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초(胡椒)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iperis Nigri Fructus Extract Ameliorates Psychological Stress in Mice (생쥐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호초(胡椒)의 효과)

  • Lee, So Young;Choi, Jae Hong;Jeong, Hyang Sook;Kim, Young Gyun;Cho, Su In
    • Journal of Haehwa Medicine
    • /
    • v.21 no.2
    • /
    • pp.95-104
    • /
    • 2013
  • 스트레스로 인한 인체의 반응은 중추신경계, 시상하부, 변연계 및 기타 표적기관으로부터 시작되는데, 자율신경계 반응, 내분비계 반응, 면역계 반응 등을 통하여 복합적인 신체 증상으로 발현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HPA axis)과 교감신경계의 작용으로 여러 신경전달물질 방출에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변화는 면역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일부는 면역세포의 활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신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한의학에서는 천인상응(天人相應)의 관점에서 육기(六氣)를 생체자극의 외적 요인으로 간주하고, 생체내적 현상인 정신이 외적 자극을 통하여 나타나는 생체반응을 칠정(七情)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스트레스는 신체에 오장(五臟)의 허실(虛實), 혈허(血虛), 정손(精損), 기역(氣逆), 기(氣)의 순환장애, 담연(痰涎), 화(火) 등의 병적인 요인을 만들어 준다. 본 연구에서 재료로 사용된 호초 (Piper nigrum Linne)는 후추나무의 과실을 말린 것으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이며, 한의학에서는 온중제한하기(溫中除寒下氣), 쾌격소담(快膈消痰), 해독(解毒)등의 효능으로 한담식적(寒痰食積) 완복냉통(脘腹冷通) 곽란(癨亂) 토사(吐瀉)등의 치료에 활용되어 왔다. 특히 쾌격소담(快膈消痰)하는 작용은 정신적 스트레스에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본 연구에 이용하게 되었다. 실험동물은 ICR계 생쥐를 이용하였으며, 심리적 스트레스는 옆쪽 cage에서 다른 마우스의 신체에 가해지는 전기 충격을 하루 1시간 동안 지켜보게 하는 것으로 유발하였으며, 이 상태에서 약물을 투여한 그룹을 실험군, 그렇지 않은 그룹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정상군은 아무런 자극 없이 하루 1시간 동안 일정 공간에 가두어 두는 것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호초(胡椒) 추출물을 100mg/kg/day 용량으로 5일간 투여한 실험군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혈장 중 corticosterone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뇌에서의 noradrenalin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plus maze test에서의 머무름 시간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호초(胡椒)가 심리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구체적인 작용기전 및 인체에서의 효과에 대해서는 향후의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Type of Cho(椒) and The Meaning of Gocho(고쵸) (초(椒)의 종류와 고쵸의 의미)

  • Chung, Kyung R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2
    • /
    • pp.1021-1036
    • /
    • 2014
  • In this article, another literatures that original Korean own red pepper (Gochu) was cultivated from ancient years and there were many other varieties of Gocho in Korea were shown. The first book where Gochu was appeared as written in Hangul (Korean own character invented by King Sejong in 1433) was Hunmongjahoe (訓蒙字會) written by Choi Sejin in 1527. However, many books where cho(椒) indicating Korean red pepper (Gochu) was described before Hunmongjahoe. This is consistent with Hongjaejonso(弘齋全書, 1799). King Jungjo asked Kim Dalsun about the type of Cho(椒) in Hongjaejonso, Kim Dalsun answered to King Jungjo that there are many types of Cho such as Chokcho(蜀椒), Jincho(秦椒), Dancho(丹椒), Daecho(大椒) and Hocho(胡椒). When common characteristics in Chokcho, Jincho, Dancho, Daecho and Hocho in Hongjaejonso were studied, it was found that these Chos had one word in common "Gocho(고쵸)" in the Korean translation. Also several Chos such as Buncho(蕃椒), Nammancho(南蠻椒), Mancho(蔓椒) were characterized as Gocho in ancient books. In conclusion there were several Chos such as Chokcho, Jincho, Dancho, Daecho, Hocho, Buncho, Nammancho, Mancho, etc indicating the various types of Cho, and these were all written as Gocho(고쵸) in the Korean character. An original Korean Gocho should be cultivated in Korean peninsula. Several different types of Cho were imported during the course of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and these foreign Chos called as Buncho(蕃椒), Nammancho(南蠻椒), Mancho(蔓椒) by discriminating original Korean Gocho(고쵸). The original name of Gochu(고추) is Gocho. Later the Chinese character for Gocho(苦椒) invented in response to the Korean character of "Gocho(고쵸)" by necessity.

