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동행렬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athematical Programming Application for Clustering Problems in Conjunction with Confusing Matrix (혼동 행렬을 이용한 클러스터링 문제의 수리 계획적 접근)

  • 김영민;최경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605-608
    • /
    • 2000
  • 혼동 행렬 (confusion matrix)은 자극 또는 인식대상(데이터)에 대한 반응을 데이터화함으로써 인식대상(데이터)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복잡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통제, 관리하기 위한 분석기법에 사용된다. 클러스터링은 인식 시스템을 위한 기법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혼동 행렬을 이용한 최적화 모델을 통하여 클러스터링(Clustering) 문제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최근 수리 계획 분야에서 클러스터링 분야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데 그러한 수리 모델과 혼동 행렬을 접목하여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 PDF

High-Speed Korean Address Searching System for Efficient Delivery Point Code Generation (효율적인 순로코드 발생을 위한 고속 한글 주소검색 시스템 개발)

  • Kim, Gyeong-Hwan;Lee, Seok-Goo;Shin, Mi-Young;Nam, Yun-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8D no.3
    • /
    • pp.273-284
    • /
    • 2001
  • A systematic approach for interpreting Korean addresses based on postal code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implementation is focused on producing the final delivery point code from various types of address recognized. There are two stages in the address interpretation : 1) agreement verification between the recognized postal code and upper part of the address and 2) analysis of lower part of the address. In the agreement verification procedure, the recognized postal code is used as the key to the address dictionary and each of the retrieved addresses is compared with the words in the recognized address. As the resul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located. The confusion matrix, which is introduced to correct possible mis-recognized characters, is appl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 In the procedure for interpreting the lower part address, a delivery code is assigned using the house number and/or the building name. Several rules for the interpretation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real addresses collected.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posed approach using addresses collected from Kwangju and Pusan areas.

  • PDF

Optimal threshol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confusion matrix (혼동행렬의 상관계수를 이용한 최적분류점)

  • Hong, Chong Sun;Oh, Se Hyeon;Choi, Ye W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5 no.1
    • /
    • pp.77-91
    • /
    • 2022
  • The optimal threshold estimation is considered in order to discriminate the mixture distribution in the fields of Biostatistics and credit evaluation. There exists well-known various accuracy measures that examine the discriminant power. Recently, Matthew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F1 statistic were studied to estimate optimal thresholds. In this study, we explore whether these accuracy measures are appropriate for the optimal threshold to discriminate the mixture distribution. It is found that some accuracy measures that depend on the sample size are not appropriate when two sample sizes are much different. Moreover, an alternative method for finding the optimal threshold is propos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at defines the ratio of the confusion matrix, and the usefulness and utility of this method are also discusses.

Using Naïve Bayes Classifier and Confusion Matrix Spelling Correction in OCR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혼동 행렬을 이용한 OCR에서의 철자 교정)

  • Noh, Kyung-Mok;Kim, Chang-Hyun;Cheon, Min-Ah;Kim, Jae-Hoo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310-312
    • /
    • 2016
  •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정 어휘 쌍의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과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ddot{i}}ve$ Bayes classifier)를 이용한 철자 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철자 오류 중 한글에 대한 철자 오류만을 교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말뭉치는 한국어 원시 말뭉치와 OCR 출력 말뭉치, OCR 정답 말뭉치이다. 한국어 원시 말뭉치로부터 자소 단위의 언어모델(language model)과 교정 후보 검색을 위한 접두사 말뭉치를 구축했고, OCR 출력 말뭉치와 OCR 정답 말뭉치로부터 교정 어휘 쌍을 추출하고, 자소 단위로 분해하여 혼동 행렬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오류 모델(error model)을 구축했다. 접두사 말뭉치를 이용해서 교정 후보를 찾고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통해 확률이 높은 교정 후보 n개를 제시하였다. 후보 n개 내에 정답 어절이 있다면 교정을 성공하였다고 판단했고, 그 결과 약 97.73%의 인식률을 가지는 OCR에서, 3개의 교정 후보를 제시하였을 때, 약 0.28% 향상된 98.01%의 인식률을 보였다. 이는 한글에 대한 오류를 교정했을 때이며, 향후 특수 문자와 숫자 등을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교정을 시도한다면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Using Naïve Bayes Classifier and Confusion Matrix Spelling Correction in OCR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혼동 행렬을 이용한 OCR에서의 철자 교정)

