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종(混種)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4초

문학과 드라마의 통섭 양상 연구 -<쓸쓸하고 찬란하신(神) 도깨비>, <신사의 품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operative Patterns of Literature and Drama -Focused on , )

  • 손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7-43
    • /
    • 2019
  • 2000년대 이후의 한국 드라마는 새로운 서사적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한국 드라마에는 다양한 양태의 혼종과 혼합, 그리고 변형의 시도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2010년대애 대중적으로 성공한 드라마를 통해 문학과 드라마의 통섭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김은숙 작가의 <쓸쓸하고 찬란하신(神) 도깨비>와 <신사의 품격>을 통해 드라마 내에서 문학 텍스트가 어떻게 활용되며, 이로써 어떠한 서사적, 영상적 효과를 얻어내는가를 세밀히 검토한다. 이 두 편의 드라마는 한국 내에서 대중적으로 성공한 드라마일 뿐만 아니라, 문학 텍스트를 드라마 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문학과 드라마 통섭을 해석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는 문학이 드라마와 통섭하는 주요한 장면을 해석하고, 그 의의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이 연구를 통해 드라마라는 영상 텍스트가 문자 텍스트의 한 부분을 차용하고, 그 물질성으로서의 '책'을 활용함으로써 스토리텔링의 효과를 얻어내는 과정을 해석한다. 이로써 다양한 장르가 하나의 영상 텍스트 내에 혼합되고 병치되는 양상과 그 효과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성건강 간호 장애의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Barriers to Sexual Health Nursing Care)

  • 한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57-369
    • /
    • 2020
  • 본 연구는 성건강 간호 장애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은 혼종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은 4명의 대상자와 성건강 간호 장애와 관련된 문헌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 성건강 간호 장애는 5개의 차원과 6개의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성건강 간호 장애의 정의는 성건강 간호요구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으나, 성과 관련한 접근의 어려움, 편견, 고정관념,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성관련 지식 부족으로 대상자들에게 전문적인 성건강 교육 및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성건강 간호 장애를 줄이기 위한 전략수립을 위하여 성건강 간호장애를 평가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성건강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성건강 간호 장애를 줄이기 위한 선행 과제로 성건강 간호 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성건강 간호 장애를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혼종화 시대의 인종화 프로세스-이창래의 『비상』을 중심으로 (The Process of Racialization in the Hybrid Age-focusing on Chang Rae Lee's Aloft)

  • 이선주
    • 영미문화
    • /
    • 제14권1호
    • /
    • pp.141-167
    • /
    • 2014
  • The macro structural perspective of how race was formed nation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has greatly contributed in revealing the ills of racialism until now, likewise, the dichotomous form of Asian-American literature corresponding to such perspective has made great contribution in awakening people's awareness of race. While acknowledging the contribution of such macro perspectives, we must take note that today's racialism is becoming materialized in different aspects. The tendency of present racial formation is that the recognition of race is spread out lightly but widely in everyday lives and is revealed through the perception of our body. While publicly stating that society is color-blind and inequality significantly resolved, racialism emerges in the personal and everyday aspects. Not erased but diluted and spread out more widely, and the more diluted, harder to erase, racialism has penetrated into the perception of our lives. Racialism works not as a conspicuous discrimination but as a common sense that is 'naturally' absorbed into our perception and perspective. Chang Rae Lee's Aloft shows the process of such racial formation in our age of hybridization. This study tries to clarify why present racial formation must be analyzed in the macro perceptual perspective and show how the racial perception in the narrative of the white dominant narrator, Jerry, becomes the field where he lives and how it is spread through his perception. Through the theories of Judith Butler and Linda M. Alcoff, this study analyzes how people are got to self-identification with the racialization through reiteration and what the relationship is between racial formation and the subject's performativity in Aloft. The study concludes that revealing such current processes of racial formation perceptively is not thinking it 'natural' and inevitable but the process of bringing about a change in it.

