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안공법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mprovement of River Revetment in Kangwon (강원도 하천호안공법 개선방안)

  • Park, Sang-Deog;Choi, Han-Kyu;Choi, Jong-In;Choi, Heung-Sik;Hong,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85-490
    • /
    • 2009
  • 강원도의 약 89%가 산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원지역 주민의 거주지는 대부분 홍수 피해를 강하게 받는 계곡이나 하천변에 잡고 있으며 매년 반복되는 홍수의 피해 위험이 높다. 따라서 홍수 시 생활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제방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강원도의 하천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호안공법은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계나 경관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경우가 많은 인공시설물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연과 어울리는 친자연형 호안공법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내 1개 국가하천 6개 지점, 214개 지방하천 2,760개 지점에 대한 하천 호안공법의 종류, 식생상태, 하천특성, 호안파괴 특성 등을 조사하고 하천호안공법 적용 하천특성과 호안공법, 식생 등의 관계를 분석하여 강원도형 호안공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에 설치된 호안공법은 망태형, 붙임형, 블록형, 쌓기형, 옹벽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망태형 25%, 옹벽형 20.1.%, 블록형 18.3%를 차지하고 있으나 영서지역 하천은 쌓기형 32.9%, 망태형 19.2%, 옹벽형 16.6%를 나타내고 있다. 두 지역에서 옹벽이 16%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만곡 수충부가 많아 홍수 시 구조적인 안정성이 큰 옹벽을 통한 호안보호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옹벽을 제외하면 하천평면이 호안공법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하천경사나 하천재료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호안파괴의 원인은 홍수 시 하상의 세굴이다. 그러나 옹벽호안은 국부적인 하상세굴에도 콘크리트 구조특성으로 쉽게 파괴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 하류지점에 설치된 돌망태 호안은 하상저하와 보에 의한 유향변동으로 발생된 강한 수충현상에 의해 파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안의 식생 활착은 블록형, 망태형, 쌓기형 호안의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형이나 쌓기형 호안은 영동지역보다는 영서지역에서 높은 식생 피복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하천의 경사와 호안의 침수빈도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블록형 호안은 지역 구분 없이 식생피복도가 높고 하천경사나 재료특성에도 불구하고 강원도의 하천호안공법으로 우수한 기능을 한다. 시급히 식생을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 식생블록형 호안이 추천되며 호안공의 안정성과 식생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망태형 호안공법이 추천된다.

  • PDF

Suitability Assessment of Bank Revetments Applied to Close-to-Nature River Design (자연형 하천설계에 적용된 호안공법의 적합성 평가)

  • Park, Nam-Hee;Jeong, Jang-Mye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79-484
    • /
    • 2009
  • 우리나라에서 많은 하천정비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천정비사업을 위해 하천설계가 실시되고 있다. 하천설계시 호안 설계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설계된 사업에서 적절한 호안공법이 선정되었는지는 검증이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하천설계에 적용된 호안공법의 적합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하천설계에 적용된 호안공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편익(B)/비용(C)방법을 사용하였다. 편익평가방법은 기존의 호안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을 기본으로하여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사용하였다. 평가항목은 수리적안정성, 환경생태성, 어메너티의 항목으로 되어 있고 각 항목은 몇 개의 소항목으로 구성되어 각 항목별로 평가점수를 부여한다. 다음 하천의 위치에 따라 도시, 농촌, 산지로 분류하여 위치별 가중치를 도입한다. 편익을 하천위치에 따라 3가지 항목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곱한 값을 더하여 산정하였다. 비용은 호안시공비와 재료비의 합으로 산정하고 5단계로 등급을 나누었다. 최종적으로 계산된 편익과 비용을 이용하여 호안의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에 이용된 하천은 하천분류별로 각각 몇 개씩 선정하였으며 하천보고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각 하천별로 점수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호안설계점수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호안공법별로 평가한 결과 식생매트를 사용한 호안의 경제성이 가장 좋으며 방틀공법을 사용한 호안의 경제성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평가방법은 호안을 설계할 때 가장 적절한 호안공법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Influence on Revetment by Ship-waves Generated by Vessels in Han River (한강 운항 선박에 의해 발생하는 항주파가 호안에 미치는 영향)