The Meaning of Cho(椒) and Gocho(고쵸) (초(椒)와 고쵸의 의미)

  • Chung, Kyung-R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161-162
    • /
    • 2014
  • "홍재전서"의 초의 종류에 나온 촉초(蜀椒), 진초(秦椒), 단초(丹椒), 대초(大椒), 호초(胡椒)의 공통적인 특징이 고쵸로 확인됨에 따라 고쵸를 언해한 한자 초(椒), 고초(苦椒), 번초(蕃椒), 남만초(南蠻椒), 만초(蔓椒)를 살펴본 결과, 초의 종류는 다양하고, 이 초(椒)는 고추를 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에도 고추의 품종이 다양한데, 과거로부터 외국과의 교류를 통한 다양한 고추가 국내에 유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ti-adipogencic Effect of Piper Nigrum Linne (호초(胡椒)의 지방세포 억제 효과)

  • Jeong, Hong-Suk;Jeong, Ji-Cheon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 /
    • v.24 no.1
    • /
    • pp.118-123
    • /
    • 2010
  • Piper nigrum Linne has been used spice as well as herbal medicine in worldwide and has function of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ti-cancer, bioavailability of drugs and etc. In this study, anti-adipogenic activity of Piper nigrum Linne extract and its constituent piperine were investigated in 3T3-L1 differentiation. Adipogenic effects an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was measured by RT-PCR and Oil Red O staining assays respectively in stimulation of Piper nigrum Linne extract and piperine. Piper nigrum Linne and piperine reduc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adipogenesis such as PPAR${\gamma}$, adipsin, SERBP-1c and LPL. All of taken, anti-adipogenic mechanism of Piper nigrum Linne and piperine were related with regulation of SREBP-1c and PPAR${\gamma}$ expression.

Effect of Black Pepper on the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the Rat (호초(胡椒)가 백서(白鼠)의 혈청(血淸) 및 간장성분(肝臟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 Cho, Soo Yeul;Lee, Sook 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12 no.3
    • /
    • pp.219-224
    • /
    • 1983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lack pepper (BP) added to food on a living body and to determine the growth rate, digestibility, weight of organs, composition of blood and liver in the rat. Fifty-six male rats of Sprague-Dawley strain, weight $120{\pm}10g$,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were fed ad libitum for 8 weeks. Experimental die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Each groups were separately added 0%, 0.5%, 2.0% and 5.0% of BP level.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st net weight of liver and heart generally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amount of BP and that of spleen and lu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Kidney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containing 5.0% BP. Serum GOT and GPT were not significant, serum gluco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of containing 5.0% BP, and serum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containing 5.0% BP. Total serum protein decreased gradually as the amount of BP increased, but albumin and globulin were nor affect. Serum Na and K were not significant, but serum Ca and P were decreased as the amount of BP was increased. Liver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were not affect. In fatty acid composition, arachidonic aci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of containing 5.0% BP.

  • PDF

Genome-wide Expression Profiling of Piperine and Piper nigrum Linne (호초(胡椒)와 Piperine에 의한 총체적 유전자 발현 비교)

  • Jo, Eun-Young;Jeong, Ji-Cheon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 /
    • v.24 no.5
    • /
    • pp.831-836
    • /
    • 2010
  • In addition to spice, black pepper (Piper nigrum Linne : PnL) has been used as herbal medicine because of its function in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nti-carcinogenesi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piperine, a component of PnL,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repressing various adipogenic gene expression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piperine is a major constituent of PnL that confers the anti-adipogenic activity at whole genome level.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was induced in presence of PnL extract or piperine. To compare genes that are regulated by PnL extract or piperine, we performed expression profiling using microarrays (Agilent Mouse 44k 4plex). RNA samples were labeled with Cy3 and Cy5, respectively. Labeled samples were hybridized to the microarrays. Results were filtered and cut off set p<0.05. Genes exhibit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ression level were classified into Gene Ontology (GO)-based functional categories (http://www.geneontology.org) and KEGG (http://www.genome.jp/kegg/). Extract of PnL and its component piperine reduc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during adipogenesis. Such anti-adipogenic activity appears to result from down-reg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genes involved in adipogenesis, and other genes involved in fatty acid synthesis, transport, triglyceride synthesis, and carbohydrate metabolism. These genome-wide studies lead to conclude that piperine, as a critical component of PnL, plays common role with PnL in anti-adipogenesis.

