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환 활용성

Search Result 34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teroperability of 3D Bridge Information Model for Concrete Box Girder (콘크리트 박스 거더 3차원 교량정보모델의 호환성)

  • Shim, Chang-Su;Kim, Deok-Won;Lee, Kwang-Myo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60-363
    • /
    • 2009
  • 토목구조물의 설계 패러다임이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전환될 때 효율성과 재활용성의 관건이 되는 기술적 제약사항이 호환성이다. 대부분의 캐드 엔진이 형상모델 수준에서 호환성 혹은 연계성을 지원하고 있지만 3차원 정보모델에서 요구하는 정보모델의 호환성은 지원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박스 교량에 대해서 3차원 교량 정보 모델을 구성하고 건설 프로세서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범적으로 적용한 사례를 정리하였다. 적용 대상 구조물은 FSM 공법으로 시공되는 경간 40미터의 콘크리트 박스거더 교량이다. 견적, 시공시뮬레이션, 해석 등의 프로세서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분류체계에 따라 형상모델의 체계를 정의하고 각각의 형상모델 단위에 정보를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개별 프로세서를 위한 솔류션에서 이러한 형상과 정보가 연계된 내용을 받아들이거나 캐드 엔진에서 필요한 형태로 내보내는 방식을 모두 시도하였다. 3차원 형상 모델과 시간이 부여된 4D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공사 스케쥴에 따라 모델 레이어 분류 작업으로 공사 진행 단계가 가상으로 보여진다. 시범 적용을 통해서 가상건설 시스템의 구성하는 개별 솔류션 혹은 정보체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Wireless Internet Business System (효율적인 무선 인터넷 비즈니스 시스템의 구축 방법에 관한 연구)

  • 이종섭;오동익;박두순;이경호;김중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20-24
    • /
    • 2002
  • 유선환경에서의 인터넷 접근을 무선환경에서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응용서버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서버의 중요성이 무선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크게 대두되고 있으나 이들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중 현재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은 응용 호환성 및 컨텐츠 호환성 제공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및 무선 단말기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응용 서버에 대하여 살펴보고, 모바일 응용서버의 기능 중 응용 호환과 컨텐츠 호환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현재 무선 인터넷 시장의 컨텐츠 부족과 응용 시스템 부족 현상의 해소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모바일 응용서버를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Interoperability Analysis for BIM software Based on User-defined Properties (BIM 소프트웨어 호환성 분석 : 사용자정의 속성정보인 GBS를 중심으로)

  • Kang, Seunghee;Ha, Jiwon;Ju, Taehwan;Jung, Young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2
    • /
    • pp.99-109
    • /
    • 2016
  • The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increased in order to enhance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for management and resources throughout the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various BIM softwares have been used under open BIM environments in the building and plant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t has obstructive factors due to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operability analysis of BIM software focused on user-defined properties for enhanced function and efficiency.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authoring tools have more interoperability problems than viewer tools and simulation tools have. In terms of interoperability, user-defined properties outperforms than those of system basic properties and logic data. Therefore,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improvement and workload minimization in BIM can be attained by applying the GBS (an user-defined property for automatic manipulation of BIM proposed by Jung et al. 2013) that enables automatic link between geometric data and non-geometric data.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pplication of user-defined property (e.g. GBS)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information integration throughout construction projects.

User authentication using face and gesture information for various smart devices (스마트 기기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얼굴 및 제스처 정보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

  • Choi, Hyunsoek;Sohn, Myoung-Kyu;Park, H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93-395
    • /
    • 2012
  •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출현과 함께 정보보호를 위한 보다 강건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기기별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센서의 활용이 필요하며, 영상 기반 다중 생체 인식에 기반을 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이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고 있는 얼굴 인식과 더불어 영상 기반의 제스처 인식을 함께 사용함으로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강건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스처 인식 데이터베이스의 하나인 ChaLearn 데이터에 적용하여 인식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스마트 기기에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한 제스처 인식이 아니라 영상 기반의 제스처 인식을 사용하여 호환성의 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증 성능 또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FC Standard Interoperability for Quality Assurance Based on the Open BIM Environment (개방형 BIM 환경에서의 품질검토를 위한 IFC 표준 호환)