아프리카계 미국 작가 - 강요된 이민자 의식/ 파편적 토박이 의식 (Afro-American Writer: Forced Immigrant/Fragmentary Native Consciousness)

  • 장정훈
    • 영어영문학
    • /
    • 제54권1호
    • /
    • pp.77-105
    • /
    • 2008
  • Even though Paule Marshall and Ishmael Reed have differences of gender, generation, and literary techniques, they share common points in dealing with cultural conflicts and racial discri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as Afro-American Writers. As black minority writers, Marshall and Reed write out of a perspective of forced immigrant/fragmentary native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otagonist's reaction to racial prejudice,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attempts to reconcile and to coexist with other races and their culture in these writers' representative works. Marshall's uniqueness as a contemporary black female artist stems from her ability to write from the three levels, that is, African American and Caribbean black. So, Marshall's Brown Girl, Brownstones represents an attempt to identify, analyze, and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cultural loss/displacement and cultural domination/hegemony. Reed's Japanes by Spring offers a blistering attack upon the various cultural and racial factions of the academy and the bankrupt value systems in America. Reed's depiction of Jack London College's existing racial problems-later compounded by the cultural dilemmas that accompany the Japanese occupation of the institution-reveals his interest in highlighting the ways in which any monoculturalist ideology ultimately results in racist and culturally exclusive policies. Marshall's and Reed's novels provide opportunities for reader to explore various manifestations of intercultual and interethnic dynamics. They present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different race and ethnic cultures through asserting a cultural hybridity and multiculturalism.

치매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만족감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Caregiving Satisfaction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 최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06-517
    • /
    • 2022
  • 본 연구는 치매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만족감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혼종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론적 고찰과 7명의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현장조사 결과는 최종 단계에서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돌봄만족감은 3개의 차원과 7개의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돌봄만족감의 정의는 가족돌봄자가 경험하는 돌봄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으로서, 관계 차원에서 돌봄의 의무 실천과 상호호혜적 관계로 여기고, 환자와 가족간 관계에서 유대감 강화, 역할수행 차원에서는 성취감, 정서적 보상감,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역할 의미 차원에서 긍정적 의미부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한국의 치매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만족감 측정도구와 돌봄만족감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혼종모형을 이용한 신규간호사 임상간호교육의 질에 대한 개념분석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ew graduate nurses: A concept analysis with a hybrid model)

  • 최희화;신수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40
    • /
    • 2023
  • Purpos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attributes of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ew graduate nurses.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hybrid model introduced by Schwartz-Barcott and Kim. In the theoretical stage, the meaning and attributes of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ew graduate nurses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eight articles. In the fieldwork stag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ive new graduate nurses and seven experienced nur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developed by Elo and Kyngӓs. In the final analysis, a final result was arrived at comparing, contrasting, and integrating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s derived in the theoretical and field-work stages. Results: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ew graduate nurses was identified as excellence or the standard of education for new graduate nurses that would support them in adapting to clinical settings and transitioning to professional nurses. The attributes of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were founded to possess three dimensions, six categories, and 18 attributes. The multidimensional attributes of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ew graduate nurses were confirmed as education resources, design, method, content, evaluation, interaction, and outcome under the three dimensions of input, process, and output. Conclusion: The concept and nature of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observ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the future development,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ew graduate nurses in healthcare organizations.

K-콘텐츠 <이태원클라쓰>의 스토리텔링과 상호문화주의 (Storytelling of K-content <Itaewon Class> and Interculturalism)

  • 김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135-140
    • /
    • 2023
  • 문화의 혼종화가 이루어진 글로벌 환경에서 보편적인 가치와 공감대 형성이 콘텐츠 흥행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타문화와 상호대화적인 관점은 K-컬처 담론에서 유의미한 지점이 있다. 드라마 <이태원클라쓰>는 기존 질서를 뒤엎는 새로운 가치의 승리라는 컨셉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큰 흥행을 이끌어내었다. 스토리텔링 구조를 분석해보면 이태원이라는 상징적 공간을 통해 다문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캐릭터를 통해서도 여러 기준에서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내포하는 인물들을 재현시키고 있다. 또한 다양한 가치관을 가진 캐릭터들이 문화 간 대화의 양상을 통해 상호문화적 가치를 실현하는 서사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컨셉은 K 컬처의 오늘을 보여주는 동시에 세계인들에게 보편적으로 호응받을 만하다. 개별 콘텐츠를 넘어 상호문화주의가 K 컬쳐 담론으로 확장된다면 오늘날 다문화 환경에서 조화로운 사회를 구축하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한류의 방향성을 모색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 본다.

