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홀드백 기간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디지털케이블TV에서 영화의 선행창구 성과, 장르, 홀드백 기간이 영화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mber of Running Screens and Viewers in the Theaters, Genres, Holdback Period on the Number of Purchases of Movie VOD in the Digital Cable TV Subscribers)

  • 박선규;최성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50-962
    • /
    • 2015
  • 본 논문은 디지털케이블TV에서 2013년 3분기동안 편성한 169편의 유료영화 VOD를 대상으로, 영화의 선행창구성과인 누적관객수, 스크린 수, 그리고 장르와 홀드백 기간이 영화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편당 VOD 평균 구매건수는 2,540건으로 나타났고, 회귀분석 결과 선행창구성과인 스크린 수와 홀드백 기간이 영화 VOD 구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누적관객 수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장르별로 보면 SF/판타지 8,401건>드라마 4,011건>코미디 2,011건>액션 1,798건>애니메이션 1,138건>애정/멜로 1,119건>공포/스릴러 770건>에로 636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VOD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터넷 VOD극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Internet VOD Movies)

  • 황준석;이준기;이재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21-229
    • /
    • 2009
  • 인터넷과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영화 유통의 창구도 다양화 되고 있으며, 인터넷 VOD 극장은 저렴한 가격과 인터넷이라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성이 없는 특징을 통해 새로운 영화 창구로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VOD 극장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기술수용이론의 지각된 유용성과 몰입이론의 변수 그리고 인터넷 VOD 극장에서 제공하는 영화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흘드백 기간에 대한 민감도와 인터넷 VOD 극장에서 제공되는 영화 장르 선택의 다양성이 소비자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 오프라인 영화관 및 다른 영화매체와의 경쟁 속에서 새로운 유통 창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터넷 VOD 극장의 매체적인 특성을 찾고, 인터넷 VOD 극장 이용자의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인터넷 VOD 극장 수익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다.

국내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창구화 메커니즘 분석 (Mechanism of Windowing of Domestic Free TV Programs)

  • 이문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90-197
    • /
    • 2009
  • 국내 지상파 방송사들은 제작사이면서 동시에 플랫폼이라는 특성 때문에 1차 창구로서의 광고 수익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자사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와 계열 케이블 채널, 그리고 지상파 DMB 수익도 확보해야한다는 당면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선행 창구인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 수익이 감소하면서 후속 창구 유통에 대한 회의론까지 일고 있다. 이에 따라 선행 창구와 후속 창구간의 홀드백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유통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창구화(windowing) 전략이 절실한 시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창구화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쟁점이 되는 이슈들과 함께 적절한 창구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상파 방송 콘텐츠는 대개 1주일이내에 동시 다발적으로 유통되는 것으로 나타나 배급 주기가 매우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창구화 전략으로는 창구 다각화를 통해 누적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안과 함께 배급의 순차보다는 개별 창구의 수익성 규모에 중점을 두고 특정 창구로 유통을 집중화시키는 전략이 있다. 방송 콘텐츠의 속성상 생명주기가 짧고, 창구별 배급 기간 중복율도 높기 때문에 방송 콘텐츠를 대상으로 일관된 창구화 전략을 실현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개별 콘텐츠와 각 창구의 특성이 고려된 적절한 창구화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