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홈 유비퀴터스 네트워크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 표준화 동향 및 발전 전망

  • 전호인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3
    • /
    • pp.13-40
    • /
    • 2004
  • 홈 네트워킹은 다양한 유ㆍ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적용하여 개개인의 생활을 더 윤택하게 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커다란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미래의 신 성장 동력 산업이다. 이를 위해 PLC, IEEE 1394, HomePNA와 같은 유선 홈 네트워킹 기술은 물론 WLAN, WPAN, UWB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킹 기술이 여러 가지의 응용 분야를 무기로 자신의 영역을 차지하려 하고 있다. 따라서 댁내의 기기는 이와 같은 네트워킹 기술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야 하지만, 그 위에 UPnP나 HAVi, Jini, HNCP 등과 같은 미들웨어가 탑재되어야 상호 호환성이 지원된다. 그리고 하나의 표준화된 H/W나 S/W 플랫폼 위에 혼 게이트웨이가 동작하면 집 외부에서 원격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되며 응용 분야가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그 위에 유비퀴터스 네트워킹 개념을 도입하여 홈 네트워크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커다란 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킹 기술의 표준화 현황에 대해 정리하고,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서의 홈 네트워킹을 위해 반드시 적용해야 할 유비퀴터스 네트워킹 개념과 이로부터 효과를 얻기 위해 집안에 홈 네트워크를 어떻게 수용하게 할 것인지에 대해 논하였다. 끝으로 유비퀴터스 네트리킹을 통한 막대한 시장을 먼저 확보하기 위한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의 아키텍처를 정하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수행해야 할 Mesh Networking 기술 및 Multi-Hop 네트워킹 기술과 같은 연구분야에 대해 논하였다.(중략)

Demand Analysis of the Home Ubiquitous Network Services Using Conjoint Method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이용한 홈 유비퀴터스 네트워크 서비스의 수요 분석)

  • 이종수;안지운;이정동;신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1-114
    • /
    • 2003
  • 홈 유비퀴터스 네트워크란 PC, 휴대 전화, 디지털TV, 냉장고, 에어컨,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게임기 등 가정 내의 정보기기들 사이에 통합된 네트워크를 형성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능케 한 요인은 기술적 측면에서 가전기기의 디지털화 및 초고속망의 보급, 수요측면에서 가전기기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 공급측면으로 포화된 정보통신기기 시장에서 새로운 수요창출이 필요한 환경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정보통신산업은 지금까지 구축된 정보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새롭게 등장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정보통신기술을 가전기기에 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정보통신산업은 물론, 기존의 백색가전 산업까지 포괄하여 관련 산업의 전후방 효과가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한 핵심 속성을 분석하고, 핵심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하는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홈 네트워크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지 않아 현시선호(revealed preference) 자료의 구득이 불가능하므로, 소비자에게 향후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 특성을 지닌 가상적인 제품 조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소비자가 실제 시장에서와 같은 구매행위를 가정하도록 한 후, 각 제품 조합에 대한 선호 순위를 매기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진술선호(stated preference)를 측정하는 컨조인트(conjoint)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각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구조를 파악하고 지불의 사액(Willingness To Pay, WTP)을 분석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전개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관련시장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사육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사육 5일 이후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15일에는 76.40±0.14, 75.62±0.98%의 수분함량을 2회와 1회 운동시킨 참돔의 육에서 각각 나타났다. 운동횟수에 따른 지질함량은 2회 운동시킨 참돔은 5.83±2.08, 1회 운동시킨 참돔은 6.72

  • PDF

Mobile Home Network Service (모바일 홈 네트워크 서비스)

  • Shin Yong-Sik;Lee Jung-Su;Park Yong-Gil;Jung Won-Suk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329-33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통합 및 유비퀴터스(Ubiquitous) 환경의 실현을 위한 첫 단계 서비스라 할 수 있는 모발일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살펴본다. 따라서 모바일 홈 네트워크(mobile Home Network, mHN) 서비스의 개념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는 가치사슬, 서비스 모델 및 필요기술 등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모델을 크게 P2P, Semi P2P, 통합형 (Hub & Spoke)으로 구분하여 각 모델의 특징을 살펴본다. 특히, 통합형 모델을 위한 서버의 서비스, 제어 및 관리 기능과 관련 노드들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댁내와 댁내의 연결 노드인 홈 게이트웨이의 구조 및 기능 들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모바일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예를 제시한다.

  • PDF

Observation Control System using Video Streaming for Home Service (홈 서비스를 위한 영상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감시 및 제어 시스템)

  • Sung Kyung-Sang;Kim Hyun-Chul;Kim Gye-Hong;Oh Ha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195-19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유비퀴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인 멀티미디어를 바탕으로 하는 단일화 된 어플리케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우리는 개발되어진 어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해 유비퀴터스 네트워크가 가능한 ubihome을 구성하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우리의 실생활에 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확장할 수 있다는 신뢰성을 주는데 무리가 없었다. 이것은 디바이스에 대한 독립적 신뢰성을 부여하여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는 보여주기도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원격지에서도 실시간 시스템을 통하여 위험한 지역에 있어서의 제어 및 감시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산업에 적용하여 산업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mand Analysis of the home ubiquitous network services using conjoint method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이용한 홈 유비퀴터스 네트워크 서비스의 수요 분석)

  • Lee, Jong-Su;Ahn, Ji-Woon;Lee, Jeong-Dong;Shin, Hye-Yo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7 no.1
    • /
    • pp.89-110
    • /
    • 2004
  • Home networks consist of two or more home appliances or communication devices enabling the mutu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applian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refrigerators, phones, television sets, 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 etc. There are three factors that create demand for the home network services. The first factor is development of technology. Second, on the demand side, consumer demand for the home appliances having access to the Internet is in the increase. Finally, producers need a strategy to deal with the problem of market saturation. Home networks are emerging markets. They are unique in that they unite information technologies with home appliances that provide new servic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main attributes of home network services and analyze consumers' preferences for them. However, it is not quite possible to use the revealed preference approach since the home network market is still at an incipient stage. We therefore use the conjoint analysis method using stated preference data. conjoint analysis has been widely use in the area of marketing for evaluating consumer preferences for new products and services. it presents a hypothetical product to the respondents along with the product's attributes and their levels. The respondents are asked to either rank each alternative or choose between several hypothetical products. By estimating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the attributes of the home network services and analyzing consumers' preferences, we predict the pattern of the development of the home network services and related technologies along various quality dimensions.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we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national- and company-level strate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