클라우디오 마그리스의 『다뉴브강』에 나타난 다뉴브강 중부유럽의 탈경계적인 정체성과 혼종성 (L'identità e l'ibridità oltre il confine della Mitteleuropa danubiana in Danubio di Claudio Magris)

  • 이승수
    • 이탈리아어문학
    • /
    • 제36호
    • /
    • pp.73-97
    • /
    • 2012
  • Danubio è un 'diario di viaggio' dalle sorgenti del fiume fino al Mare Nero, attraverso città importantissime o paesi, ampi paesaggi, popoli, costumi, letterature e lingue diverse. Un itinerario fra romanzo e saggio che racconta la cultura come esperienza esistenziale e ricostruisce a mosaico le civiltà di Mitteleuropa rintracciandone il profilo nei segni della grande storia e nelle effimere tracce della vita quotidiana. L'idea di Mitteleuropa nasce a meta dell'Ottocento per indicare un spazio politico e soprattutto economico egemonizzato dai tedeschi e dagli ungheresi, che piu tardi diventa il simbolo di programmi nazionalisti tedeschi e che poi diventa una dimensione sovranazionale, qualcoca di comune e sottostante a tutte le diverse nazionalità e culture di tante realtà diverse. La Mitteleuropa 'hinternazionale', oggi idealizzata quale armonia di popoli diversi, è stata una realtà dell'impero absburgico, nella sua ultima stagione, una tolleranzte convivenza comprensibiilmente rimpianta dopo la sua fine, anche per il confronto con la barbarie totalitaria che le è succeduta, fra le due guerre mondiali, nello spazio danubiano. L'arte absburgica di governo non vuole imporre una rigida unità ai vari popoli, bensi lasciarli sussistere e convivere nella loro eterogeneità. Secondo Claudio Magris, il Danubio è il simbolo della frontiera, perché il Danubio è un fiume che passa attraverso tante frontiere, è quindi simbolo della necessità e della difficoltà di attraversare frontiere, non soltanto nazionali, politiche, sociali, ma anche psicologiche, culturali, religiose. La nostra identità è sempre fragile e noi dobbiamo accettare questa fragilità, poiché mutiamo nel tempo. L'identità fatta di mescolanze, di sottrazioni e di elisioni non fosse soltanto il destino degli epigoni danubiani, bensì una condizione storica generale, l'esistenza di ogni individuo. Magris dice che siccome nessun popolo, nessuna cultra come nessun individuo sono privi di colpe storiche, rendersi impietosamente conto dei difetti e delle oscurità di tutti, e di se stessi, può essere una proficua premessa di convivenza civile e tollerante. Magris dice che la letteratura è di perse stessa una frontiera, una soglia, una zona sul limitare e insegna a varcare i limiti, ma consiste nel tracciare dei limiti, senza i quali non puo esistere e nemmeno la tensione a superarli per raggiungere qualcosa di piu alto e di piú umano.

인종적 타자의 매혹 -로런스의 『께짤코아틀』에 그려진 인종과 성 (The Lure of the Racial Other: Race and Sexuality in D. H. Lawrence's Quetzalcoatl)

