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홀 필링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SV filling with molten solder (용융솔더를 이용한 TSV 필링 연구)

  • Ko, Young-Ki;Yoo, Se-Hoon;Lee, Chang-Woo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75-75
    • /
    • 2010
  • 3D 패키징 기술은 전기소자의 소형화, 고용량화, 저전력화, 높은 신뢰성등의 요구와 함께 그 중요성이 대두대고 있다. 이러한 3D 패키징의 연결방법은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칩등의 기존의 방법에서 TSV(Through Silicon Via)를 이용하여 적층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TSV는 기존의 와이어 본딩과 비교하여 고집적도, 빠른 신호전달, 낮은 전력소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SV의 세부 공정 중 비아필링(Via filling)기술은 I/O수 증가와 미세피치화에 따른 비아(Via) 직경의 감소 및 종횡비(Via Aspect Ratio)증가로 인해 기존 필링 공정으로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비아 홀(Via hole)에 금속을 필링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기도금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도금법은 전기도금액 조성, 첨가제의 종류, 전류밀도, 전류모드 등에 따라 결과물에 큰 차이가 발생되어, 최적공정조건의 도출이 어렵다. 또한 20um이하의 비아직경과 높은 종횡비로 인하여 충진시 void형성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용융솔더와 진공을 이용하여 비아를 필링시켰다. 이 방법은 관통된 비아가 형성된 웨이퍼 양단에 압력차를 주어, 작은 직경을 갖는 비아 홀의 표면장력을 극복하고, 용융상태의 솔더가 관통된 비아 홀 내부로 필링되는 방법이다. 관통 비아홀이 형성 된 웨이퍼 위에 솔더페이스트를 $250^{\circ}C$이상 온도를 가해 용융상태로 만든 후 웨이퍼 하부에 진공을 형성하여 필링하는 방법과 용융솔더를 노즐을 통하여 위쪽으로 유동시켜 그 위에 비아홀이 형성된 웨이퍼를 접촉하고 웨이퍼 상부에 진공을 형성하여 필링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각각 실시하였다. 이 때, 웨이퍼 두께는 100um이하이며 홀 직경은 20, 30um, 웨이퍼 상부와 하부의 진공차는 약 0.02~0.08Mpa, 진공 유지시간은 1~3s로 실시하여 최적 조건을 고찰하였다. 각 조건에 따른 필링 후 단면을 전자현미경(FE-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0.04Mpa 이상에서 1s내의 시간에 모든 비아홀이 기공(Void)없이 완벽하게 필링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 결과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공정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성이 대폭 향상 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 PDF

Hole-Filling Method for Depth-Image-Based Rendering for which Modified-Patch Matching is Used (개선된 패치 매칭을 이용한 깊이 영상 기반 렌더링의 홀 채움 방법)

  • Cho, Jea-Hyung;Song, Wonseok;Choi, Hyuk
    • Journal of KIISE
    • /
    • v.44 no.2
    • /
    • pp.186-194
    • /
    • 2017
  • Depth-image-based rendering is a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3D-display systems. It generates the images that have been captured from virtual viewpoints by using a depth map. However, disoccluded hole-filling problems remain a challenging issue, as a newly exposed area appears in the virtual view. Image inpainting is a popular approach for the filling of the hole region. This paper presents a robust hole-filling method that reduces the error and generates a high quality-virtual view. First, the adaptive-patch size is decided using the color and depth information. Also, a partial filling method for which the patch similarity is used is proposed. These efforts reduce the error occurrence and the propagation.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ynthesizes the virtual view with a higher visual comfort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s.

Stereo Image Retargeting Considering Stereo Consistency (스테레오 일관성을 고려한 입체 영상 리타겟팅)

  • Yoon, Yeo-Jin;Shin, Il-Kyu;Choi, S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442-44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head-tracked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리타겟팅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카메라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시점에 맞는 스테레오 영상을 제공한다. 특히 중간 시점 영상 생성 시 발생하는 비폐색 영역에 대해 스테레오 일관성을 고려한 홀 필링(hole filling)을 적용하여 보다 편안하고, 개인별로 최적화 된 입체감 및 깊이감을 제공하도록 한다.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3차원 그래픽 모델을 이용해 결과 영상을 비교하였으며,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리타겟팅 된 스테레오 영상이 사용자가 입체영상을 인지하는데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Intermediate Depth Image Generation using Disparity Increment of Stereo Depth Images (스테레오 깊이영상의 변위증분을 이용한 중간시점 깊이영상 생성)

  • Koo, Ja-Myung;Seo, Young-Ho;Choi, Hyun-Jun;Yoo, Ji-Sang;Kim, Dong-Wook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7 no.2
    • /
    • pp.363-373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generate a depth image at an arbitrary intermediate view-point, which is targeting a video service for free-view, auto-stereoscopy, holography, etc. It assumes that the leftmost and the rightmost depth images are given and they both have been camera-calibrated and image-rectified. This method calculates and uses a disparity increment per depth value. In this paper, it is obtained by stereo matching for the given two depth image by considering more general cases. The disparity increment is used to find the location in the intermediate view-point depth image (IVPD) for each depth in the given images. Thus, this paper finds two IVPDs, from left image and from right image. Noises are removed and holes are filled in each IVPDs and the two results are combined to get the final IVPD. The proposed method was implemented and applied to several test sequenc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the generated IVPD corresponds to 33.84dB of PSNR in average and it takes about 1 second to generate a HD IVPD. We evaluate that this image quality is quite good by considering the low correspondency among the left images, intermediate images, and the right images in the test sequences. If the execution speed is improved, the proposed method can be a very useful method to generate an IVPD at an arbitrary view-point, we believe.

Fast Generation of Intermediate View Image Using GPGPU-Based Disparity Increment Method (GPGPU 기반의 변위증분 방법을 이용한 중간시점 고속 생성)

  • Koo, Ja-Myung;Seo, Young-Ho;Kim, D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8
    • /
    • pp.1908-1918
    • /
    • 2013
  • Free-view, auto-stereoscopic video service is a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system which offers a three-dimensional video, images of the various point are needed.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parallelizes the algorithm for arbitrary intermediate view-point image fast generation and make it faster using General Propose Graphic Processing Unit(GPGPU) with help of the 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CUDA). It uses a parallelized stereo-matching method between the leftmost and the rightmost depth images to obtain disparity information and It use data calculated disparity increment per depth value. The disparity increment is used to find the location in the intermediate view-point image for each depth in the given images. Then, It is eliminate to disocclusions complement each other and remaining holes are filled image using hole-filling method and to get the final intermediate view-point image. The proposed method was implemented and applied to several test sequenc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the generated intermediate view-point image corresponds to 30.47dB of PSNR in average and it takes about 38 frames per second to generate a Full HD intermediate view-point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