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홈쇼핑 자체상표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Study on Purchase Determination Variables of Home-shopping Private Brand Apparel (홈쇼핑 자체상표 의류제품 구매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최미영;이은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6
    • /
    • pp.734-745
    • /
    • 2004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sumer's purchase behaviors on the home-shopping private brand apparel. Female consumers of age in the range of 20∼50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o had experienced to search apparel on home shopping media or had purchased it from home shopping business. Through this empirical study, the importance of home-shopping private brand apparel is confirmed. And the model of home-shopping private brand purchase determination, consists of private brand purchase intention, brand evaluation and company patronage, is suggested focusing on two brand types and three different home shopping media.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Duncan-test of SPSS Win(ver.10.0). The result genera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red private brand types according to the types of media they preferred to purchase. Consumers's sex and age are also important demographic variables in relation to purchase determination variables of home-shopping private brand apparel. Second, the home-shopping company patronage is directly influenced i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home-shopping private brand apparel as well as the consumer's brand evaluation. Consequently, the company patronage is more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of home shopping private brand apparel.

A Study on the Equity Formation of Apparel Private Brand with TV Home-shopping (TV 홈쇼핑 의류 자체상표의 자산형성 연구)

  • Ryou, Eun-Jeong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7 no.2
    • /
    • pp.330-34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quity formation of private apparel brand according the service quality of TV home-shopping.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r the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383 female adults in Seoul and the Kyongnam province, Korea.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the forms of frequenc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of SPSS WIN 14.0. The findings throughout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underwear sets and single item apparel sets with private brand had been well sold at better price. Second, the service quality of TV home shopping was perceived as the four factors of safety, contents, informative faculty and reliability. The reliability and contents factors had higher effects on the equity formation of private apparel brand. Third, the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brand recognition as the cognitive dimension had influenced on the hedonic and utilitarian attitudes. The hedonic attitude and perceived quality had a great deal influence on the purchasing intend as the last behavior dimension.

  • PDF

카탈로그에서 활용되는 희소성 메시지의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 Kim, Jin-Byeong;Do, Seong-Si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195-213
    • /
    • 1999
  • 정보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소비자들의 편리함에 대한 욕구의 증가로 최근 홈쇼핑은 새로운 유통환경을 창조하며 기업의 마케팅 활동과 소비자의 소비 구매 행태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는 쌍방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전형적인 직접마케팅 형태 중 하나로 일반 유통 구조와는 색다른 촉진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홈쇼핑의 대표적인 촉진기법 중 하나인 희소성 메시지의 광고효과를 살펴보는 바, 각각의 고/저관여 제품에 있어 두 유형의 희소성 메세지(주문 가능한 제품의 수량을 제한하는 주장, 제품의 주문 가능한 시간을 제한하는 주장)와 희소성 메세지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 사이에 광고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함으로 희소성 메시지의 광고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카탈로그를 통한 실험 연구 결과, 저관여제품이나 고관여제품 모두에서 시간을 한정하거나 수량을 한정하는 희소성 메세지와 비희소성 메세지간에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태도나 광고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지 시간을 한정하는 희소성 메시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그 차이 역시 미미하였다. 이로써 카탈로그에서는 고관여제품, 저관여제품 모두에서 희소성 메세지의 광고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카탈로그에서 희소성 메시지는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칠만한 광고효과를 창출하지 못하므로 광고 효과를 강화시키는데는 적합한 수단이라고 볼 수 없으며, 희소성 메세지를 활용하는 것은 무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저관여제품에서 희소성 메시지의 효과가 입증되지 못한 이유는 실험 매체로 이용한 카탈로그 자체가 Krugman(1965)이 주장한 저관여 정보처리 과정을 거치는 저관여 매체이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그리고 고관여 제품의 경우 시간을 한정하거나 수량을 한정하는 희소성 메시지의 비효과성이 입증된 것은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에서 주장되는 연구와 일치함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