  • Noh, Kyung-Mok;Kim, Chang-Hyun;Cheon, Min-Ah;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310-312
    • /
    • 2016
  •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정 어휘 쌍의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과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ddot{i}}ve$ Bayes classifier)를 이용한 철자 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철자 오류 중 한글에 대한 철자 오류만을 교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말뭉치는 한국어 원시 말뭉치와 OCR 출력 말뭉치, OCR 정답 말뭉치이다. 한국어 원시 말뭉치로부터 자소 단위의 언어 모델(language model)과 교정 후보 검색을 위한 접두사 말뭉치를 구축했고, OCR 출력 말뭉치와 OCR 정답 말뭉치로부터 교정 어휘 쌍을 추출하고, 자소 단위로 분해하여 혼동 행렬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오류 모델(error model)을 구축했다. 접두사 말뭉치를 이용해서 교정 후보를 찾고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통해 확률이 높은 교정 후보 n개를 제시하였다. 후보 n개 내에 정답 어절이 있다면 교정을 성공하였다고 판단했고, 그 결과 약 97.73%의 인식률을 가지는 OCR에서, 3개의 교정 후보를 제시하였을 때, 약 0.28% 향상된 98.01%의 인식률을 보였다. 이는 한글에 대한 오류를 교정했을 때이며, 향후 특수 문자와 숫자 등을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교정을 시도한다면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Equivalent Writing of Loanwords Detection Method based on Korean Alphabet Confusion Matrix (한국어 자모 혼동행렬 기반 유사 외래어 표기 검출 기법)

  • Kwon, Soonho;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433-436
    • /
    • 2010
  • 최근 한국어 문서에는 한국어뿐만 아니라 외래어 표기 등이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외래어 표기는 한 단어에 대해 한 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다른 표기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기상 불일치는 하나의 단어가 다른 개념으로 인식되어 정보검색 시스템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정보검색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여러 외래어 표기를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자모 혼동행렬을 기반으로 한 유사 외래어 표기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 따라 유사 외래어 표기를 검출해줌으로써 정보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Hangul Document Retrieval Using Character Recognition (문자 인식을 이용한 한글 문서 검색)

  • 안재철;오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544-546
    • /
    • 2001
  • 이 논문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로 인식된 한글 문서에서의 오인식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한글 단어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OCR로 인식된 많은 야의 한글 문서를 기반으로 자모별 인식 빈도수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성, 중성, 중성별 인식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을 구성하였다. 또한 인식 정보를 적절히 이용하기 Bayes 정리를 이용하였다. 질의어에 대한 오인식 단어의 검색 방법을 제시하고 혼동 행렬과 이 검색 방법을 바탕으로 OCR 기반 단어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Odds curve for two classification distributions (두 분류 분포를 위한 오즈 곡선)

  • Hong, Chong Sun;Oh, Se Hyeon;Oh, Tae Gyu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4 no.2
    • /
    • pp.225-238
    • /
    • 2021
  • The ROC, TOC, and TROC curves, which are visually descriptive methods of exploring the performance of the binary classification model, are implemented with TP, TN, FP, FN which consist of the confusion matrix, as well as their ratios TPR, TNR, FPR, FNR. In this study, we consider two types odds and then propose an odds curve representing these odds. And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dds curve and ROC curve. Based on the odds curve, we propose not only two statistics that measure the discriminant power of the odds curve but also the criteria for validation ratings of the odds curv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dds curves, two classification distributions can be estimated and a criterion for validation ratings can be determined. The odds curve can be meaningfully used like other visual methods, and two kinds of measures for the discriminant power can be also applied together as an alternative criterion.

다층퍼셉트론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가뭄 예측성 평가

  • Jeong, Min-Soo;Jang, Ho-Won;Lee, Joo-Heon;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6-86
    • /
    • 2016
  • 본 연구는 가뭄 예측에 대한 오차를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다층 퍼셉트론 (Multi-layer Perceptron, MLP) 네트워크 구조를 인공신경망 모형에 적용하고, 표준강수지수(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를 입 력 및 출력 변수로 구성하여 가뭄예측을 시도하였다. 예측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기상청 산하의 59개 관측소에 대한 1980년부터 2015년까지의 기상자료를 적용하였으며, 수립된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 전역의 가뭄에 대한 시공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기가뭄 예측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2000년에서 2015년까지 16년간의 모의결과를 ROC 분석을 통하여 시공간적 단기가뭄 예측성능을 평가하고 혼동행렬(Conversion Matrix) 구성에 대한 조건적 확률의 다각적 검토를 통해 모델 예측에 대한 정확성(Accuracy), 신뢰성(Precision) 등 다양한 예측성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2016년 가뭄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pplying Coarse-to-Fine Curriculum Learning Mechanism to the multi-label classification task (다중 레이블 분류 작업에서의 Coarse-to-Fine Curriculum Learning 메카니즘 적용 방안)

  • Kong, Heesan;Park, Jaehun;Kim, K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29-30
    • /
    • 2022
  • Curriculum learning은 딥러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람의 학습 과정과 유사하게 일종의 'curriculum'을 도입해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학습 데이터 중 개별 샘플의 난이도를 기반으로 점진적으로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안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coarse-to-fine 메카니즘은 데이터의 난이도보다 학습에 사용되는 class의 유사도가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여러 난이도의 auxiliary task를 차례로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혼동행렬 기반으로 class의 유사성을 판단해 auxiliary task를 생성함으로 다중 레이블 분류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ulti-label 환경에서 multi-class와 binary task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해 coarse-to-fine 메카니즘 적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