  • Kim, Dae-Young;Kim, Yun-Hwan;Park, Nam-Hee;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42-1446
    • /
    • 2008
  • 하천의 호안공법은 과거에는 콘크리트 호안이 위주였으나 현재는 자연친화적인 각종 호안공법들이 개발되어 하천에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들이 적용된 호안들의 수리적 안정성은 호안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은 대하천인 경우에는 흐름방향의 유속에 따른 소류력 이외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으로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거나 선박이 운항할 때 발생하는 파를 고려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이 운항할 때 발생하는 항주파를 계산하고, 항주파에 따른 처오름을 계산하여 호안에 미치는 파력을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 호안으로는 한강에 시험 시공된 구간을 선정하였는데 이 구간은 34가지 호안공법을 설치하여 시험하고 있다. 항주파의 파력이 호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유람선과 수상택시를 선정하여 파력을 산정한 결과 유람선은 $25.70kg/m^2$ 수상 택시는 $9.48kg/m^2$으로 계산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F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with Bank Revetment Materials (호안 재료에 따른 흐름저항 특성 연구)

  • Yoo, Gyu-Seok;Kim, Yun-Hw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8-333
    • /
    • 2011
  • 최근 하천사업에는 자연친화적인 설계기법이 도입되고 있으며 호안공법도 과거 제방보호 기능만을 가진 단순한 호안에서 식생을 활용한 다양한 종류의 호안공법이 개발되어서 각종 하천공사에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호안공법을 도입할 때 공법에 따른 선택기준이나 구체적인 설계기준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침에 제시 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안 재료의 적합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판단기준인 수리학적 특성인자를 파악해보고자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길이 15m, 폭 0.8m, 높이 0.8m의 수로를 이용하였다. 사용한 호안재료는 흙, 실제모형의 1/50의 축척으로 제작한 호안블록모형과 실제 식생으로서 잔디를 이용하였다. 수로의 상류구간에 대리석을 이용하여 6m의 안정화구간을 만들었고, 실험은 동일한 수위에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유속을 계측하였다. 계측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식생과 무식생을 비교했을 때 하상에서 식생높이(약 9cm) 범위에서 식생이 최대 97% 유속저감효과를 나타났으며, 식생과 블록을 비교한 결과도 하상에서 식생높이(약 9cm) 범위에서 식생이 최대 97% 유속저감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호안재료가 식생일 때 유속저감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다양한 식생형태에 대한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가 호안공법에 도입되는 다양한 식생의 수리적인 특성인자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Revetment through Field Survey (현장조사를 통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Kim, Yoon-Hwan;Kim, Chul;Kim, Dae-Young;Park, N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05-2110
    • /
    • 2008
  • 최근 환경적 기능을 중요시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에서 호안은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하천을 중심으로 한 생활영역을 가지는 생물에게 육역과 수역의 연결부로서 추이대(ecotone)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그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에서 조차 호안공법의 선정은 객관적인 자료와 평가기법의 부재로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무분별하고 획일적인 공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자연친화적 하천공사 시 시공하천의 특성을 고려한 호안공법의 선정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존의 호안평가지표 및 기법을 수정 제안하였다. 제안된 호안평가기법의 평가항목은 안정성, 환경성 그리고 친수 어메니티이다. 금번 연구에서 제안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을 위하여 전국의 하천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호안평가의 적용이 용이한 91개 하천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를 통해 확보한 호안 자료는 호안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호안의 안정성, 환경성 그리고 친수 어메니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제안된 호안평가기법은 호안 및 하천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자료는 향후 생태적 측면을 고려한 하천정비의 방향제시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호안공법 선정을 위한 호안평가기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for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 of Close-Natural revetment technique (자연형 호안공법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 Han, Man-Shin;Choi, Gye-Woon;Kim,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04-708
    • /
    • 2010
  • 하천에 있어서 저수호안의 수충부는 수리학적 안정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나 이에 대한 신뢰성있는 자료와 적정 공법의 선정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국내 자연형하천 조성을 위하여 하천하안에 적용된 공법들은 대부분 콘크리트블록, 발파석, 강화석, 전석, 잡석 등 견고한 재료를 활용한 공법이었다. 최근 하천의 생태환경 조성으로 인하여 식생에 의한 공법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의 치수적인 평가는 진행되고 있지 않으며, 이들 각종 공법의 적용여부는 주로 소류력의 평가에 의한 것으로 하천의 생태적 환경보다는 치수적인 관점에서 적용되고 있다. 국내 생태하천의 경우 호안의 경사가 1:2~1:5정도로 매우 완만한 것이 보통이며, 급강하 하천이 아니기 때문에 설계유속은 2~3m/s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에 따른 호안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모델인 Flow-3D를 이용하여 길이 20m, 폭 2m, 높이 1m의 개수로 장치를 구성하였으며, 호안의 조도변화에 따른 유량별 2차원 유속분포 및 Froude수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 PDF