  • Kim, In-Han;Choi, Jung-Si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61-36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산업의 대형화, 복잡화 등으로 인해 설계와 시공의 불확실성 증가로 대두되고 있는 개방형 BIM 환경에서의 품질검토를 관점으로 표준적인 검증 프로세스에 활용되고 있는 표준 포맷인 IFC를 기반으로 호환성을 시험하였다. 개방형 BIM기반의 품질 검토는 물리정보 품질, 논리정보 품질, 데이터 품질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품질 검토의 구분에 따라 다양한 측면으로의 호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에 따라 호환성 시험 결과를 도출하고, 현 상황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효율적인 개방형 BIM 환경에서의 품질 검토를 위해 필요한 요구 조건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agent System for SoftPLC (SoftPLC를 위한 모바일 에이전트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Bae, Hae-Gwang;Choi, Young-Hyun;Min, G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1-34
    • /
    • 2006
  • 최근의 PLC는 Ethernet 통신, Field Bus등 새로운 통신규약에 호환성을 갖고 있으며 점점 빠른 연산 속도의 초소형 PLC로 발전해 나가고 있고 공장 자동화와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에 따른 PLC의 요구는 과거 중규모 이상의 릴레이 제어반 대체 효과에서 현재 고기능화, 고속화의 추세로 소규모 정작 기계에서 대규모 시스템 설비에 이르기까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PLC는 각 제조사마다 하드웨어형식은 유사하지만 소프트웨어형식인 제어 명령어들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PLC마다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 제어 명령어들의 호환성을 위한 솔루션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IEC1131-3의 표준 언어를 중심으로 제어할 수 있는 Mo-aPLC라는 모바일 에이전트 기반의 softPLC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모바일 에이전트들이 지적 대리인으로서 IEC1131-3의 표준 언어를 제어시스템 제작자에게 활용되어 질 수 있는 코드인 IL언어로 변환하고 이를 랭귀지 프로그래머가 활용할 수 있는 코드인 표준 C코드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으로 인해 제어시스템 제작자와 랭귀지 프로그래머들이 활용할 수 있는 코드들이 생성되는 것과 표준 C코드로 변환함으로서 논리적인 디버깅(dubugging)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compatible Mobile GIS Engine in heterogeneous mobile devices (이종 모바일 장치에 호환성 있는 모바일 GIS 엔진 개발)

  • Hong, Seung-Wook;Park, Jae-Yang;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83-386
    • /
    • 2008
  • 최근 모바일 장치에서 GIS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들이 연구 개발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의 차이와 운영체제에 따른 제공 라이브러리의 차이가 심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서비스 시스템이 특정 모바일 장치에 제한적으로 설계 구현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모바일 GIS엔진에서 디자인 요소와 같이 특정 모바일 장치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부분을 제외한 모바일 GIS엔진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모바일 GIS엔진의 구현은 C++표준 라이브러리와 추가 사용자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이종 모바일 장치에 호환성 있는 모바일 GIS 엔진을 구현하였다. 또한 문자 인코딩 방식을 UTF-16으로 통일함으로써 문자처리에 대해서도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Intelligent Agent for Customizable Shopping Mall using Fuzzy Theory (퍼지이론을 이용한 맞춤형 쇼핑몰을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 Lee, Seung-Hwan;Min, Byung-Gi;Choi, Dong-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429-1432
    • /
    • 2000
  • 인터넷의 대중화와 더불어 인터넷의 활용분야가 모든 산업 분야에 파급되고 있는데 특히 마케팅 분야도 인터넷에 의해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 한 분야가 쇼핑몰인데 기존의 조립 PC를 판매하는 쇼핑몰들은 단순히 부품을 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간의 호환성을 고려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를 위하여 부품간의 호환성을 고려해서 온라인을 이용한 구매자에게 PC를 구입하는데 편의를 제공하는 쇼핑몰과 이를 위하여 퍼지이론을 이용하여서 부품간의 호환성을 충고해주는 지능형 에이전트인 퍼지 에이전트를 구현한다.

  • PDF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eb 2.0 (웹 2.0 기반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 Jeong, Pil-Seong;Oh, Young-Hw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4C
    • /
    • pp.321-328
    • /
    • 2012
  • The Mobile device like smart phone is a small computing device and easy to carry around. The Mobile devices are wildly being used as desktop personal computer and can served individual services. Because of compatibility of applications working on mobile devices are not good, so developer need to develop it that match changes in platform fetur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ate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runs on many different platforms using HTML5 as a standard web development language and jQuery as a javascript library.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is runs on on many different platforms like mobile platforms and desktop web browsers.

사물인터넷 테스트 프레임워크

  • Park, Hyeon-Cheol;Kim, Hoe-Chang;Ju, Ho-Taek;Song, Jae-Se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5
    • /
    • pp.65-72
    • /
    • 2016
  •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이란 통신 기능이 있는 사물들을 (주변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사물에 대한 제어를 하는 엑츄에이터) 인터넷에 연결하여 보다 스마트한 서비스들을 손쉽고 빠르게 만들어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말한다. 스마트 시티, 스마트 공장, 스마트 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앞으로 관련 산업 및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되어질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서로 다른 제조업체 그리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만들어지는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글로벌 표준에 기반하여 기기들이 개발되어져야하며, 이들 사물에 대한 호환성 및 적합성이 검증되어야한다. oneM2M (원엠투엠) 에서는 글로벌한 표준으로 사물인터넷의 서비스 계층에 대한 표준을 만들고 있다. oneM2M은 릴리즈 1 공통기능에 대한 표준 제정을 마쳤으며, 현재 테스팅과 관련하여 상호호환성 및 적합성 테스팅을 위한 표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사물인터넷 기기들에 대한 전반적인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활용되어질 수 있는 oneM2M 테스팅 관련 표준 프레임워크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