고추(번초(番椒), 고초(苦椒))의 어원(語源)연구

  • Kim, Jong-Deok;Go, Byeong-Hui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v.12 no.2
    • /
    • pp.147-167
    • /
    • 1999
  • 1. 연구 목적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의 한 분야인 식품사(食品史) 및 약물사(藥物史)는 미개척분야라 해도 과언은 아닐 정도로 연구 업적이 부족하다. 특히 식물명칭에 대한 정리는 기초학문이지만 방치되어진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식품문화사(食品文化史)를 정리하는 과정중의 일환으로 고추의 어원(語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식품사(食品史) 연구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체질식이요법을 강조하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식품 분류에 대한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1493년 콜럼버스에 의해 알려진 고추는 우리 나라에 들어와 천초(川椒)대신 사용됨으로서 현재 중요한 양념이 되었다. 이에 고추의 도입과정과 호칭변화를 살펴봄으로서 현재 사전류에서 잘못 서술되고 있는 것을 시정하고, 고추가 도입된 이래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고 응용하였는 지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통하여 의학사적(醫學史的) 입장으로 정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 방법 "산림경제(山林經濟)"(1715),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같은 농서(農書), "물명고(物名考)"(1830),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1850) 같은 유서(類書), "훈몽자회(訓蒙字會)"(1527), "신증유합(新增類合)"(1574)같은 사전류, "지봉유설(芝峰類說)"(1614), "성호사설(星湖僿說)"(1763)같은 문집류, "흠정수시통고(欽定授時通考)"(1737),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1765)같은 중국본초서(中國本草書) 등과 국내의서 등 을 통하여 고추에 대한 문헌정리를 시도하였다. 3. 연구 결과 고추가 도입된 이래 남만초(南蠻椒), 남초(南椒), 번초(番椒), 왜초(倭椒), 왜고초(倭苦椒), 왜개자(倭芥子), 고초(苦椒), 랄가(辣茄), 고쵸, 등으로 표기되어 왔다. 하지만 고추가 도입되기 전에 출간된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1489)에 '초(椒) 고쵸, 죠피'라는 기록이 나온다. 이는 천초(川椒)(초피나무)를 의미하는 '고쵸'로 보아야 한다. 후에 고추가 도입됨에 따라 의미가 변하여 고추를 의미하게 되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존하는 문헌 중 고추에 대한 최고기록인 "지봉유설(芝峰類說)"(1614)에 근거하여 고추(남만초(南蠻椒))는 임진왜란때 일본에서 도입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전에 일본을 통하여 고추가 도입되었고 이의 개량종을 오히려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전해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현재 대부분의 사전류에서 "훈몽자회(訓蒙字會)"(1527)의 '고쵸 쵸(초(椒))'를 고추에 대한 최초의 어원으로 보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훈몽자회(訓蒙字會)"의 '고쵸(초(椒))'는 고추가 아닌 매운 열매의 총칭으로 호초(胡椒), 천초(川椒), 진초(秦椒)를 의미한다. 이는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1489)의 천초(川椒)를 의미하는 '초(椒) 고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현재 대부분의 사전류에서 고추의 한문표기가 고초(苦草)로 되어 있으나 고초(苦椒)로 정정되어져야 한다. 초(草)(상성(上聲))와 초(椒)(평성(平聲))는 발음은 같지만 성조(聲調)가 다르며, 또한 "본사(本史)"(1787)에 고초(苦椒)와 고초(苦草)는 서로 다른 식물로 기록되어 있다. 넷째, 고초(苦椒)는 '고쵸'라는 우리말에 맞추어 만든 국자(國字)로 고추가 천초(川椒)와 비슷하지만 맵고 쓰다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이다. 다섯째, 맵고 뜨거운 성질이 있는 고추는 냉증(冷症)을 유발시킬 수 있는 냉성(冷性)야채를 중화(中和)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섯째, 고추는 소음인 식품의 경향성을 띈 훈채류에 속한다.

  • PDF

Introduction and Designation of Tobacco in Korean Early Agriculture References (우리나라 고농서에서 본 담배 명칭과 전래)

  • 유익상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9 no.2
    • /
    • pp.198-204
    • /
    • 1994
  • Many old books concerning agriculture in ancient Korea were published during Yi dynasty, giving information on the agriculture of old and recent times, Present work describes the introduction of tobacco to Korea by reviewing old domestic or foreign agricultural literatures dealing with names of tobacco. Historically, tobacco had been called as many names such as Namcho, Yeoncho, Au, Seocho, Oecho, Hocho, Dampa Ko, Namkyongcho and Dampacke, and known to be introduced to Korea during early part of Kwanghwekun rule (year of 1618) from Japan. However, tobacco introduction from Japan to Korea seemed not be true by 2 historical facts. One is that at old time Japan had imported Chinese and Korean culture, and many crops during Nara and Heyan dynasties. The other is that there is no evidence of Japanese introduction found in Japan nowadays. The most plausible theory on tobacco introduction is that soldiers under General Youjung of Myong dynasty had brought tobacco to Korea during ImJinWaeRan(1592-1598). The above statements can be verified by old stories about Korean local tobacco varieties, and by letters Kim Dae Hyun(1553-1602) and General Youjou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