Optimal Design of Bank Protection Work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최적 호안공법 선정)

  • Lee, Jae-Mun;Lee, Sa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6
    • /
    • pp.619-628
    • /
    • 2008
  • Bank protection is a structure constructed to protect directly embankment breakage and erosion by river flow. Traditionally, the type of bank protection has been decided by practitioner's subjective and empirical judgement, which often causes problems after construction. Recently, however, it become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physical protection but also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bank protection for environment-friendly river are now available. Thus, there is a need for m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decision method for bank protection work. This study adopt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improve the objectiveness in the decision of bank protection work. Criteria for stability, economy, construction, environment are identified and a standardized process is presented for field application. With the proposed method, one can prioritize various bank protection works and make the optimal decision. We believe that the method can serve as a useful tool for river engineers in practice.

Application of Close-to Nature Revetment Techniques Adapted to Low Flow Channel & Monitoring of Vegetation Restoration - Case Study for Hakyoul in the Yangjaech'on - (도시하천에서 자연형 저수로 호안공법의 적용과 식생복원 모니터링 - 서울시 양재천의 학여울 구간을 사례지역으로 -)

  • 최정권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10-213
    • /
    • 1997
  • This study for development of close-to nature revetment techniques is conducted to rehabilitate disturbed stream ecosystem. For this objective, the experimental reach as on-site dimonstrated research was set up in Hakyoul, the Yangjaech'on from Oct. 1995 to Nov. 1996. Special emphasis on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design of revetments was given to geomorphic character of 3 types of low flow channel bank: point bar, attack point and shallow bay. Each revetment was developed with the consideration on revegetation of emergent plants. And designed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reach, and were evaluated with monitoring for 1 year. As a result of the process, the experiment suggested ecological alternatives to enhance technical feasibility and to replace the conventional river-work.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Revetment Method Using Bio-polymer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 공법의 성능 평가)

  • Kim, Myounghwan;Lee, Du Han;Lee, Ka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4-224
    • /
    • 2020
  • 새롭게 개발된 미생물의 부산물인 바이오 폴리머는 토양의 강도를 높이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 수리 실험을 수행하여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 공법의 침식 저항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다수의 호안 공법 시험체를 제작하였고, 이 시험체를 실 규모 실험수로에 설치하고 수리 실험을 통해 토양 손실과 이에 따른 한계 소류력을 결정하였다. 실험에는 일반 흙을 피복한 시험체, 바이오 폴리머와 혼합한 흙을 피복한 시험체, 식생매트와 바이오 폴리머 혼합토를 결합한 시험체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재료나 식생의 활착도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시험체의 침식 저항 성능이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일관되게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공법이 기존 호안 공법의 침식 저항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바이오 폴리머를 제방 호안 시공에 활용한다면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이나 파괴를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the Planned Bank Revet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설계호안 평가)

  • Jeong, Jang-Myeon;Kim, 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201-208
    • /
    • 2011
  • When designing a river,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appropriate bank revetment methods, but there are no specific guidelines until now.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prevent over-budgeting by deciding the suitability of the adopted bank revetment methods when designing a river. In this study, an assessment method was develope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adopted bank revetment methods when designing a river. By adopting this method to eight rivers, its validity was examine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used for the assessment, along with suitability index (SI) of the adopted bank revetment methods when designing a river. In order to select the best bank revetment methods, all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selected location have to be considered. Accordingly, to assess the designed bank revetment methods, all variables of the selected location have to be considered. The assessing items include hydraulic stability, environmental-ecological feasibility, economy, and amenity of the bank revetment. Each item includes four to five sub-items, and each sub-items reflect survey results on the locations. The assessment method was adopted and assessed for eight rivers, and bank revetments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SI.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when assessing an eco-friendly bank revetment methods, and inappropriate designed bank revetments will guide future planners for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construction method.