  • 김성호
    • 영어영문학
    • /
    • 제55권4호
    • /
    • pp.693-718
    • /
    • 2009
  • Kate Burns, a disillusioned Irish woman in Quetzalcoatl, has alternating feelings of fear, repulsion, oppression, compassion, and fascination vis-à-vis Mexican people. Together, these feelings are constitutive of a psychic process in which an imaginary appropriation of the other takes place. In this process white subjectivity represents or reconstructs the dark race precisely as its other. At the same time, Kate's feelings register her anxious recognition of the resistant, unappropriated being of the dark people: their true 'otherness,' or what Žižek calls "the excess of existence over representation." The otherness, frequently racial and sexual, evokes mixed feelings in the white subject. Kate's at once amorous and aggressive response to Ramón's body provides a case in point. Kate's emotional undulation is considerably mitigated in The Plumed Serpent, the revised version of the novel in which the theme of 'blood-mixing' is pushed to the ultimate point. Yet the interracial marriage resolves neither the racial nor the ontologico-sexual issues raised in the first version. Kate is still attracted to Ramón in his sagacious sensuality but goes on to get married to Cipriano, a pure Indian, only to find his mechanical masculinity ever unpalatable. This shows, not just Lawrence's wilful commitment to the 'blood-mixing' theme, but perhaps his lingering taboo against miscegenation as well. Changes in the plot entail those in the narrative voice. In Quetzalcoatl, Owen, a spectatorial and gossipy character, frequently competes for narration with the fully participant third-person narrator. In The Plumed Serpent, the third-person narrator becomes predominant, now attempting with greater confidence to present the reality of the racial other immediately to European readership. While such immediacy is illusional, narrative insistence on it implies a struggle to displace racial stereotypes and offer an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the other.

문화 간 갈등해소를 위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t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for Intercultural Conflict Resolution)

  • 김진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2권
    • /
    • pp.257-283
    • /
    • 2020
  • 세계화로 대변되는 현대사회는 이동성, 혼종성, 그리고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지구적 현상을 보인다. 최근 보고된 유엔 통계자료에 의하면 국제이주, 즉 자신이 태어난 본국을 떠나 다른 나라에서 살고 있는 수가 2억 5천 8백만 명이 넘는다. 이 수치는 자신의 문화로부터 다양한 문화적 상황 속으로의 이동량이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이질적 문화와의 만남 속에 인간은 다양하고 풍성한 삶의 양식들을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높은 삶의 질을 영유할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이 있지만, 반면 문화적 차이 내지는 간격에 대한 몰이해, 배타 및 배제, 혐오, 자민족 우월주의 등에 의한 갈등이나 심각한 물리적 충돌에 노출되기도 한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들이 중첩됨에 따른 갈등상황을 안고 있는 현대사회는 더 이상 민족주의나 국가주의에 의한 자민족 내지는 자국 중심의 정체성을 고집하며 살아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국내인과 이주민 모두가 지구적 시민으로서 연합된 공동체로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실은 더욱 확대 및 강화될 것이다. 이러한 갈등상황을 전제로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기여하고자 하는 바는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교육모형으로써 기독교인에게 갈등상황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시킬 뿐만 아니라, 주어지는 사회적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도록 돕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 축으로는 사회과학적 접근을 통한 인간발달 과정에서의 탈인 습성을, 또 다른 한 축으로는 신학적 접근을 통한 샬롬의 공동체성을 상호 간 비판적으로 성찰해보고, 본 연구의 목적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모형을 위한 실천적 수렴가치를 도출해 볼 것이다. 본 논문의 충실한 이해를 위한 선행적 해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문화적 다양성 및 타자가 전유하고 있는 문화적 내용에 대한 열린 마음과 존중의 태도는 차이와 이질성의 장애를 극복하는 실마리가 된다는 점이다. 둘째는 본 연구는 '지구'라는 제한된 공간 속에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모든 실재들의 공존과 공영을 위한 발의(initiative)라는 점이다. 셋째는 본 연구에서 결론적으로 제안하는 실천적 교육모형을 일관적으로 견인해 가도록 하는 실천적 수렴 가치인 평화는 심리학과 신학의 간학문적 방법을 통해 도출되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교육 맥락 속에 제시된 본 연구의 교육모형은 기독교적 교육환경을 우선 염두에 둔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먼저,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화에 의해 발생하는 갈등상황을 국제적으로, 그리고 국내적으로 파악한다. 그런 후, 갈등해소를 위한 상호보완적 시도로서 발달심리학적 차원인 성숙한 성인에게서 발견되는 탈인습성과 탈인습성의 한계인 개인적 차원을 보완하기 위해 성서에서 발견되는 '샬롬'(שלום)이 함의하는 공동체성을 탐구할 것이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탈인습성과 샬롬의 공동체성을 기반으로 실천적 가치인 평화를 실현해 내는 교육모형을 제안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