 개인건강기기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고 확인하기 위해서는 건강기기 제조사별로 존재하는 고유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하며 스마트 TV 환경에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TV의 특징을 고려한 통합 게이트웨이 및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 환경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Bluetooth HDP를 활용한 통합 게이트웨이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홈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